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세문학의 관점에서 본 일본 무사도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 시게모리(重盛) 설화와 니토베 이나조(新渡戸稲造)『무사도』충의편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112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헤이케모노가타리』 시게모리 설화 분석 『헤이케모노가타리』 판본 비교 및 동시대 관련 기록과의 비교를 통해 다양한 시게모리 인물 조형이 존재했음을 밝힌다. 시게모리와 관련된 ...

      1. 『헤이케모노가타리』 시게모리 설화 분석
      『헤이케모노가타리』 판본 비교 및 동시대 관련 기록과의 비교를 통해 다양한 시게모리 인물 조형이 존재했음을 밝힌다. 시게모리와 관련된 동시대 자료를 수집하여 실재 시게모리와 모노가타리 속 시게모리 인물조형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시게모리에 관한 언술은 『헤이케모노가타리』에 가장 많이 보이지만 그 밖의 군담류, 귀족들의 일기, 사론에도 보인다. 『헤이케모노가타리』의 여러 판본들은 물론, 『호겐모노가타리(保元物語)』『헤이지모노가타리(平治物語)』와 같은 군담류, 『햐쿠렌쇼(百練抄)』『교쿠요(玉葉)』와 같은 귀족들의 일기, 『구칸쇼(愚管抄)』와 같은 사론(史論) 등, 동시대 시게모리 관련 자료들을 모아 분석, 고찰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시게모리 설화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시게모리에 대한 보다 입체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궁극적으로 이야기 속 시게모리 인물 조형에 담겨 있는 허구성을 밝혀 모노가타리의 의도를 파악하는 데 있어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2.시게모리 설화의 근세적 변용
      <충을 위해 죽음을 선택한 무사 시게모리>의 탄생과정을 살펴보고 변형의 중심점을 분석, 고찰한다. 두 번째 단계로 시게모리 관련 설화가 근세 시대 어떻게 변화되고 향유되었는지 조사, 연구하고자 한다. 시게모리 관련 자료를 산문과 운문은 물론 극문학, 회화 자료 등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 분석하여 근세 시대 시게모리는 어떤 인물로 조형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무사들의 가치관과 지배 철학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고찰하여 근세 시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특히 무사도 관련 서술들을 집중 탐구하여 근대 무사도와의 차별성을 밝혀내고 무사도 개념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세라는 시대에 대한 이해, 유교의 충 사상에 대한 이해, 사도와 무사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게모리 관련 작품들을 수집, 분석하여 근세 시게모리 인물조형의 특징을 파악하고 시게모리 설화의 가감, 강조점의 변동 등을 주의 깊게 고찰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근대화 이후 근대 무사도 붐을 이해하는 기초 작업이 될 뿐만 아니라 니토베 이나조 『무사도』이해의 주요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3. 근대 무사도 붐과 『무사도』의 탄생
      근대 무사도 붐의 형성과정과 니토베 이나조 『무사도』탄생에 대해 고찰한다.세 번째 단계로 근대 일본에 있어 무사도 붐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무사도 관련 저술들에 담긴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여 근대 초 메이지 시대 무사도의 문화적 역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메이지 유신과 더불어 무사라는 신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새로운 시대에 무사도가 인기어가 되었을까? 근세 무사들의 덕목은 과연 어떤 과정을 거쳐 근대 국민국가의 국민들에게 적용되었을까? 메이지 시대 사람들은 왜 무사도라는 용어에 그렇게 열광하였을까? 이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근대 무사도 붐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한편 니토베 이나조 『무사도』 이해의 기초 토대가 될 것이다.
      을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추적하고자 한다.
      메이지 20년(1887)에 구술된 야마오카 뎃슈(山岡鉄舟)의 『무사도』를 비롯하여 후쿠자와 유키치(福沢諭吉)『미카와(三河) 무사의 오기(痩せ我慢の説, 1894)』 우에무라 마사히사(植村正久)「기독교와 무사도(キリスト教と武士道, 1894)」, 이 밖에도 가타오카 겐키치(片岡健吉), 우치무라 간조(内村鑑三) 등 수 많은 인사들이 무사도에 관해 언급했다. 근대 무사도를 논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텍스트에 대한 통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대 무사도를 언급함에 있어 우선 앞서 언급한 자료들의 특징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메이지 31년(1898)에 간행된 잡지 『무사도』를 집중 분석하여 근대 무사도에 관한 다양한 의견의 존재와 그 영향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4. 니토베 이나조『무사도』충의편 분석
      시게모리 설화의 의미와 스스로 선택한 죽음의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본 연구의 네 번째 단계는 『무사도』 충의편을 꼼꼼히 읽는 것에서 시작하고자 한다. 텍스트를 꼼꼼히 읽고 그 안에 인용되어 있는 서양 사상은 물론 일본의 예화(例話)를 원전과 비교하면서 자세히 정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기초 작업을 통해 니토베 이나조의 충의에 대한 사상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또는 주요 쟁점은 무엇인지, 어떤 내용에 포인트를 맞추어 설명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 고찰하고자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