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의 환호, 평양의 좌절과 대처: 서울올림픽과 남북관계 = Cheers in Seoul, Stirs and Measures in Pyongyang : The Seoul Olympic Games and Inter-Korean Rel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403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was an occasion that pointed to the contrasting results of inter-Korean regime competition during the Cold Wa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sted the Games, seeing its potential to serve as a decisive turning point that would elevate South Korea’s status in the international arena in the Games rather than as a mere sports event. Also, Seoul attempted to improve their relations with the socialist bloc. Meanwhile, North Korea understood political and diplomatic implications and ramifications of the Seoul Olympic Games.
      Therefore, North Korea focused its efforts on sabotaging and even thwarting the Games, losing their nerves.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Olympic Games, the Soviet-South Korean rapprochement, ant the China-South Korean rapprochement meant Seoul’s clean sweep in inter-Korean regime competition. However, North Korea tried to counter Seoul’s complete victory by developing nuclear weapons in order to break the impasse of isolation and secure regime survival. In this regard, Seoul’s strategy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socialist bloc building on the successes of the Seoul Olympic Games, by which South Korea intended to spur Pyongyang to open to the outside world, could not gain the intended results. Instead, Seoul’s such strategy partly brought about North Korea’s further isolation and reclusion.
      번역하기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was an occasion that pointed to the contrasting results of inter-Korean regime competition during the Cold Wa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sted the Games, seeing its potential to serve as a decisive turning point that w...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was an occasion that pointed to the contrasting results of inter-Korean regime competition during the Cold Wa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sted the Games, seeing its potential to serve as a decisive turning point that would elevate South Korea’s status in the international arena in the Games rather than as a mere sports event. Also, Seoul attempted to improve their relations with the socialist bloc. Meanwhile, North Korea understood political and diplomatic implications and ramifications of the Seoul Olympic Games.
      Therefore, North Korea focused its efforts on sabotaging and even thwarting the Games, losing their nerves.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Olympic Games, the Soviet-South Korean rapprochement, ant the China-South Korean rapprochement meant Seoul’s clean sweep in inter-Korean regime competition. However, North Korea tried to counter Seoul’s complete victory by developing nuclear weapons in order to break the impasse of isolation and secure regime survival. In this regard, Seoul’s strategy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socialist bloc building on the successes of the Seoul Olympic Games, by which South Korea intended to spur Pyongyang to open to the outside world, could not gain the intended results. Instead, Seoul’s such strategy partly brought about North Korea’s further isolation and reclu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올림픽 개최는 냉전기 동안 전개되어온 남북한 체제경쟁의 명암이 뚜렷하게 엇갈림을 응축적으로 보여준 사건이었다. 남한 정부는 올림픽 유치를 단순히 스포츠행사가 아니라 국제무대에서의 남한의 위상 제고와 사회주의권과의 관계개선을 도모하는 결정적 전기로 인식하고 접근했다. 북한도 서울올림픽이 갖는 이와 같은 정치적, 외교적 함의와 파장을 파악하고 있었다. 때문에 북한은 서울올림픽 개막이 가까워짐에 따라서 전전긍긍하면서 서울올림픽 저지 방안과 방해 전략에 골몰했다. 남한은 올림픽의 유치와 성공적 개최를 통해 남북한 체제경쟁에서 일단 승리를 거두었다. 그리고 그 성과의 바탕 위에서 한소, 한중수교를 통해 완승구도를 굳혔다. 그러나 남북한 체제경쟁에서의 남한이 일방적 승리를 거두고, 북한의 교차승인 노력이 좌절되는 바로 그 지점에서 북한은 극도의 고립상태와 생존위협을 타파하기 위하여 핵을 통한 자체적인 균형전략을 모색했다. 이 점에서 서울올림픽의 성과를 바탕으로 사회주의권과 수교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북한을 개방시킨다는 전략은 성공하지 못하고 북한을 더욱 고립과 폐쇄상태로 모는 결과를 가져오는 한 계기가 되었다.
      번역하기

      서울올림픽 개최는 냉전기 동안 전개되어온 남북한 체제경쟁의 명암이 뚜렷하게 엇갈림을 응축적으로 보여준 사건이었다. 남한 정부는 올림픽 유치를 단순히 스포츠행사가 아니라 국제무...

