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례공감장 ― 망월묘역과 5월의 기억 ― = Sympathetic Field of Pilgrimage - Mangwol-dong Grave Yard and Memory of May 18<sup>th</sup>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44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80년 5ㆍ18항쟁 이후 5월운동 과정에서 전개되었던 애도와 순례(巡禮)를 5월 공감장(共感場)과 감성적 주체의 형성 과정이자 그 출현을 실증하는 것으로 바라보고, 그 구체적 양상을 ...

      이 글은 1980년 5ㆍ18항쟁 이후 5월운동 과정에서 전개되었던 애도와 순례(巡禮)를 5월 공감장(共感場)과 감성적 주체의 형성 과정이자 그 출현을 실증하는 것으로 바라보고, 그 구체적 양상을 추적했다. ‘기억의 정치’ 속에서 항쟁의 진실과 참상을 실증하는 망월묘역을 향한 순례행렬은 권력이 강제한 집단기억과는 다른 대항기억을 새긴 새로운 감성적 주체들의 저항적 실천이었고, 그들의 실천 속에서 망월묘역은 ‘폭도들의 묘지’에서 ‘민주 성지’로 재편되었다. 동시에 망월묘역의 장소성은 그것을 매개로 한 광범위한 순례공감장을 형성하고 5월운동을 촉진했다. 하지만 망월묘역에 뿌리를 둔 순례공감장이 균질하고 정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한국사회의 5ㆍ18항쟁을 매개로 한 정치적 역학관계 및 담론지형을 배경으로, 민주주의를 내기물로 상정했던 ‘공범’ 세력 간 상호 대립과 충돌이 지속된 유동적인 공간이었다. 결국 5ㆍ18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면서 망월묘역은 ‘구묘역’과 ‘국립5ㆍ18 민주묘지’로 분리되었고, 오늘날 두 개의 묘역은 5월에 대한 서로 다른 기억의 뿌리이자 출발점이 되고 있다. 기념의 국가화가 낳은 문제를 성찰하는 데 있어 순례공감장이 만든 망월묘역의 장소성과 5월의 기억은 지금 여기 무엇을 말하고 기억할 것인가를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gards the mourning and pilgrimage that took place during the May Movement after the May 18 People's Uprising in 1980 as a demonstration of the formation of a sympathetic field and emotional agent, as well as the emergence of it. It traced...

      This paper regards the mourning and pilgrimage that took place during the May Movement after the May 18 People's Uprising in 1980 as a demonstration of the formation of a sympathetic field and emotional agent, as well as the emergence of it. It traced the specific aspect of it. The pilgrimage procession toward Mangwol Grave Yard, which demonstrates the truth and tragedy of the struggle in the “politics of memory,” was a resistive practice of new emotional subjects who engraved a counter memory different from the collective memory forced by the power. In their practice, the Mangwol Grave Yard was reorganized from the “Mobs' Cemetery” to the “Democratic Holy Land”. At the same time, the placeness of Mangwol Grave Yard formed an extensive pilgrimage sympathy through it and promoted the May Movement. It was a fluid space in which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accomplices” forces who assumed democracy as a stak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political dynamics and discourse terrain through the May 18 Uprising in Korean society continued. Eventually, as the May 18 Uprising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anniversary, Mangwol Grave Yard was divided into 'Old Grave Yard' and 'National 5.18 Democratic Cemetery', and today the two cemeteries are the roots and starting points of different memories of May. In reflecting on the problems created by the nationalization of the commemoration, the placeness of Mangwol Grave Yard created by Pilgrimage Sympathetic and the memory of May suggests what to say and remember here and now.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겨레"

      2 김동일, "피에르 부르디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3 선명수, "주인공 없는 5・18기념식…수난의 ‘임을 위한 행진곡’"

      4 "조선일보"

      5 "전북대신문"

      6 "전남대신문"

