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정치ㆍ사회적 부정 및 왜곡의 지속구조 = The continuing structure of political and social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4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아직도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과 왜곡이 지속될 수 있는 정치적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살피는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과 왜곡이 특정 개인과 집단의 일탈에 따른 것으로 가정하는 시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다. 다른 하나는 5.18민주화운동이 갖는 인류보편적 규범과 민주주의적 가치에 대한 조명, 그리고 사실관계의 규명과 축적에도 불구하고 부정과 왜곡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치 사회적 행위자들을 강제하고 유도하는 보다 구조적인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그간의 논의에서 정치적 구조에 초점을 맞춘 논의는 거의 전무하다. 이로부터 이 논문은 5.18민주화운동 이후 정치균열과 정당체제의 작동방식과 성격에 주목함으로써, ‘의사(pseudo) 진보-보수 양당우위체제’라는 정치적 구조에 바탕해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과 왜곡이 지속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이는 의사 진보-보수 양당우위체제가 민주-반민주 균열의 조기해소, 지역균열의 장착과 변용, 진보-보수 균열의 제약과 변형적 동원을 통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5.18민주화운동을 과거화ㆍ형식화(의례화)-지역화ㆍ고립화-추상화ㆍ정파화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과 왜곡의 지속이라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와 같은 정치적 구조를 해체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5.18민주화운동의 경험과 의미를 민중의 삶의 질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를 내는 이념과 정책의 투입과 산출로 연결해내야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아직도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과 왜곡이 지속될 수 있는 정치적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살피는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과 왜곡이 특정 개인...

      이 논문은 아직도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과 왜곡이 지속될 수 있는 정치적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살피는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과 왜곡이 특정 개인과 집단의 일탈에 따른 것으로 가정하는 시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다. 다른 하나는 5.18민주화운동이 갖는 인류보편적 규범과 민주주의적 가치에 대한 조명, 그리고 사실관계의 규명과 축적에도 불구하고 부정과 왜곡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치 사회적 행위자들을 강제하고 유도하는 보다 구조적인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그간의 논의에서 정치적 구조에 초점을 맞춘 논의는 거의 전무하다. 이로부터 이 논문은 5.18민주화운동 이후 정치균열과 정당체제의 작동방식과 성격에 주목함으로써, ‘의사(pseudo) 진보-보수 양당우위체제’라는 정치적 구조에 바탕해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과 왜곡이 지속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이는 의사 진보-보수 양당우위체제가 민주-반민주 균열의 조기해소, 지역균열의 장착과 변용, 진보-보수 균열의 제약과 변형적 동원을 통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5.18민주화운동을 과거화ㆍ형식화(의례화)-지역화ㆍ고립화-추상화ㆍ정파화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부정과 왜곡의 지속이라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와 같은 정치적 구조를 해체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5.18민주화운동의 경험과 의미를 민중의 삶의 질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를 내는 이념과 정책의 투입과 산출로 연결해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political structure in which the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can still persist. There are two reasons to look in to this. One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view that assumes that the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is due to deviation from specific individuals and groups. The other is that denial and distortion persisit despite ilumination, clafication and accumulation of the universal norms of mankind, democratic value, and the facts. Ther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more structural factors that force and induce political and social actor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discussion about the 5.18 Democratiaztion Movement focused on the political structure. From this,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can continue based on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pseudo progressive-conservative bipartisan dominance system’, throughly that focuses on the operation mode and character of the political cleaverges and the party system after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is is because the pseudo progressive-conservative bipartisan dominance system has made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as the past and ritual, the local and isolated, and the abstracted-politically devided, in the process that early resolution of the democratic-anti democratic cleaverge, the install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local cleaverge, and the restriction and transformational mobilization of the progressive-consrvative cleaverg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ontinuing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such a political structure must be dismantled. And for this,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must be linked to the input and output of idea and policies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political structure in which the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can still persist. There are two reasons to look in to this. One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view that assumes that the deni...

      This article examines the political structure in which the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can still persist. There are two reasons to look in to this. One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view that assumes that the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is due to deviation from specific individuals and groups. The other is that denial and distortion persisit despite ilumination, clafication and accumulation of the universal norms of mankind, democratic value, and the facts. Ther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more structural factors that force and induce political and social actor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discussion about the 5.18 Democratiaztion Movement focused on the political structure. From this,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can continue based on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pseudo progressive-conservative bipartisan dominance system’, throughly that focuses on the operation mode and character of the political cleaverges and the party system after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is is because the pseudo progressive-conservative bipartisan dominance system has made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as the past and ritual, the local and isolated, and the abstracted-politically devided, in the process that early resolution of the democratic-anti democratic cleaverge, the install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local cleaverge, and the restriction and transformational mobilization of the progressive-consrvative cleaverg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ontinuing denial and distortion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such a political structure must be dismantled. And for this,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must be linked to the input and output of idea and policies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호철, "현대한국정치" 사회평론 1997