      서울올림픽 개최는 냉전기 동안 전개되어온 남북한 체제경쟁의 명암이 뚜렷하게 엇갈림을 응축적으로 보여준 사건이었다. 남한 정부는 올림픽 유치를 단순히 스포츠행사가 아니라 국제무대에서의 남한의 위상 제고와 사회주의권과의 관계개선을 도모하는 결정적 전기로 인식하고 접근했다. 북한도 서울올림픽이 갖는 이와 같은 정치적, 외교적 함의와 파장을 파악하고 있었다. 때문에 북한은 서울올림픽 개막이 가까워짐에 따라서 전전긍긍하면서 서울올림픽 저지 방안과 방해 전략에 골몰했다. 남한은 올림픽의 유치와 성공적 개최를 통해 남북한 체제경쟁에서 일단 승리를 거두었다. 그리고 그 성과의 바탕 위에서 한소, 한중수교를 통해 완승구도를 굳혔다. 그러나 남북한 체제경쟁에서의 남한이 일방적 승리를 거두고, 북한의 교차승인 노력이 좌절되는 바로 그 지점에서 북한은 극도의 고립상태와 생존위협을 타파하기 위하여 핵을 통한 자체적인 균형전략을 모색했다. 이 점에서 서울올림픽의 성과를 바탕으로 사회주의권과 수교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북한을 개방시킨다는 전략은 성공하지 못하고 북한을 더욱 고립과 폐쇄상태로 모는 결과를 가져오는 한 계기가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규형, "한국외교사와 국제정치학"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2 외교통상부, "한국외교 50년"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1999

      3 "통일한국"

      4 이상옥, "전환기의 한국외교" 삶과 꿈 2002

      5 정기웅, "전두환 정부의 외교정책과 1988년 서울올림픽, In 한국 외교정책: 역사와 쟁점" 사회평론 2010

      6 "월간조선"

      7 이정철, "외교-통일 분화기 한국 보수의 대북정책: 정책연합의 불협화음과 전환기 리더십의 한계, In 노태우시대의 재인식" 나남 2012

      8 "스포츠코리아"

      9 정기웅, "스포츠와 공공외교 수렴 가능성의 모색: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동서문제연구원 21 (21): 229-262, 2009

      10 이방원, "세울 코레아" 행림출판사 1989

      1 강규형, "한국외교사와 국제정치학"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2 외교통상부, "한국외교 50년"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1999

      3 "통일한국"

      4 이상옥, "전환기의 한국외교" 삶과 꿈 2002

      5 정기웅, "전두환 정부의 외교정책과 1988년 서울올림픽, In 한국 외교정책: 역사와 쟁점" 사회평론 2010

      6 "월간조선"

      7 이정철, "외교-통일 분화기 한국 보수의 대북정책: 정책연합의 불협화음과 전환기 리더십의 한계, In 노태우시대의 재인식" 나남 2012

      8 "스포츠코리아"

      9 정기웅, "스포츠와 공공외교 수렴 가능성의 모색: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동서문제연구원 21 (21): 229-262, 2009

      10 이방원, "세울 코레아" 행림출판사 1989

      11 이대희,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공존: 스포츠와 세계화를 통한 민족주의" 12 (12): 2002

      12 전상진, "세계는 서울로: 나의 서울 올림픽 9년" 범양사 1989

      13 李芳遠, "서울올림픽이 북방정책에 미친 영향 : 제6共期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1993

      14 국민체육진흥공단, "서울올림픽사: 올림픽의 성과(1)" 국민체육진흥공단

      15 국민체육진흥공단, "서울올림픽사: 올림픽 유치" 국민체육진흥공단 2000

      16 박재규, "서울올림픽, 북방정책에 시동 걸다: 유치와 개최준비 활동의 숨은 이야기, In 노태우 대통령을 말한다: 국내외 인사 175인의 기록" 동화출판사 380-383, 2011

      17 이윤근, "서울 올림픽이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에 미친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논문집 1990

      18 안민석, "새로운 스포츠사회학" 백산서당 2002

      19 김계동, "북한의 외교정책: 벼랑에 선 줄달리기외교의 선택" 백산서당 2002

      20 전재성, "북방정책의 평가: 한국 외교대전략의 시원, In 노태우시대의 재인식" 나남 2012

      21 하용출, "북방정책: 기원, 전개, 영향"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22 이경훈, "바덴바덴에서의 한국대표단의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유치 과정에 관한 연구" 8 (8): 2001

      23 오지철, "로잔느 체육회담과 북한의 올림픽 참가문제" 239 : 102-107, 1988

      24 "로동신문"

      25 이방원, "드디어 열리는 북방의 문"

      26 "동아일보"

      27 노태우, "노태우회고록 (하): 전환기의 대전략" 조선뉴스프레스 2011

      28 노태우, "노태우회고록 (상): 국가, 민주화, 나의 운명" 조선뉴스프레스 2011

      29 전재성, "노태우 행정부의 북방정책 결정요인과 변화과정 분석" 24 (24): 2002

      30 김연철,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남북기본합의서: 성과와 한계" 역사비평 2011

      31 이근, "노태우 정부의 북방외교: 엘리트 민족주의에 기반한 대전략, In 노태우시대의 재인식" 나남 2012

      32 조갑제, "노태우 육성 회고록" 조갑제닷컴 2007

      33 노재봉, "노태우 대통령을 말한다: 국내외 인사 175인의 기록" 동화출판사 2011

      34 노젓선, "남북대화 백서: 남북교류의 갈등과 성과" 한울 2000

      35 역사비평사, "남북기본합의서 20주년"

