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성보,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60년대—근대화와 군대화" 창비 2016
2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푸른역사 2016
3 김지영, "통속오락잡지 『명랑』을 통해 본 戰後 사랑의 인식구조-1950년대 수록 소설을 중심으로 -" 민족어문학회 (68) : 159-207, 2013
4 "조선일보"
5 박차민정, "조선의 퀴어—근대의 틈새에 숨은 변태들의 초상" 현실문화 2018
6 권두현, "전후(戰後) 미디어 스케이프와 공통감각으로서의 교양 - 취미오락지 『명랑』에 대한 물질 공간론적 접근 -" 한국문학연구소 (44) : 7-46, 2013
7 권명아, "음란과 혁명-풍기문란의 계보와 정념의 정치학" 책세상 2013
8 임유경, "외설과 법, 판례의 탄생 — 1960년대 ‘문예 재판’과 외설 담론 연구 —" 한림과학원 (21) : 169-215, 2018
9 이혜원, "아동청소년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한국아동복지학회 (28) : 73-100, 2009
10 이수영, "섹슈얼리티와 광기—한국 근대문학과 앎의 의지" 그린비 2008
1 김성보,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60년대—근대화와 군대화" 창비 2016
2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푸른역사 2016
3 김지영, "통속오락잡지 『명랑』을 통해 본 戰後 사랑의 인식구조-1950년대 수록 소설을 중심으로 -" 민족어문학회 (68) : 159-207, 2013
4 "조선일보"
5 박차민정, "조선의 퀴어—근대의 틈새에 숨은 변태들의 초상" 현실문화 2018
6 권두현, "전후(戰後) 미디어 스케이프와 공통감각으로서의 교양 - 취미오락지 『명랑』에 대한 물질 공간론적 접근 -" 한국문학연구소 (44) : 7-46, 2013
7 권명아, "음란과 혁명-풍기문란의 계보와 정념의 정치학" 책세상 2013
8 임유경, "외설과 법, 판례의 탄생 — 1960년대 ‘문예 재판’과 외설 담론 연구 —" 한림과학원 (21) : 169-215, 2018
9 이혜원, "아동청소년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한국아동복지학회 (28) : 73-100, 2009
10 이수영, "섹슈얼리티와 광기—한국 근대문학과 앎의 의지" 그린비 2008
11 김복순, "산업화의 최종심급과 재현의 젠더 - 1960-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학회 (27) : 409-449, 2009
12 "명랑"
13 "매일경제"
14 "동아일보"
15 김연숙, "대중잡지 『명랑』을 통해 본 전후 개인관계의 서사 - 1950년대 후반 ‘독자사교란’ 기획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2 (22): 39-69, 2016
16 "경향신문"
17 이주라, "건전 국가를 월경(越境)하는 명랑 시민" 한림과학원 (20) : 87-117, 2017
18 홍양희, "‘성’스러운 국민" 서해문집 2017
19 권보드래, "1960년을 묻다" 천년의상상 2012
20 장수경, "1960년대 학원에 나타난 근대화와 청소년의 위계화 양상" 국제비교한국학회 17 (17): 429-458, 2009
21 조은정,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한국여성문학학회 24 (24): 87-118, 2010
22 김복순, "1960년대 소설의 연애전유 양상과 젠더" 대중서사학회 (19) : 7-56, 2008
23 허윤, "1960년대 불량소녀의 지형학" 대중서사학회 20 (20): 103-130, 2014
24 최애순, "1950년대 활자매체 『명랑』 ‘스토리’의 공유성과 명랑공동체"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241-262, 2013
25 김지영, "1950년대 잡지『 명랑』의 ‘성’과 ‘연애’ 표상 - 기사·화보·유머란(1956∼1959)을 중심으로-" 한림과학원 (10) : 173-206, 2012
26 김현주, "1950년대 오락잡지에 나타난 대중소설의 판타지와 문화정치학-『명랑』의 성애소설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30) : 83-116, 2013
27 김지영, "'명랑성'의 시대적 變移와 문화정치학 - 통속오락잡지 『명랑』의 명랑소설(1956 - 1973)을 중심으로 -" 민족어문학회 (78) : 217-268,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