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는 수업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고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강좌평가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사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64501
2004
Korean
Cyber University ; Course Evaluation ; 사이버대학 ; 강좌 평과 ; 척도개발
37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1(21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는 수업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고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강좌평가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사이...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는 수업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고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강좌평가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사이버대학 강좌평가 도구의 평가영역 및 평가준거를 도출하였다. 예비도구는 강좌를 평가하기 위한 10가지 평가영역을 바탕으로 5점 척도의 29개의 평가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내적타당도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 평가척도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158명의 사이버대학 재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결과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12개의 문항에 대해 5개의 평가영역이 도출되었도, 이것은 2개의 내재적 공동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인1은 교수자 관련, 교수설계/조직/내용, 피드백, 상호작용의 평가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요인1을 '교수-학습 조직/교수활동'의 요인명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요인1은 기존의 오프라인대학에서도 강좌평가를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환경 및 교수방법, 매체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강좌의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인2는 잠정적 평가영역에서 도출된 시스템관련영역에 해당하는 평가영역으로서 선행연구와 동일한 이름으로 요인명을 설명할 수 있다. 요인2는 사이버대학의 교육환경 및 시스템의 특성이 반영된 문항으로, 사이버대학에서의 강좌의 독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차별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udent ratings to evaluate online course in Cyber Univers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ere were three major phases of the study: (1) through literature review, analysis the critical dimension of student rat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udent ratings to evaluate online course in Cyber Univers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ere were three major phases of the study: (1) through literature review, analysis the critical dimension of student ratings in Off-Line University and Cyber University; (2) development of student ratings in Cyber University; Identify critical dimensions thought factor analysis.
A set of survey questionnair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consists of 10 dimensions: overall ratings, instructor, students, atmosphere(rapport)/interaction, instructional design/organization/knowledge, assignments, system/support, workload, feedback, outcome. The survey was carried out 158 students.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ritical common dimensions of student ratings in Off-Line University and Cyber University were 1) overall ratings, 2) Instructor/Facilitator, 3) building atmosphere (rapport), 4) feedback/interaction, 5) instructional design/organization/knowledge, 6) assignments.
Secondly, critical dimensions to evaluate course in Cyber University were 1) overall ratings, 2) instructor, 3) atmosphere (rapport), 4) feedback/interaction, 5) instructional design/organization/knowledge, 6) assignments, 7) system/support, 8) workload.
thirdly,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to prove validity of instrument, there were two factors. Factor 1 were 'Instructional organization/teaching activity' that include Instructor, Instructional design, Feedback, Interaction. Factor 2 was System/Support that is characteristic of online cours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생의 질문지 반응결과를 활용한 수업평가의 방향" 21 : 57-62, 2000
2 "학생수가 강의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 29 : 33-39, 1998
3 "웹기반 교육에서의 평가,웹기반 교육(pp. 177-203)" 교육과학사 177-203, 1999
4 "웹 기반 가상수업 평가 연구" 대학교 방송 통신교육연구소 1999
5 "수업의 개선을 위한 수업평가의 도구개발과 운영" 48 : 135-160, 1999
6 "수업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한 수업평가" 129-138, 1991
7 "대학 교수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의 타당성 연구" 9 (9): 147-172, 1997
8 "다변량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1998
9 "교육학 용어사전" 동남기획 2002
10 "교육정보화백서" 교육인적자원부 2001
1 "학생의 질문지 반응결과를 활용한 수업평가의 방향" 21 : 57-62, 2000
2 "학생수가 강의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 29 : 33-39, 1998
3 "웹기반 교육에서의 평가,웹기반 교육(pp. 177-203)" 교육과학사 177-203, 1999
4 "웹 기반 가상수업 평가 연구" 대학교 방송 통신교육연구소 1999
5 "수업의 개선을 위한 수업평가의 도구개발과 운영" 48 : 135-160, 1999
6 "수업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한 수업평가" 129-138, 1991
7 "대학 교수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의 타당성 연구" 9 (9): 147-172, 1997
8 "다변량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1998
9 "교육학 용어사전" 동남기획 2002
10 "교육정보화백서" 교육인적자원부 2001
11 "교육정보화백서" 교육인적자원부 2002
12 "교수설계 이론에 근거한 대학 강의평가 도구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17 (17): 81-108, 2001
13 "교사의 수업 수행 평가준거의 타당화 연구" 9 : 263-283, 1997
14 "강의평가 자료분석을 통한 강의평가지 개선방안: 한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16 : 81-101, 2002
15 "[기류] 설익은 사이버대학" 1205 : 2003
16 "Web-Based Training Cookbook" John Wiley & Sons, Inc 1997
17 "Students’ Evaluation of Faculty Teaching" Learning & Instructional Development Center 2002
18 "Students' evaluations of university teaching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53-288, 1987
19 "Student's evaluations of university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07-754, 1984
20 "Student ratings offer useful input to teacher evaluations" 4 (4): 1995
21 "Student ratings of teaching: The research revisited" IDEA Center, Kansas State University 32 : 1995
22 "Student Ratings, The Validity of Use University of Michigan" 52 (52): 1218-1225, 1997
23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 A Methodological Critique of Conventional Practices" 8 (8): 2000
24 "Overview of Student Ratings" IDEA center
25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implicit cognition: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74 : 1464-1480, 1997
26 "Evaluating School-Based Distance Learning Programs: Some Thoughts About Methods" 80 (80): 26-33, 1996
27 "Determins of student evaluations of global measures of instructor a course value" 22 (22): 108-119, 2000
28 "Consistency and varia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in rating their teachers and courses:A review and analysis" 6 : 233-274, 1979
29 "Appraising Teaching Effectiveness: Beyond Student Ratings" 36 : 1999
30 "A Survey of Faculty Opinions Concerning Student Evaluations of Teaching"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 14 (14): 1999
31 "1990년대 우리나라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23 (23): 111-134, 2002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 신체발달과 체육활동에 대한 유아체육 강사의 인식 및 유아체육 지도현황
고객관계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를 적용한 교수학습개발센터의 학습지원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4 | 1.54 | 2.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9 | 2.24 | 2.372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