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관 환경미술 전시연계를 통한 초등학생 환경미술교육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nected with Art Museums Environmental Exhib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92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that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cases accompanied with environmental art exhibitions by art museums for elementary students affect to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In social interest and mood about ever-growing environmental problems,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s being embodied as an alternative in an environmental education connected with art educa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was conducted with the project, 'Planting Seeds of Life', an exampl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held by GwangJu Moodeung Museum of Current Art in 2018. Researcher found that self-experience is important along with change of cogni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of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referring participating students' works and their review. This paper summarizes the following.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art, and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we will introduce the works submitted to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held at GwangJu Moodeung Museum of Current Art and examine the activities of the classes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s. Third, researcher will present various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rt museum education with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exhibitions consisting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project 'Planting Seeds of Life' and students' participation. This study tried to broaden students' perspective on environmental art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direct sympathy. Also I confirmed that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art related to environment and environment art education can have a common goal in terms of aesthetic awareness expansi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cological sensitivity.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discussed in this paper gives implications as not only a place to impl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but also the extended aspect of culture art education in art muse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that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cases accompanied with environmental art exhibitions by art museums for elementary students affect to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m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that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cases accompanied with environmental art exhibitions by art museums for elementary students affect to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In social interest and mood about ever-growing environmental problems,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s being embodied as an alternative in an environmental education connected with art educa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was conducted with the project, 'Planting Seeds of Life', an exampl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held by GwangJu Moodeung Museum of Current Art in 2018. Researcher found that self-experience is important along with change of cogni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of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referring participating students' works and their review. This paper summarizes the following.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art, and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we will introduce the works submitted to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held at GwangJu Moodeung Museum of Current Art and examine the activities of the classes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s. Third, researcher will present various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rt museum education with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exhibitions consisting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project 'Planting Seeds of Life' and students' participation. This study tried to broaden students' perspective on environmental art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direct sympathy. Also I confirmed that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art related to environment and environment art education can have a common goal in terms of aesthetic awareness expansi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cological sensitivity.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discussed in this paper gives implications as not only a place to impl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but also the extended aspect of culture art education in art muse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의 환경미술전시와 연계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미술교육의 사례가 초등학교 현장의환경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그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환경미술교육은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 문제에 대한사회적 관심과 분위기 속에서 환경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미술교육과의 연계 속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광주 무등현대미술관에서 진행한 2018년 환경미술제와 연계한 초등학생들의 환경미술교육의 사례인 ‘생명의씨앗 심기’ 프로젝트와 함께 진행된 환경교육을 다룬 것이다. 프로젝트 참여 학생들의 환경미술제 참여과정과작품, 참여 후기 등을 참고하여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된 추이를 살펴본 결과 환경교육은 인식의 변화와더불어 자기체험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으로환경교육, 환경미술, 환경미술교육의 전반적인 흐름들을 고찰한다. 둘째, 광주 무등현대미술관에서 진행된 환경미술제에 출품된 작품을 소개하고 초등학교와 연계된 수업의 활동과정을 살펴본다. 셋째, ‘생명의 씨앗 심기’ 프로젝트의 교수·학습 방법과 학생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환경미술제 전시작품의 결과를 통해 환경교육, 미술관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경에 대한 이해, 직접적인 교감 등을 통해 학생들의 환경미술에 대한 시각을 넓혀주고자 하였다. 또한 환경 관련 현대미술의 방향과 환경미술교육이 미적인식의 확장, 환경 감수성, 생태 감수성이라는 측면에서 공통된 목표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환경미술제는 환경교육의 실천의 장으로서 그리고 미술관 문화예술교육의 확장된 측면에서도 시사점을 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의 환경미술전시와 연계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미술교육의 사례가 초등학교 현장의환경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그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환경미술교육은...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의 환경미술전시와 연계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미술교육의 사례가 초등학교 현장의환경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그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환경미술교육은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 문제에 대한사회적 관심과 분위기 속에서 환경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미술교육과의 연계 속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광주 무등현대미술관에서 진행한 2018년 환경미술제와 연계한 초등학생들의 환경미술교육의 사례인 ‘생명의씨앗 심기’ 프로젝트와 함께 진행된 환경교육을 다룬 것이다. 프로젝트 참여 학생들의 환경미술제 참여과정과작품, 참여 후기 등을 참고하여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된 추이를 살펴본 결과 환경교육은 인식의 변화와더불어 자기체험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으로환경교육, 환경미술, 환경미술교육의 전반적인 흐름들을 고찰한다. 둘째, 광주 무등현대미술관에서 진행된 환경미술제에 출품된 작품을 소개하고 초등학교와 연계된 수업의 활동과정을 살펴본다. 셋째, ‘생명의 씨앗 심기’ 프로젝트의 교수·학습 방법과 학생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환경미술제 전시작품의 결과를 통해 환경교육, 미술관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경에 대한 이해, 직접적인 교감 등을 통해 학생들의 환경미술에 대한 시각을 넓혀주고자 하였다. 또한 환경 관련 현대미술의 방향과 환경미술교육이 미적인식의 확장, 환경 감수성, 생태 감수성이라는 측면에서 공통된 목표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환경미술제는 환경교육의 실천의 장으로서 그리고 미술관 문화예술교육의 확장된 측면에서도 시사점을 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해경, ""환경 미술교육"의 특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8 (18): 141-154, 2004

      2 김향미, "환경미술교육의 방향과 내용 탐색"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271-292, 2009

      3 이영식, "환경미술교육 프로젝트학습에 관한 연구 : 점토성형 활동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박진선, "환경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3학년을 대상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장 루이 프라델, "현대미술" 2004

      6 안원현, "미술관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신라대학교 2016

      7 무등현대미술관, "광주비엔날레 기념전 2018환경미술제 전시도록"

      8 "http://mdmoca.co.kr"

      9 "http://actnowforee.org"

      10 정연희, "Expanding Sustainable Thinking Through Arts Education" Korean Society of Education Through Art 12 (12): 51-71, 2011

      1 김해경, ""환경 미술교육"의 특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8 (18): 141-154, 2004

      2 김향미, "환경미술교육의 방향과 내용 탐색"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271-292, 2009

      3 이영식, "환경미술교육 프로젝트학습에 관한 연구 : 점토성형 활동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박진선, "환경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3학년을 대상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장 루이 프라델, "현대미술" 2004

      6 안원현, "미술관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신라대학교 2016

      7 무등현대미술관, "광주비엔날레 기념전 2018환경미술제 전시도록"

      8 "http://mdmoca.co.kr"

      9 "http://actnowforee.org"

      10 정연희, "Expanding Sustainable Thinking Through Arts Education" Korean Society of Education Through Art 12 (12): 51-71,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