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영화의 대중국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ntry Strategy Korean Film to China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4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inese film industry in the world financial crisis still cinema construction, film development fund, and to establish a policy level, in the process of China's capital and open form of commercial operation. Especially after China's accession to t...

      The Chinese film industry in the world financial crisis still cinema construction, film development fund, and to establish a policy level, in the process of China's capital and open form of commercial operation. Especially after China's accession to the wto in the movie box office, production, investment and financing and won line theater set up, export, all aspects of the new join. Especially 10 years imported films, in 3 years to expand to fifty department, YingTing will gradually establish and adding new theatre, and have the ownership of the operating theater, foreign capital can have. But the Chinese film industry is still the national leading system of film according to strict review, hierarchy, the United States imported a monopoly and quota practice, illegal DVD flood and higher ticket, etc.,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film market a stumbling block.
      In China, the name of the "Korean wave, ongoing" Korean culture the influence of low commodity is South Korea movie. Every year China to foreign movies and article, but most of the United States imports occupy state change. On the contrary, most of the south Korean movies online mode informal channels, and to enter the Chinese market. Especially in China's big cities in the south Korean film and its almost at the same time showing pirated DVDS in on the appear. Previously, the south Korean film in China, through the open window of local distribution into through the copyright contract, through the common production, through the film festivals, the online market, informal march, etc., through a variety of ways to. The south Korean film by hallyu boom in the Chinese market big concer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ter the Chinese Korean film analysis, and, on this basis, the China south Korean film for the strategic plan. Therefore, study of Chinese volcanic and South Korea movie related book form, magazines, news, academic papers, movie related web site reported literature such as main use. We will be the first piece of introduction Chinese movie status, production, distribution, showing center view in the third chapter, the Korean film market in China present situation and way and observation. In the fourth chapter system and thus bring south Korean film market in China are discussing relevant solutions, chapter 5, when this conclu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한 나라의 문화의 척도로서 국민들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국가의 전략산업이다. 중국의 영화산업시장은 2001년 WTO 가입이후 원선제의 도입과 여러 민간자본...

      영화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한 나라의 문화의 척도로서 국민들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국가의 전략산업이다. 중국의 영화산업시장은 2001년 WTO 가입이후 원선제의 도입과 여러 민간자본과 해외자본의 투입, 다양한 형태의 합작을 통해 발전 해왔으며 이는 풍부한 소재와 자연환경, 경제성장과 더불어 구매력이 증대하고 있는 13억 인구의 바탕으로 성장해왔다. 그라나 한국영화의 대 중국진출은 중국의 높은 입장료, 검열 및 등급제의 부재, 일관성 없는 중국정부의 영화정책, 극장 개봉부진, 불법복제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영화가 중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문화코드와 정서를 우선 파악해야한다. 또한 기존의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교류를 확대유지하고 한국인 감독제작팀을 위주로 중국풍부한 스토리자원을 재개발하고 한국의 뛰어난 제작기술을 통하여 중국내 배급사와 협력하여 중국영화배급시스템의 적성에 맞는 홍보 및 마케팅기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처럼 한·중 공동합작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인터넷 TV, 이동TV, 모바일 TV,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등 뉴미디어의 활용, 불법 DVD방지 등으로 한중간의 새로운 협력방식의 모색으로 건강한 문화교류가 있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콘텐츠산업동향" 한국콘텐츠진흥원 4-17, 2012

      2 영화진흥위원회, "중국의 영화산업현황과 한·중공동제작" 영화진흥위원회 12-14, 2011

      3 김보연, "중국의 영화산업 현황과 한·중 공동 제작" 영화진흥위원회 1-15, 2011

      4 도성희, "중국영화산업의 정책방향과 한국의 대응책고찰" 영화진흥위원회 2-6, 2012

      5 영화진흥위원회, "중국영화산업백서"

      6 안정아, "중국 영화 산업 발전에 관한보고" 7 : 25-39, 2010

      7 영화진흥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지역 한국영화진출현황연구" 영화진흥위원회 97-100, 2011

      8 스크린다이제스트, "아시아 내 스크린 수 상위 20개 극장"

      9 廣播電影電視總局, "電影制片, 放映經營則各准入暫行規定"

      10 中國電影网, "進口分帳影片態勢分析"

      1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콘텐츠산업동향" 한국콘텐츠진흥원 4-17, 2012

      2 영화진흥위원회, "중국의 영화산업현황과 한·중공동제작" 영화진흥위원회 12-14, 2011

      3 김보연, "중국의 영화산업 현황과 한·중 공동 제작" 영화진흥위원회 1-15, 2011

      4 도성희, "중국영화산업의 정책방향과 한국의 대응책고찰" 영화진흥위원회 2-6, 2012

      5 영화진흥위원회, "중국영화산업백서"

      6 안정아, "중국 영화 산업 발전에 관한보고" 7 : 25-39, 2010

      7 영화진흥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지역 한국영화진출현황연구" 영화진흥위원회 97-100, 2011

      8 스크린다이제스트, "아시아 내 스크린 수 상위 20개 극장"

      9 廣播電影電視總局, "電影制片, 放映經營則各准入暫行規定"

      10 中國電影网, "進口分帳影片態勢分析"

      11 俞佳丽, "議中國后電影产品的营销策略" 上海交通大学媒 體與設計學院 1-2, 2010

      12 中国腾讯娱乐, "笔仙2、大明猩海赚中韩合拍春天已"

      13 新华网, "国际传播乏力,中国电影何时真正走向国际"

      14 "中國電影网 (2004-2009)"

      15 "中國電影業究報告 (2007- 2011)"

      16 "中國電影業年報, (2005-2009)"

      17 "中國電影年鑑 (2004-2008), “進口分帳影片態勢分析”"

      18 凤凰网, "中国影视人才匮乏"

      19 郎咸平, "“為何影視爛片這麼多”亚洲财经" 香港中文大學

      20 김수현, "HOLLYWOOD, 대륙을 탐내다-할리우드의대중국 전략과 중국 영화시장 현황" 영화진흥위원회 4-8, 2012

      21 藝恩諮詢, "2011-2012中國文化娛樂產業報告" 24-37, 2012

      2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콘텐츠산업백서" 28-39, 2012

      23 藝恩諮詢, "2010-2011中國電影產業研究報告" 14-26, 2011

      24 문화관광부, "2003년한국문화산업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