      2 김상봉, "항쟁 공동체와 지양된 국가: 5·18 공동체론을 위한 철학적 시도" 5.18연구소 10 (10): 5-46, 2010

      3 최장집, "한국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 까치 1990

      4 조현연, "한국진보정당운동사 : 진보당에서 민주노동당 분당까지" 후마니타스 2009

      5 박상훈, "한국의 정치양극화: 행태, 기원 그리고 구조" 28 (28): 2015

      6 이갑윤, "한국의 선거와 지역주의" 오름 1998

      7 이기호, "한국의 민주화 과정과 사회운동네트워크 : 1987-1996"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8 강원택, "한국에서 정치 균열 구조의 역사적 기원: 립셋-록칸 모델의 적용" 극동문제연구소 27 (27): 99-129, 2011

      9 조희연, "한국사회운동사 : 한국 변혁운동의 역사와 80년대의 전개과정" 한울 2001

      10 김동춘, "한국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 창작과 비평사 1997

      1 손호철, "현대한국정치" 사회평론 1997

      2 김상봉, "항쟁 공동체와 지양된 국가: 5·18 공동체론을 위한 철학적 시도" 5.18연구소 10 (10): 5-46, 2010

      3 최장집, "한국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 까치 1990

      4 조현연, "한국진보정당운동사 : 진보당에서 민주노동당 분당까지" 후마니타스 2009

      5 박상훈, "한국의 정치양극화: 행태, 기원 그리고 구조" 28 (28): 2015

      6 이갑윤, "한국의 선거와 지역주의" 오름 1998

      7 이기호, "한국의 민주화 과정과 사회운동네트워크 : 1987-1996"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8 강원택, "한국에서 정치 균열 구조의 역사적 기원: 립셋-록칸 모델의 적용" 극동문제연구소 27 (27): 99-129, 2011

      9 조희연, "한국사회운동사 : 한국 변혁운동의 역사와 80년대의 전개과정" 한울 2001

      10 김동춘, "한국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 창작과 비평사 1997

      11 이내영,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국민들의 양극화인가, 정치엘리트들의 양극화인가?" 한국정당학회 10 (10): 251-287, 2011

      12 이성우, "한국 정치의 양극화와 당파적 배열" 5.18연구소 11 (11): 109-138, 2011

      13 심지연, "한국 정당정치사 : 위기와 통합의 정치" 백산서당 2017

      14 박경미, "한국 정당의 계승정당 설정에 대한 소고" 2 (2): 2008

      15 강원택, "한국 정당 정치 70년: 한국 민주주의 발전과 정당 정치의 전개" 한국정당학회 17 (17): 5-32, 2018

      16 김수진, "한국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백산서당 2008

      17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와 광주항쟁의 세 가지 의미" 아세아문제연구원 50 (50): 144-171, 2007

      18 크라우치, 콜린, "포스트민주주의" 미지북스 2008

      19 런시먼, 데이비드, "쿠테타, 대재앙, 정보권력 :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새로운 신호들" 아날로그 2020

      20 신진욱, "촛불집회와 한국 민주주의의진자 운동, 1987-2017: 포스트권위주의와 포스트민주주의 문제의동시성을 중심으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39) : 55-100, 2018

      21 김동춘, "촛불시위, 대통령 탄핵과 한국 정치의 새국면" (94) : 2017

      22 정승안, "촛불시민의 민주주의혁명에 대한 정치사회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54) : 111-138, 2017

      23 카치아피카스, 조지, "좌파의 상상력.; 전세계적 차원에서 본 1968" 난장 2009

      24 백영철, "제2공화국과 한국 민주주의" 나남 1996

      25 강원택, "제19대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정책 태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5-38, 2012

      26 곽송연, "정치적 학살(politicide)의 정당화 담론 연구: 5・18 당시 국가의 지역주의담론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6 (16): 5-32, 2016

      27 김성연, "정치적 태도와 인식의 양극화, 당파적 편향, 그리고 민주주의 - 2012년 대통령 선거 패널 데이터 분석" 5.18연구소 15 (15): 459-491, 2015

      28 장훈, "정책정당의 부침과 한국 민주주의 30년: 정책정당발전의 역사적, 이론적 제약과 한국정당의 변동" 한국정당학회 17 (17): 5-34, 2018

      29 가상준, "정책영역별로 본 국회 양극화"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1 (31): 327-354, 2016