      36 황장엽,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 한울 1999

      37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39"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38 오진용, "김일성시대의 젓소와 남북한" 나남 2004

      39 박호성, "국제스포츠 활동과 사회통합의 상관성: 가능성과 한계" 한국국제정치학회 42 (42): 93-110, 2002

      40 리왈수, "교차승인론은 민족의 분열을 영구화하기 위한 교활한 술책" 11 : 1988

      41 전상진, "공산권 국가들의 올림픽 참가를 이끌어낸 노 대통령, In 노태우 대통령을 말한다: 국내외 인사 175인의 기록" 동화출판사 400-401, 2011

      42 국사편찬위원회, "고위관료들,`북핵위기`를 말하다" 국사편찬위원회 2009

      43 Oberdorfer, Don,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2001

      44 Allison, Lincolin, "The Global Politics of Sport: The role of Global Institutions in Sport" Loutledge 2005

      45 Woodrow Wilson Center for Scholars, "The 1988 Seoul Olympics and Korean Peninsula(Document Reader)" Woodrow Wilson Center for Scholars

      46 Radchenko, Sergey, "Sport and Politics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and the 1988 Seoul Olympics"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2011

      47 Kumar, Ashwini, "Report by IOC Vice President Ashwini Kumar on his Trip to North Korea"

      48 Yakovlev A. N., "Record of the Main Content of Content of Conversation of a member of the Politburo, secretary of the CC CPSU Yakovlev A.N. with the Secretary of the CC KWP Hwang Jang-yeop"

      49 Lerner, Mitchell, "New Ramanian Evidence on the Blue House Raid and and the USS Pueblo Incident"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2012

      50 Roh, Tae-Woo, "Memorandum of Meetings held between the IOC President and Roh Tae-Woo"

      51 National Olympic Committee of North Korea and National Olympic Committee of South Korea, "Meeting between the NOCs of the ROK and DPRK held under the aegis of the IOC"

      52 Samaranch, Juan Antonio, "Meeting between President Chun Doo Hwan and President Samaranch"

      53 Korea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Media Heralds Seoul Olympics: The Game of the 24th Olympiad Seoul 1988" Korea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1989

      54 Samaranch, Juan Antonio, "Letter from the President of the IOC to the Korean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in Reference to the Letter Sent by a South Korean Student Organization Threatening Violence During the 1988 Seoul Olympics"

      55 Samaranch, Juan Antonio, "Letter from the President of the IOC to Roh Tae-Woo with a Proposal for Further Initiativ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56 Samaranch, Juan Antonio, "Letter from the President of IOC to the President of the Olympic Committee of the DPRK"

      57 Samaranch, Juan Antonio, "Letter from the President of IOC to the DPRK's NOC"

      58 Park, Kun, "Letter from the Permanent Mission of the ROK, Geneva to IOC President regarding the USSR, Cuba and North Korea’s Position on the 1988 Olympics"

      59 Samaranch, Juan Antonio, "Letter from the IOC President to Roh Tae-Woo, Requesting the Adjournment of the Team Spirit 88’ Exercises for the Safety of the 1988 Seoul Olympics"

      60 Kim, Yu-Seon, "Letter from the DPRK's National Olympic Committee to the IOC on Samaranch's Proposal to Visit North Korea"

      61 Kim, Yu-Seon, "Letter from the DPRK National Olympic Committee to IOC President Requesting Clarification on the Comments Made by IOC during a Press Conference in Barcelona"

      62 NDFSK(National Democratic Front of South Korea), "Letter from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National Democratic Front of South Korea to the IOC Opposing the 1988 Seoul Olympics"

      63 Wieck, Klaus Georg, "Information Note from Dr. Klaus Georg Wieck to IOC President on the Issue of Security and Terrorist Threats to the 1988 Seoul Olympics"

      64 Radchenko, Sergey, "Inertia and Change: Soviet Policy toward Korea, 1985-1991, In The Cold War in East Asia: 1945-1991" Woodrow Wilson Center Press 1991

      65 Samaranch, Juan Antonio, "IOC President Interview with Chun Doo-hwan on North Korean Threats to the 1988 Seoul Olympics"

      66 리처드 W. 파운드, "Five Rings Over Korea: 88 서울 올림픽, 그 성공 비화" 예음 1995

      67 Moon, Chung-in, "Ending the Cold War in Korea" Yonsei University Press 2001

      68 Tkachenko, B., "Conversation between the Secretary of the CC CPSU Yakovlev A.N. with the Secretary of the CC KWP Hwang Jang-yeop"

      69 Isaacs, Jeremy, "Cold War: An Illustrated History, 1945-1991" Little Brown 1998

      70 이연택, "88서울올림픽과 노태우 대통령, In 노태우 대통령을 말한다: 국내외 인사 175인의 기록" 동화출판사 384-38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9 0.5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