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598년 유성룡 실각과 主和誤國論 인식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89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598년 명의 軍門贊畫主事 丁應泰의 조선 탄핵이 있었고, 선조는 유성룡이 명 조정으로 직접 사행하여 변무하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유성룡은 북경에 사행하지 않았다. 이후 삼사의 탄핵이 ...

      1598년 명의 軍門贊畫主事 丁應泰의 조선 탄핵이 있었고, 선조는 유성룡이 명 조정으로 직접 사행하여 변무하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유성룡은 북경에 사행하지 않았다. 이후 삼사의 탄핵이 계속되어 유성룡은 주화오국의 비판을 받게 되었다. 유성룡은 宋代 秦檜에 비유되었다. 이는 조정에서 강화를 주도한 행위가 국가를 그르쳤다는 공격을 역사적 사실로 뒷받침하는 작업이었다. 유성룡이 이에 대한 반박을 시도하면 할수록 그는 진회와 같은 인물로 낙인이 찍힐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1594년(선조 27) 이래 대신들 대부분은 조선에서 강화 교섭을 부득이하게 수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무엇보다 명 측의 군사 지원이 필요한 상황에서 명군 지휘부와 갈등을 겪게 된다면 군사 지원을 받기 어려워질 수 있었다. 또한 조선군의 대오를 정비하고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간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주화오국론은 이러한 사정을 도외시한 비판이었다. 이러한 비판이 왜 유성룡에게 집중되었는가도 중요한 문제이다. 유성룡은 1598년까지 영의정과 도체찰사를 겸임하며 내정과 함께 군사 정책을 총괄하고 있었다. 따라서 유성룡을 공격한다는 것은 지금까지의 군사정책을 집행한 수장을 끌어내린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유성룡 공격을 발판으로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이전과는 정반대의 정책을 펼쳐 보이겠다는 의도이기도 했다. 당시 유성룡을 비판하면서 조정의 요직으로 진출하는 北人 勢力의 움직임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성룡이 시행한 정책의 실상과 그에 대한 평가가 부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차이가 일어난 원인과 평가의 전개 과정이 분석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전란기와 전란을 마감하는 시기 사이에 나타난 유성룡 실각이라는 현상의 의미를 반추할 수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598 Ding Yingtai(丁應泰), zanhuazhushi(贊畵主事) of Ming China, brought a charge against Joseon to the emperor that Joseon had cheated Ming. Seonjo(宣祖) wanted Yu Seong-ryong to go Beijing(北京) to clarify the misunderstanding in front...

      In 1598 Ding Yingtai(丁應泰), zanhuazhushi(贊畵主事) of Ming China, brought a charge against Joseon to the emperor that Joseon had cheated Ming. Seonjo(宣祖) wanted Yu Seong-ryong to go Beijing(北京) to clarify the misunderstanding in front of the emperor. But Yu did not. Thus the censorate(三司) of the Joseon Court continued to impeach that he was disroyal to his king, expanding the blame forward the crime of spoiling the state by advocacy of Peace Negotiation(주화오국). In this impeachment, Yu Seong-ryong was compared to Qin hui(秦檜), Chancellor of Song(宋) China who was regarded as traitor claiming advocacy of peace negotiation with Jin(金). The case of Qin hui was used as historical evidence to make attack Yu seriously. So it framed Yu not to refute their criticism. If Yu Seong-ryong refuted the censorate was false, it would make the situation worse for him. It is natural that Yu’s military contribution during the wartime did not receive good estimation from the Joseon Court. There is no particular reason why he had to get compliment from the court. Here, the issue we should pay attention to arises. It is quite important to analyze the gap between his contrbution and bad estimation. Through this analyzing we could think over the meaning of Yu Seong-ryong’s being out of office happened at the time the war is about to e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머리말
      • Ⅱ. 유성룡의 강화론 전개 과정
      • Ⅲ. 主和誤國論의 확대와 주요 논리
      • Ⅳ. 유성룡의 당대 대응과 후대 인식
      • 국문 초록
      • Ⅰ. 머리말
      • Ⅱ. 유성룡의 강화론 전개 과정
      • Ⅲ. 主和誤國論의 확대와 주요 논리
      • Ⅳ. 유성룡의 당대 대응과 후대 인식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趙慶男, "亂中雜錄"

