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비교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002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두 수업의 특징과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의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을 동영상으로 녹화하고 전사하였으 며, 이를 플랜더스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의 발언이 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학생의 학습활동과 교사의 발언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둘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 중심의 지배적, 전제적, 제한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지시적 경향의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생 중심의 통합적, 민주적, 포괄적, 허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비지시적 경 향의 수업이다. 셋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 강의 중심의 지식 내용 전달을 강조하는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지식 내용 전달은 줄이고 학생의 활동과 발언을 강조하는 수업이다. 넷째, 전통적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형태는 교사의 강의와 질문에 학생이 단순 반응을 하는 단방향적인 의사소통이 주로 이루어지고 플립러닝 수업에서는 교사가 학생을 칭찬하거나 격려하고 학생의 생각을 수용하거나 사용하는 상호작용이 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두 수업의 특징과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의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을 동...

      본 연구는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두 수업의 특징과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의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을 동영상으로 녹화하고 전사하였으 며, 이를 플랜더스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의 발언이 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학생의 학습활동과 교사의 발언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둘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 중심의 지배적, 전제적, 제한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지시적 경향의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생 중심의 통합적, 민주적, 포괄적, 허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비지시적 경 향의 수업이다. 셋째, 전통적 수업은 교사 강의 중심의 지식 내용 전달을 강조하는 수업이고 플립러닝 수업은 지식 내용 전달은 줄이고 학생의 활동과 발언을 강조하는 수업이다. 넷째, 전통적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형태는 교사의 강의와 질문에 학생이 단순 반응을 하는 단방향적인 의사소통이 주로 이루어지고 플립러닝 수업에서는 교사가 학생을 칭찬하거나 격려하고 학생의 생각을 수용하거나 사용하는 상호작용이 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instruction and flipped learning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n those learning method. The videos of traditional instruction and flipped learning of 5th graders social clas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which were analyzed in Flanders verbal interac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lipped learning is composed of students’ learning activity and a teacher’s statement properly, while the traditional instruction consists of a teacher’s statement mostly. Second, the traditional instruction tends to be directive classes that full of dominant, despotic, restrictive communication of teacher oriented. In contrast, the flipped learning is inclined to be nondirective with integrated, democratic, comprehensive, permissive communication of students oriented. Third, the flipped learning emphasizes students’ activities and statement and reduces delivery of knowledge, meanwhile, the traditional instruction stresses delivery of content that the teacher centrally located. Lastly, the type of verbal interaction in traditional instruction is a one-way communication, students responding simply in teacher’s lectures and questions. On the other hand, in flipped learning lessons, more interactive communication occurs, teachers complimenting students and accepting their comm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instruction and flipped learning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n those learning method. The videos of traditional instruction and flipped lea...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instruction and flipped learning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n those learning method. The videos of traditional instruction and flipped learning of 5th graders social clas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which were analyzed in Flanders verbal interac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lipped learning is composed of students’ learning activity and a teacher’s statement properly, while the traditional instruction consists of a teacher’s statement mostly. Second, the traditional instruction tends to be directive classes that full of dominant, despotic, restrictive communication of teacher oriented. In contrast, the flipped learning is inclined to be nondirective with integrated, democratic, comprehensive, permissive communication of students oriented. Third, the flipped learning emphasizes students’ activities and statement and reduces delivery of knowledge, meanwhile, the traditional instruction stresses delivery of content that the teacher centrally located. Lastly, the type of verbal interaction in traditional instruction is a one-way communication, students responding simply in teacher’s lectures and questions. On the other hand, in flipped learning lessons, more interactive communication occurs, teachers complimenting students and accepting their com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2.1 플립러닝의 교육적 의미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2.1 플립러닝의 교육적 의미
      • 2.2 수업언어의 상호작용 분석
      • 3. 연구 방법
      • 3.1 연구 대상
      • 3.2 분석 도구
      • 3.3 분석 절차
      • 3.4 분석 방법
      • 4. 연구 결과
      • 4.1 수업언어의 형태와 특징
      • 4.2 수업 언어상호작용의 경향
      • 4.3 수업 언어 상호작용의 형태
      • 5. 결론 및 제언
      • 5.1 결론
      • 5.2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숙,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47-57, 2015

      2 강창숙,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실습에서 나타난 언어상호작용의 관찰과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1 (21): 67-83, 2014

      3 박기범, "사회과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함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3 (53): 107-120, 2014

      4 이민경,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실사회학적 의미 분석: 참여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81-207, 2014

      5 Gaudencio, V. A.,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and practice" Rex book store 1999

      6 Flipped Learning Network, "What is Flipped Learning?" FLN 2014

      7 Jeremy F., "The effects of the classroom Flip on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2007

      8 Bondi, J. C., "The Effects of Interaction Analysis Feedback on the Verbal Behavior of Student Teache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ducation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1969

      9 Back, J. E., "The Analysis of Flanders Verbal Interaction Type on the Videos of Excellent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Wonkwang University 2009

      10 Flanders. N. A., "Teacher Influence, Pupil Attitudes, and Achievement" University of Minnesota 1960

      1 이희숙,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47-57, 2015

      2 강창숙,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실습에서 나타난 언어상호작용의 관찰과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1 (21): 67-83, 2014

      3 박기범, "사회과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함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3 (53): 107-120, 2014

      4 이민경,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실사회학적 의미 분석: 참여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81-207, 2014

      5 Gaudencio, V. A.,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and practice" Rex book store 1999

      6 Flipped Learning Network, "What is Flipped Learning?" FLN 2014

      7 Jeremy F., "The effects of the classroom Flip on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2007

      8 Bondi, J. C., "The Effects of Interaction Analysis Feedback on the Verbal Behavior of Student Teache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ducation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1969

      9 Back, J. E., "The Analysis of Flanders Verbal Interaction Type on the Videos of Excellent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Wonkwang University 2009

      10 Flanders. N. A., "Teacher Influence, Pupil Attitudes, and Achievement" University of Minnesota 1960

      11 KBS, "KBS Panoramic 21st century education revolution"

      12 Sampath, K., "Introduction to Educational Technology" Sterling Publishers Private Limited 2007

      13 Byeon, Y. K.,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analysis" hakjisa 2011

      14 "Flipping the Classroom" University of Washington

      15 Jonathan, B., "Flip your Classroom" Sigong Media 2013

      16 See, K. H.,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Analysis Feedback on the Verbal Behaviour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21 : 115-128, 2006

      17 Lee, M. K., "Case Study on Effects and Signification of Flipped Classroom"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25 1.991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