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3곳과 P시에 소재하고있는 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368066
서울 :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발달 및 발달장애 , 2014. 2
2014
한국어
서울
83 p. ; 26 cm
지도교수: 이종숙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3곳과 P시에 소재하고있는 유...
본 연구에서는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3곳과 P시에 소재하고있는 유치원 2곳, 어린이집 1곳의 만4세~만6세 유아 322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한 척도에 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 평정용 또래 유능성을 사용하였고, 정서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를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 「The Children’s Coping Strategies Cheklist」를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연구 문제에 따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또래 유능성은 적응적 정서 조절 능력과 불안정/부정성 정서조절 능력과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고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요인에서는 공격 전략, 감정 발산 전략, 긍정적 대처 전략, 무 전략이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적응적 정서조절 능력과 정서조절 전략과의 관계에서는 공격 전략, 감정발산 전략, 긍정적 대처 전략, 무전략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불안정/부정성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 전
략, 감정발산 전략, 긍정적 대처 전략, 회피 전략, 무 전략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의 관계에서 감정발산 전략, 긍정적 전략, 무 전략이 부분적 매개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이는 또래 유능성에 적응적 정서조절 능력이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조절 전략에 따라서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유아의 불안정/부정성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의 관계에서 감정발산 전략, 긍정적 전략, 무 전략이 부분적 매개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이는 또래 유능성에 불안정/부정성 정서조절 능력이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조절 전략에 따라서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로써 유아가 어떠한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였을 때 또래 유능성을 잘 할 수 있는지 알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을 살펴보고 부모나 교사에게 정보를 주어 또래들과 잘 지내기 위해서 어떠한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자료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focusing on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o gain data, 322 4 to 6 aged children were sampled from 2 kindergartens in seou...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focusing on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o gain data, 322 4 to 6 aged children were sampled from 2 kindergartens in seoul, 2 preschools and 1 kindergarten in p city. In this research, to assess the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teacher rating peer competence scale is administered and to measure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teachers also asked to report on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
The statistical values of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s and mediation effect qualification procedure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is applied to validate mediation effect. Sobel valid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s.
The summary of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attributes showed that peer competenc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h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gressive strategies, venting strategies, positive coping strategies, and none strategies.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ggressive strategies, venting strategies, positive coping strategies, avoidant & supportive strategies, and none strategies has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showed venting strategies, positive coping strategies, and none strategies does partial mediation effect. It suggests that peer competence is affected by not only adaptive emotion regulation but also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ird, 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venting strategies, positive coping strategies, and none strategies does partial mediation effect. It suggests that peer competence effects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For these reasons, when young children us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 can find out if they can do peer competence. Also we can tell to young children’s parents or teachers that which kind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young children being flourish with their peer checking thei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