      2 高英津,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 창작과 비평사 1994

      3 徐連達, "중국통사" 청년사 1989

      4 서정문, "조선중기의 문집편간과 문파형성"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성무, "조선시대 당쟁사 1" 아름다운날 2007

      6 김경태, "임진전쟁기 강화교섭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7 김경태, "임진전쟁 강화교섭 전반기(1593.6~1594.12), 조선과 명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사연구회 (166) : 57-105, 2014

      8 김한신, "임진왜란기 강화교섭과 유성룡의 외교활동(1593.4-1595.7)" 민족문화연구원 (77) : 213-255, 2017

      9 김경태, "임진왜란 직후,대일강화정책의 성격연구" 한국사연구회 (138) : 39-74, 2007

      10 한명기, "임진왜란 시기 명군지휘부의 조선에 대한 요구와 간섭" 한국학연구소 (36) : 477-523, 2015

      1 趙慶男, "亂中雜錄"

      2 高英津,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 창작과 비평사 1994

      3 徐連達, "중국통사" 청년사 1989

      4 서정문, "조선중기의 문집편간과 문파형성"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성무, "조선시대 당쟁사 1" 아름다운날 2007

      6 김경태, "임진전쟁기 강화교섭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7 김경태, "임진전쟁 강화교섭 전반기(1593.6~1594.12), 조선과 명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사연구회 (166) : 57-105, 2014

      8 김한신, "임진왜란기 강화교섭과 유성룡의 외교활동(1593.4-1595.7)" 민족문화연구원 (77) : 213-255, 2017

      9 김경태, "임진왜란 직후,대일강화정책의 성격연구" 한국사연구회 (138) : 39-74, 2007

      10 한명기, "임진왜란 시기 명군지휘부의 조선에 대한 요구와 간섭" 한국학연구소 (36) : 477-523, 2015

      11 張俊浩, "유성룡의 『징비록』 연구" 카모마일북스 2020

      12 오항녕, "역주 선조실록수정청의궤" 일지사 2004

      13 정만조, "서애 유성룡의 정치활동과 임란 극복" 한국학연구소 30 : 561-597, 2008

      14 정호훈, "서애 류성룡의 학문과 계승" 혜안 2015

      15 오항녕,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 너머북스 2012

      16 한명기, "광해군 –탁월한 외교정책을 펼친 군주-" 역사비평사 2000

      17 申欽, "象村集"

      18 柳成龍, "西厓集"

      19 許穆, "眉叟記言"

      20 尹國馨, "甲辰漫錄"

      21 成渾, "牛溪集"

      22 鄭蘊, "桐溪集"

      23 송희준, "桐溪 鄭蘊의 학통과 학문사상" 영남문화연구원 (26) : 67-102, 2014

      24 張俊浩, "柳成龍의 『懲毖錄』 硏究" 서강대학교 2017

      25 洪汝河, "木齋集"

      26 薛錫圭, "朝鮮時代 儒生上疏와 公論政治" 선인 2002

      27 尹拯, "明齋遺稿"

      28 "政院傳敎"

      29 鄭經世, "愚伏集"

      30 "宣祖實錄"

      31 "宣祖修正實錄"

      32 具德會, "宣祖代 후반(1594~1608)政治體制의 재편과 政局의 動向" 서울大學校 人文大學 國史學科 20 : 1988

      33 宋時烈, "宋子大全"

      34 鄭弘俊, "壬辰倭亂 직후 政局의 推移와 北人政權의 成立" 歷史學硏究會 1988

      35 李章熙, "壬辰倭亂 義兵性格의 分析" 國史編纂委員會 22 : 1992

      36 申炅, "再造藩邦志"

      37 한명기, "光海君代의 大北勢力과 政局의 動向" 서울大學校 人文大學 國史學科 20 : 1988

      38 徐廷文, "『退溪集』의 初刊과 月川․西厓是非" 國民大學校 文科大學 國史學科 3 : 1993

      39 金鶴洙, "17세기 嶺南學派 연구"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
      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호서사학
      외국어명 : HO-SUH SAHAK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95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