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석면피해구제법」의 현황과 앞으로의 법적 과제 = Current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Asbestos Damage Relief Act and Its Legal Challenges and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legislative background, main contents,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Asbestos Damage Relief Act, which first introduced an administrative relief system for environmental damage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problems and l...

      This article analyzes the legislative background, main contents,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Asbestos Damage Relief Act, which first introduced an administrative relief system for environmental damage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under the current law and suggests some legislative solu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ddress these limitations and considers some factors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stages of introducing or improving an administrative relief system in a field such as this.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the Asbestos Damage Relief Act has been implemented relatively stably and well, and its performance can be evaluated as successful.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legal challenges surrounding (i) the criteria of recognition as an asbestos victim, (ii) the scope and amount of administrative relief, (iii) cost-sharing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nd (iv) the application of a specially allotted charge rate.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solve these problems.
      Some important reasons that l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Asbestos Damage Relief Act and its quick implementation are as follows: many victims complained of asbestos damages, it was difficult to remedy damage only using existing systems, it was predicted that asbestos damages would continue to occur due to the long incubation period of asbestos diseases, and a long-term and continuous damage relief system was required due to difficulties in identifying the causation of asbestos damages.
      Some important reasons that the act pass relatively easily are: the number of diseases caused by asbestos exposure was limited, there were not substantial difficulties in preparing requirements or criteria for the institutional recogni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disease and asbestos exposure and calculating the cost of treatment or medical care for each characteristic asbestos disease; and companies evaluated as bearing potential liability for asbestos diseases relatively willingly agreed to share the cost of relief because the seriousness of asbestos damage was widely recognized socially.
      However, if the scope of the diseases subject to administrative relief or the scope of pollutants or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that may potentially cause the disease is comprehensive, there will be inevitably many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requirements or criteria for recognizing the causal relationship or determining the type or amount of relief benefits. Moreover, if the act is institutionalized under uncertain or abstract settings, there will be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its operation. An administrative relief system under the Act on Liability and Relief for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f a new type of environmental damage whose cause is unknown occur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fully and carefully the characteristics or patterns of diseases or damages subject to the administrative relief, reflecting on the reasons why the Asbestos Damage Relief Act has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successfully before hasty institutionalization of an a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행정적 구제제도를 최초로 도입한 「석면피해구제법」의 입법배경과 그 주요내용, 시행현황 등을 차례로 살펴보고, 「석면피해구제법」이 안고 있는 법적 과...

      이 글은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행정적 구제제도를 최초로 도입한 「석면피해구제법」의 입법배경과 그 주요내용, 시행현황 등을 차례로 살펴보고, 「석면피해구제법」이 안고 있는 법적 과제를 모색하는 한편, 이와 유사한 행정적 구제제도의 도입이나 개선 논의에서 유의하여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석면피해구제법」의 제정배경과 그 주요내용 및 시행현황 등을 검토한 결과, 「석면피해구제법」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그 성과 역시 성공적이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i) 석면피해인정기준, (ii) 구제의 대상 및 구제급여 수준, (iii)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구제급여 비용부담, (iv) 특별분담금률의 적용 등을 둘러싸고 여전히 적지 않은 법적 과제를 안고 있으며 이들 숙제를 풀어가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석면피해구제법」이 제정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당시 석면피해를 호소하는 피해자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 반면 종래 손해배상청구나 산업재해보상청구 등의 제도만으로는 원활하고 충실한 피해구제가 곤란하였다는 점, 석면질병의 긴 잠복기간 등의 특성으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는 한편 그 원인자 규명의 어려움 등으로 장기적이고 계속적인 피해구제 시스템이 요구되었다는 점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인 제도화에 있어서도 석면 노출로 인한 질병이 특정적이고 그 수가 한정적이었고, 각각의 질병과 석면 노출 간의 인과관계를 제도적으로 인정하기 위한 요건 내지 기준을 정립하거나 각각의 석면질병의 특성별로 치료나 요양 등에 드는 비용을 예측하여 정액화하는 데에 비교적 큰 어려움이 없었기 때문에, 그리고 석면피해의 심각성을 사회적으로 널리 인식함에 따라 그 잠재적 원인자로 평가되는 기업들이 비교적 흔쾌히 그 구제에 드는 비용 분담에 동의하였기 때문에, 석면피해가 드러난 시점으로부터 비교적 단기간에 입법에 성공할 수 있었고 지금까지 충실하고 원활하게 제도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반면, 구제대상이 되는 질병의 범위가 포괄적이라거나 그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는 오염물질이나 환경유해인자가 포괄적인 경우에는 그 오염물질 내지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질병 간의 인과관계를 제도적으로 인정하기 위한 요건 또는 기준을 마련하거나 그에 대한 구제급여의 종류나 금액 등을 정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를 불확실하게 혹은 추상적으로 설정한 채로 제도화할 경우에는 그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에 따른 행정적 구제제도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앞으로 만약 새로운 유형의 원인자 불명의 피해가 발생하게 될 경우, 그에 대한 행정적 구제제도를 도입할 것인지, 만약 도입한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도화할 것인지 등을 고민하고 검토함에 있어서는 「석면피해구제법」이 제정될 수 있었던 배경과 그 구제대상이 되는 질병이나 피해의 특성이나 양상에 따라 어떠한 구조로 제도화되었는지 등을 좀 더 충분하고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종원,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행정적 구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론: 「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에 따른구제급여 지급현실에 비추어" 한국환경법학회 40 (40): 3-46, 2018