      30 김재한, "정당구도론" 나남 1994

      31 박원호, "정당 선호의 감정적 기반: 세월호 사건과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8 (48): 119-142, 2014

      32 정근식,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 문화과학사 2003

      33 이준한, "인천의 5·3 민주항쟁과 한국의 민주화" 인천학연구원 1 (1): 185-222, 2014

      34 최정운, "오월의 사회과학" 풀빛 2012

      35 고세훈, "영국 노동당사" 나남 1999

      36 이재묵, "엘리트 정당 양극화와 유권자 투표 참여 및 정치 관심도: 18대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 (20): 145-168, 2014

      37 김정한, "비혁명의 시대 : 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빨간소금 2020

      38 강원택, "보수는 어떻게 살아남았나 : 영국 보수당 300년, 몰락과 재기의 역사" 21세기북스 2020

      39 서영표, "변화를 향한 열망, 하지만 여전히 규율되고 있는 의식: 2016년 촛불시위에 대한 하나의 해석" 사회과학연구원 14 (14): 65-90, 2017

      40 최영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후마니타스 2010

      41 김용호,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정치의 제도화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미래정치연구소 6 (6): 5-25, 2016

      42 김수진, "민주주의와 계급정치" 백산 2001

      43 정상호, "민주주의 정당기율을 통한 의회의 효율적인 갈등 관리 방안 연구" 4 (4): 2014

      44 윤성이, "무엇이 이념갈등을 증폭시키는가" (88) : 2015

      45 이갑윤, "대통령 노무현은 왜 실패했는가 : 논쟁적 대통령 노무현에 대한평가와 성찰" 에이도스 2015

      46 김정한, "대중과 폭력 : 1991년 5월의 기억" 이후 1998

      47 길정아, "당파적 편향에 따른 책임 귀속: 여야간 갈등인식과 정당 호감도를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5 (25): 45-78, 2019

      48 영, 마이클, "능력주의Meritocracy" 이매진 2020

      49 91년 5월투쟁청년모임, "그러나 지난 밤 꿈속에서 이 친구들이 나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이후 2002

      50 조성대, "균열구조와 정당체계: 지역주의, 이념, 그리고 2007년 한국 대통령 선거" 1 (1): 2008

      51 안종철, "광주민주화운동과 무장투쟁" (20) : 2001

      52 김정한, "광주 학살의 내재성―쿠데타, 베트남전쟁, 내전" 역사문제연구소 (131) : 63-85, 2020

      53 Shattsschneider, E.E, "The Semisovereign People"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1960

      54 Lipset, Seymour M, "Party System and Voter Alignment" The Free Press 1967

      55 Sasson, Donald, "One Hundred years of Socialism : The West European Left in the Tewntieth Century" THe New Press 1996

      56 McKenzie, R, "British Political Parties: The distribution of Power within the Conservative and Labour Parties" Preager Publisher 1963

      57 전재호, "91년 5월 투쟁과 한국의 민주주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4

      58 강우진, "87년체제와 촛불시민혁명: 한국민주주의의 전환" 10 (10): 2017

      59 정해구, "6월 항쟁과 민주주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4

      60 최영태, "5・18항쟁의 명칭문제 : ‘광주’와 ‘민중’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5.18연구소 15 (15): 113-148, 2015

      61 김남진, "5・18광주정신과 시민성:마을분쟁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8 (18): 155-184, 2018

      62 최영태, "5ㆍ18 민중항쟁과 김대중" 호남사학회 (57) : 185-211, 2015

      63 김희송, "5‧18항쟁 시기 군부의 5‧18담론" 5.18연구소 13 (13): 5-36, 2013

      64 서유경, "5·18 민중항쟁과 시민 주도적 자치공동체:『오월의 사회과학』의 ‘절대공동체’ 논의와 한나 아렌트 정치이론" 21세기정치학회 24 (24): 161-186, 2014

      65 노진철, "2016/2017년의 촛불집회들과 대통령 탄핵: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의 관점에서" 31 : 2017

      66 김윤철, "2016-2017년 촛불집회의 역사적 맥락과 ‘마지노선 민주주의’" 21세기정치학회 28 (28): 1-20, 2018

      67 김윤철, "1980년대 한국 진보정치 세력의 정당정치관: ‘보수야당 비판론’과 ‘전위정당론’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13 (13): 29-58, 2017

      68 김희송, "1980년 5월 광주공동체의 의미와 현재화에 대한 고찰" 신학연구소 (190) : 62-96, 2015

      69 김희송, "1980년 5월 광주, 그리고 북한- ‘북한 개입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 5.18연구소 16 (16): 33-74,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Gamsung -> Emotion Studies KCI등재
      2020-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8-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