본 연구는 교회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이때에 전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있는 전도훈련 프로그램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전도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753537
안양 : 聖潔大學校 神學專門大學院, 2006
학위논문(박사) --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 목회학전공 , 2006. 2
2006
한국어
235.7 판사항(4)
경기도
ii, iii, 143p. ; 26cm
참고문헌: p. 88-9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회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이때에 전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있는 전도훈련 프로그램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전도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
본 연구는 교회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이때에 전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있는 전도훈련 프로그램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전도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지 않는 비신자들에게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하도록 하기 위한 집중전도훈련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집중전도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로 조사를 하였다. 본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을 묻는 여덟 개의 문항과 집중전도훈련을 위한 3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자의 설문조사는 안양과 의왕지역에 있는 15개 교회에 400부를 직접 배부하여 320부가 회수되어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인 집중전도훈련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1. 신앙연조에 따른 개인신앙 전도갈등 전도능력 전도전략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교회직분에 따른 개인신앙 전도갈등 전도능력 전도전략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학력에 따른 개인신앙 전도갈등 전도능력 전도전략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4. 집중전도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신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신자들보다 개인신앙 전도갈등 전도능력 전도전략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위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30명으로 구성하여 사전 동질성검사를 하였으며 실험집단의 12주 훈련 후에는 훈련결과를 검증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를 위하여 설문지를 부호화(coding)하여 SPSS 11.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들을 검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앙연조에 따라 개인신앙 전도갈등 전도능력 전도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개인신앙 전도갈등 전도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전도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인신앙은 신앙연조가 높을수록 점수도 높았는데 이것은 정상적인 신앙의 발달과정이라 사료된다. 전도갈등은 신앙연조에 따라 5년 이상된 신자가 갈등이 심했으며 10년, 20년 이상 모태신앙의 순으로 전도에 대한 갈등이 약해짐을 볼때 신앙연조에 따른 믿음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전도전략은 신앙연조가 20년 이상인 신자들이 5년 이상된 신자들 보다 높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신앙연조가 20년 이상된 신자들은 믿음이 굳건할 뿐만 아니라 전도전략에 많은 노하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도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전도의 훈련을 받지 못한 결과라 생각됨으로 집중전도훈련을 받으면 전도의 능력이 향상 되어질 것이다.
둘째 교회직분에 따라 개인신앙 전도갈등 전도능력 전도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개인신앙과 전도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전도갈등과 전도능력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권사가 평신도, 권찰 집사보다 개인신앙 점수가 높았고 집사와 권사가 평신도 권찰에 비해서 전도전략 점수가 높았다. 이와 같이 권사가 평신도 권찰 집사보다 개인신앙 점수가 높은 것은 항존직의 직분을 가진 권사에게서 나타나는 당연한 현상이라 하겠다. 또한 집사와 권사가 평신도와 권찰에 비해 전도전략 점수가 높은 것도 교회의 부흥과 성장을 위해 신앙연조가 높은 직분자들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도갈등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직분은 다르지만 전도에 대한 부담감은 모든 신자가 동일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도능력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전도의 훈련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능력에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집중전도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학력에 따라 개인신앙 전도갈등 전도능력 전도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개인신앙 전도능력 전도전략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초등졸과 대졸의 신자들이 종졸이나 고졸 신자에 비해서 개인신앙이 높았고, 전도능력과 전도전략에 있어서도 초등졸 신자가 중졸이나 고졸 신자들에 비해서 전도능력와 전도전략 점수가 높았다. 이와 같이 초등졸 신자들의 개인신앙이 높은 것은 초등졸자들은 나이가 많은 권사들의 신앙이기 때문이며. 대졸자들의 신앙이 높은 것도 사회적인 높은 학식위에 복음이 깊이 들어가면 신앙심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도갈등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전도의 갈등은 학력을 불문하고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두려움과 부담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두려움이나 부담감도 집중전도훈련을 받으면 해소가 될 것이다.