      2 박종원, "환경오염피해 배상 및 구제 제도 개선을 위한 입법방안 연구" 한국법정책학회 15 (15): 1319-1357, 2015

      3 강연실 ; 김지원 ; 박진영, "환경보건재난의 사회적 구성 :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25 (25): 125-172, 2021

      4 강동묵, "우리나라 석면의 건강피해 현황" 2008

      5 박종원, "외국의 석면피해에 대한 법적 구제와 시사점" 비교법학연구소 2 : 23-59, 2009

      6 현준원, "석면피해구제제도 구제범위 확대방안 연구" 환경부/한국법제연구원 2016

      7 박종원, "석면피해구제의 비용부담과 원인자책임원칙" 한국환경법학회 31 (31): 193-226, 2009

      8 "석면피해구제시스템"

      9 박종원, "석면피해 예방 및 구제를 위한 법령 제도 연구(II)" 환경부/한국법제연구원 2010

      10 박종원, "석면으로 인한 건강피해 구제를 위한 법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8

      1 박종원,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행정적 구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입법론: 「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에 따른구제급여 지급현실에 비추어" 한국환경법학회 40 (40): 3-46, 2018

      2 박종원, "환경오염피해 배상 및 구제 제도 개선을 위한 입법방안 연구" 한국법정책학회 15 (15): 1319-1357, 2015

      3 강연실 ; 김지원 ; 박진영, "환경보건재난의 사회적 구성 :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25 (25): 125-172, 2021

      4 강동묵, "우리나라 석면의 건강피해 현황" 2008

      5 박종원, "외국의 석면피해에 대한 법적 구제와 시사점" 비교법학연구소 2 : 23-59, 2009

      6 현준원, "석면피해구제제도 구제범위 확대방안 연구" 환경부/한국법제연구원 2016

      7 박종원, "석면피해구제의 비용부담과 원인자책임원칙" 한국환경법학회 31 (31): 193-226, 2009

      8 "석면피해구제시스템"

      9 박종원, "석면피해 예방 및 구제를 위한 법령 제도 연구(II)" 환경부/한국법제연구원 2010

      10 박종원, "석면으로 인한 건강피해 구제를 위한 법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8

      11 남명숙 ; 김창수 ; 양기용, "석면위험과 석면정책변동"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187-212, 2017

      12 김동일, "석면 건강피해 구제 방향" 물사랑신문사 (49) : 2008

      13 이종태, "대기오염의 건강 영향 평가를 위한 역학연구 설계 및 방법론" 대한예방의학회 34 (34): 2001

      14 William L. Anderson, "The Unwarranted Basis for Today’s Asbestos “Take-home” Cases" 39 : 107-, 2015

      15 Brendan Kelly, "Take-home Toxin: Following Kesner’s Lead and Creating a Consistent Framework for Determining Duty toward Victims of Secondary Asbestos Exposure" 77 : 1166-, 2018

      16 Phillips Workman, "Dust in the Wind: Revisiting Georgia’s Refusal to Extend Liability to Employers in Take-home Asbestos Litigation" 53 : 1169-, 2019

      17 Jake Snow, "Considering Duty in Take-home Asbestos Exposure Cases" 12 : 199-, 2017

      18 기획재정부, "2021 기금현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