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초등 사회과의 탐구설계모델(IDM)기반 교수 · 학습자료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99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탐구설계모델(IDM)을 기반으로 개발된 미국 초등 사회과 교수 · 학습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교수 · 학습자료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탐구설계모델(IDM)은 ...

      본 연구는 탐구설계모델(IDM)을 기반으로 개발된 미국 초등 사회과 교수 · 학습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교수 · 학습자료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탐구설계모델(IDM)은 C3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한 자료 개발과 수업 구상에 활용 가능한 설계도이다. 질문, 과업, 자료로 구성된 탐구설계모델(IDM)은 학생의 흥미와 사회과학적 지식을 모두 중시하면서 문해력 신장과 교실 너머의 실천을 추구한다. 탐구설계모델(IDM)에 따라 개발된 미국 초등 사회과 교수 · 학습 자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자료로 구성된 과업을 통해 핵심 지식과 기능의 습득 및 활용을 도모한다. 둘째, 환경확대법을 탄력적으로 적용한 질문 기반 주제중심 접근으로 사회과의 내용 영역을 통합하며 학습자 흥미를 유발한다. 셋째, 교실 너머의 유익한 행동을 강조하고 실제 사례와 구체적인 실행 방법을 제공한다. 역량 중심 교육을 강조하는 우리나라도 문해력과 맞춤형학습 원리가 반영된 핵심 지식 습득형과 실천 중심의 지식 구성형 과업이 조화를 이룬 한국형 탐구 설계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회과교육 연구진과 현장 교사가 협업하여 전국 및 지역 단위 자료를 개발하고 축적하는 거버넌스 조직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Korea by analyz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oolkits in the United States developed based on the Inquiry Design Model (IDM). The IDM is a blueprint that ...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Korea by analyz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oolkits in the United States developed based on the Inquiry Design Model (IDM). The IDM is a blueprint that can be used for material development or lesson planning based on the C3 framework. The IDM is composed of questions, tasks, and data. It focuses on students" interests and social science knowledge while pursuing literacy development and practice beyond the classroom. Characteristics of IDM toolkits are as follows. First, IDM aims to acquire and utilize core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tasks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Second, it integrates contents areas of social studies and induces learners" interest through a question-based, subject-centered approach that flexibly applies the environmental expansion method. Third, it emphasizes the beneficial behavior beyond the classroom while providing real examples and concrete implementation methods. In Korea, where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Korean IDM that reflects literacy and customized learning principles in which the core knowledge acquisition type and the practice-oriented knowledge construction type task are harmonized. To this end, a governance organization that develops and accumulates national and regional data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social studies education researchers and field teachers must be suppor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탐구설계모델(IDM)의 개발 배경과 구성 원리
      • Ⅲ. 탐구설계모델(IDM)을 활용한 뉴욕주 툴킷의 주요 특징
      • Ⅳ. 나오며
      •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탐구설계모델(IDM)의 개발 배경과 구성 원리
      • Ⅲ. 탐구설계모델(IDM)을 활용한 뉴욕주 툴킷의 주요 특징
      • Ⅳ. 나오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영, "캐나다 온타리오와 호주의 사회과 교육과정 및 미국 C3 Framework의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 관련 내용 분석: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20 (20): 407-423, 2016

      2 조의호, "초등학교 사회과 평가 계획 현황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8 (58): 137-158, 2019

      3 홍서영,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53-72, 2017

      4 차경수, "유아사회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2008

      5 김진아, "역사는 왜 가르쳐야 하는가 : 민주시민을 키우는 새로운 역사교육" 역사비평사 2017

      6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7 최정순, "시민교육을 위한 미국 사회과의 노력 - C3 framework의 탐색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18): 61-82, 2015

      8 최용규, "사회과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2014

      9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7]"

      10 김현미, "문해력 향상을 위한 미국 교육 동향: CCSS, C3 Framework, 그리고 지리교육"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121-144, 2018

      1 최진영, "캐나다 온타리오와 호주의 사회과 교육과정 및 미국 C3 Framework의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과 기능 관련 내용 분석: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20 (20): 407-423, 2016

      2 조의호, "초등학교 사회과 평가 계획 현황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8 (58): 137-158, 2019

      3 홍서영,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53-72, 2017

      4 차경수, "유아사회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2008

      5 김진아, "역사는 왜 가르쳐야 하는가 : 민주시민을 키우는 새로운 역사교육" 역사비평사 2017

      6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7 최정순, "시민교육을 위한 미국 사회과의 노력 - C3 framework의 탐색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18): 61-82, 2015

      8 최용규, "사회과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2014

      9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7]"

      10 김현미, "문해력 향상을 위한 미국 교육 동향: CCSS, C3 Framework, 그리고 지리교육"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121-144, 2018

      11 주뉴욕대한민국총영사관, "뉴욕생활정보:학제 개요"

      12 교육부, "국어과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5]"

      13 소경희,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성 탐색-영국, 독일, 캐나다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53-175, 2013

      14 Swan, K., "Zooming inquiry : Online teaching with the pomodoro technizue" 84 (84): 229-235, 2020

      15 Raymond, L, E., "Visions of the possible: case studies of how social studies teachers enact the C3 framework" North Carolina State Universtiy 2017

      16 Ross, E. W.,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UNY press 25-49, 2014

      17 C3 teachers, "The New York state K-12 social studies toolki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18 Swan, K., "The New York state K-12 social studies toolkit : An introduction" 79 (79): 309-335, 2015

      19 New York State Education Department(NYSED), "New York state K-12 social studies resource toolkit"

      20 Marston, C., "Making social studies shine : strategies for implementing the C3 framework in elementary classrooms" 80 (80): 365-369, 2016

      21 Grant, S. G., "Inquirybased practice in social studies education:Understanding the inquiry design model" Routledge 2017

      22 Felton, M. K., "From dialogue to two-sided argument : Scaffolding adolescents’persuasive writing" 47 (47): 672-683, 2004

      23 Thacker, E. S., "Exploring how an elementary teacher plans and implements social studies inquiry" 109 (109): 85-100, 2018

      24 National Council for Social Studies(NCSS), "College, career & civic life C3 framewrok for social studies state standards"

      25 Newmann, F. M., "Authentic intellctual work : Common standards for teaching social studies" 73 (73): 43-49, 2009

      26 나경훈,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미국 C3Framework의 비교 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8 (58): 43-62,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