넷째 집중전도훈련을 받은 후 실험집단의 개인신앙이나 전도갈등, 전도능력, 그리고 전도전략이 훈련을 받기 전보다 향상되었는지를 검증한 결과 전 영역에 걸쳐 의미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집중전도훈련은 의미있는 효과가 있음이 확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집중전도훈련이 신자들에게 전도에 대한 확고한 자신감과 체험을 인식시켜 주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방법으로 전도훈련을 받고 즉시 실천적으로 현장에 나가 전도실습을 하여 좋은 성과를 얻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집중전도훈련을 받고 오영리의 복음을 들고 나가면 전도자 자신에게는 담대한 믿음이 주어지고 복음을 듣는 자들에게는 구원을 받게 하며 교회는 부흥과 성장을 가져올 것이다. 그러나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전도에 대한 실천신학적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여 일관성 없는 단편적인 전도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바라고 있는 한국교회는 전도훈련에 대한 필요성을 재인식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이며 실천적인 전도훈련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s to present a training model of evangelism which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evangelism at the times of stagnation in the field of church growth. Evangelism is a significant method by which God reaches people and saves their souls. The ...
The study is to present a training model of evangelism which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evangelism at the times of stagnation in the field of church growth. Evangelism is a significant method by which God reaches people and saves their souls.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is to develop a concentration training model for evangelism and to make Christian beievers master its believers to adopt the concentration training model for evangelism and to practice i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evangelism.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the literatures regarding evangelism and training and also from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eight questions including general qualities and 38 questions for the concentration training model for evangelism. It was distributed to 400 people directly in the 15 churches in Anyang and Uiwang area. 320 people were responded which were analyzed by SPSS 11.0.
There are four hypothes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concentration training model that is subject of this research. (1) There will be an individual faith by period of belief, evangelism struggles, evangelism ability, and variance of evangelism strategy. (2) There will be an individual faith by church status, evangelism struggles, evangelism ability, and variance of evangelism strategy. (3) There will be an individual faith by levels of academic education, evangelism struggles, evangelism ability, and variance of evangelism strategy. (4) The experiment group´s believers who take part in the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for evangelism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s of individual faith, evangelism struggles, evangelism ability, evangelism strategy while the control group´s believers, who do not take part in the program, do not have any relevant difference.
The researcher did homogeneity examination after composing each 30 people of experimnet group and control group. He verified upside problems and training results after 12 weeks of experiment. The questionnaires were also encod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11.0 for windows for post-inspection of experiment groups and control groups.
The sequence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individual faith, evangelism struggles and evangelism strategy according to the period of personal belief, while it h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vangelism ability. It means that the more Christian believers have the period of individual faith, the less they have struggle and strategy for evangelism. They have to be trained for evangelism with a concentration program in order to develop their ability for evangelism, because there is not any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of evangelism.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individual faith and evangelism strategy according to the status of church leadership, while it h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vangelism struggles and evangelism ability. It means that the higher status from lay people to deacon/deaconess do Christian leaders have, the better do they have personal faith and strategy for evangelism. However, there is not any different in their struggles and abilities of evangelism. It means there is a need for evangelism training with a concentration program in order to touch their struggles toward evangelism and to develop their ability for it.
Third, there is a relevant difference among individual faith, evangelism ability and evangelism strategy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education, while is h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vangelism struggles. It means that those who have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do not have the lesser faith, ability, and strategy for evangelism because of their reasonal hinderance toward evangelism. That is, the primary graduates and college graduates believers have higher point of individual faith than the middle school graduates or high school graduates believers. The primary graduates believers have higher point of evangelism ability and evangelism strategy than the middle school graduates believers or high school graduates believers. The relevers difference, however, did not appear in evangelism struggles. Thus, they have to be trained for evangelism with a concentration program in order to develop their ability for evangelism.
Fourth, there is a relevant difference in the areas of personal faith, evangelism struggles, evangelism strategy, and evangelism ability after having trained the experiment group with a concentration evangelism model.
Therefore, a concentration training model for evangelism has to be effective on the contemporary evangelism. It can give Christian believers to have pride and experience for evangelism. By using it they have gotten a lot of results and winnig the souls. Therefore, the author confirms that the model of concentration training for evangelism should be applicable to the contemporary Christian churches and be attributing for church growht and revivia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