      7 정호기, "저항의례의 국가화와 계승 담론의 정치" 비판사회학회 (76) : 10-38, 2007

      8 김형중, "저항과 재현"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9 신지은, "장소의 상실과 기억 : 조르쥬 페렉(Georges Perec)의 장소 기록에 대하여" 한국사회학회 45 (45): 232-256, 2011

      10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 "한겨레"

      2 김동일, "피에르 부르디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3 선명수, "주인공 없는 5・18기념식…수난의 ‘임을 위한 행진곡’"

      4 "조선일보"

      5 "전북대신문"

      6 "전남대신문"

      7 정호기, "저항의례의 국가화와 계승 담론의 정치" 비판사회학회 (76) : 10-38, 2007

      8 김형중, "저항과 재현"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9 신지은, "장소의 상실과 기억 : 조르쥬 페렉(Georges Perec)의 장소 기록에 대하여" 한국사회학회 45 (45): 232-256, 2011

      10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1 김덕현, "장소성과 장소구축"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4 (14): 1996

      12 김덕현, "장소감의 유형화와 장소 재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5 (15): 1997

      13 빅터 터너, "인간 사회와 상징 행위" 황소걸음 2018

      14 "이대학보"

      15 최정운, "오월의 사회과학" 오월의봄 2012

      16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17 데이비드 하비,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문화과학사 2010

      18 조태일, "시인은 밤에도 눈을 감지 못한다" 나남출판 1996

      19 피에르 부리디외,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그린비 2015

      20 강인철, "사회극의 시각에서 본 광주항쟁" 한국민주주의연구소 (40) : 123-156, 2019

      21 빅터 터너, "빅터 터너의 제의에서 연극으로" 민속원 2014

      22 정금자, "불쌍한 새끼들, 저렇게 어린 것이 무신죄라고…" 1989

      23 강인철, "변혁의 리미널리티와 해방의 커뮤니타스: 광주항쟁에 대한 새로운 접근" 신학연구소 (205) : 114-156, 2019

      24 정호기, "민주화운동 기념사업의 정치 사회적 과정과 자원동원" 한국사회학회 38 (38): 221-247, 2004

      25 "매일경제"

      26 박준일, "망월묘역폐쇄공작의 진상" 1991

      27 "동아일보"

      28 "대학신문"

      29 정호기, "기념사업으로 본 ‘5ㆍ18’의 의미 변용 : 민주성지, 문화도시, 인권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71 (71): 52-74, 2015

      30 임동확, "그때 그 자리 그사람들: 5・18민중항쟁 사적지 답사기" 여유당 2007

      31 국립5・18민주묘지관리소, "국립5・18민주묘지 10년사" 심미안 2007

      32 정호기, "광주민중항쟁의 '트라우마티즘'과 기념공간-'5월운동'과 국립5.18묘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58 : 5-145, 2003

      33 김경수, "광주 땅이야기" 향지사 2005

      34 정문영, "광주 ‘오월 행사’의 사회적 기원: 의례를 통한 지방의 역사 읽기" 서울대학교 1999

      35 전남대학교 감성인문학연구단, "공감장이란 무엇인가" 길 2017

      36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37 "고대신문"

      38 "경향신문"

      39 "경상대학보"

      40 나간채, "5・18기념사업과 5월운동" 5.18연구소 11 (11): 1-37, 2011

      41 정호기, "5월행사와 주체로 본 ‘5월운동’ 연구-연구 현황, 한계 그리고 방향-" 5.18연구소 4 (4): 197-218, 2004

      42 박선출, "5월의 문화예술" 샘물 2001

      43 문부식, "(특별기획) 다시 찾은 망월동 “광주의 달은 하나이되 1천개의 강을 비춘다”" 1997

      44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전남본부, "(성명서)故 이한열군을 망월동 5월 묘역에 안장하면서"

      45 광주전남추모연대, "(브로슈어)5・18정신계승 호남민족민주열사・희생자"

      46 (사)5・18민주유공자유족회, "(5・18민중항쟁 증언록) 그해 오월 나는 살고 싶었다 1・2"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Gamsung -> Emotion Studies KCI등재
      2020-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8-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