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정학 교육에서 행정(학) 역사의 확장과 공백의 메움 = Expanding History and Filling the Gap in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many scholars and students have studied public administration as a research topic or academic subject, many misconstrue public administration and its theories as rote learning because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has overlooked public admi...

      Although many scholars and students have studied public administration as a research topic or academic subject, many misconstrue public administration and its theories as rote learning because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has overlooked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context, described it inconsistently, or listed public administration theories chronologically. Teaching public administration based o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like a “story” would help students and even scholars understand it better and more thoroughly. This study considers overlooked eras, including the Gilded Age and the Progressive Era, and addresses the limited knowledge of the approximately 60 years between the Spoils System and the origin of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pands the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up to the beginning of the US to discuss the emergence of public administration’s foundations considering the emerging innovative Spoils System and its decadence; industrial development; creation and dismantling of trusts (as monopolies); and the establishment of orthodox public administration with Scientific Management, Human Relations, and Principle Theory. After the Great Depression, public administration studies confronted the limitations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cluding social and economic turbulence, followed by social movements; the emergence of Public Policy and New Public Administration; the rise and fall of Comparative and Development Public Administration during the Cold War. After the Oil Shock, emphasizing and modifying New Public Management and others were described in this paper. This information could help scholars evaluate cultural differences, specifically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in public administration theories to help adjus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사람이 행정학을 배우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행정이론을 단순 암기 대상으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 그동안 행정학 교육에서 역사적 흐름을 짚어주는 교육이 간과되고, 1887년 윌슨의 ...

      많은 사람이 행정학을 배우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행정이론을 단순 암기 대상으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 그동안 행정학 교육에서 역사적 흐름을 짚어주는 교육이 간과되고, 1887년 윌슨의 ‘행정의 연구' 이후를 중심으로 이론의 역사가 사회적인 맥락이 부족한 채 산재되어 서술되었으며, 시간적으로 단순 나열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행정학 역사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기존 교과서를 검토하며, 행정(학)의 역사를 확장하고, 이론적 맥락의 공백을 찾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행정학의 근간이 되는 미국 역사를 9단계로 살펴보되, 특히 그동안 경시된 도금시대(Gilded Age), 진보시대(Progressive Era), 그리고 엽관제 이후 행정‘학’ 출현 이전의 약 60년의 공백을 메우고자 한다. 또한 행정(학)의 역사를 미국의 시작까지 확장하여 미국 행정의 근간의 시작 등을 살펴본다. 이후 엽관제의 등장과 변질, 행정학의 등장, 미국 산업발전과 독점으로 트러스트(trust)의 성립과 해체,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그리고 원리주의에 근간한 전통행정학의 성립을 묘사한다. 또한 대공황 이후 정부 개입 증가의 배경과 인종, 경제 혼란 속에서 전통행정학의 한계,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대한 사회’, 정책학과 신행정학의 대두 및 냉전 속에서 비교 및 발전행정의 발달과 쇠퇴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오일쇼크 및 신공공관리론 이후를 되짚어본다. 이를 통해 학생과 학자들이 미국의 행정 제도와 현상을 배우고 연구하며, 그 제도와 정책을 도입 및 연구할 경우 본 연구가 한국행정학을 토착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용덕, "현대국가의 행정학" 법문사 2001

      2 강용기, "햊정의 역사 속에서 본 행정학의 기원 -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81-94, 2016

      3 강용기, "행정학전자사전" 2001

      4 김윤권, "행정학전자사전" 2008

      5 이대희, "행정학자들의 행정사 연구 경향" 서울행정학회 24 (24): 391-404, 2013

      6 이준형, "행정학의 주요이론" 법문사 30-43, 2006

      7 이병량, "행정학의 위기와 행정학 교육: 한국 행정학 교육의 실용성에 관하여" 한국행정연구소 48 (48): 169-188, 2010

      8 김광웅, "행정학의 성격과 범위" 13 : 217-234, 1979

      9 임의영, "행정학의 규범적 논의의 형성계기로서 왈도의 정체성 위기론에 관한 일고찰" 28 (28): 21-35, 1994

      10 한영춘, "행정학원론" 진성사 1991

      1 정용덕, "현대국가의 행정학" 법문사 2001

      2 강용기, "햊정의 역사 속에서 본 행정학의 기원 -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81-94, 2016

      3 강용기, "행정학전자사전" 2001

      4 김윤권, "행정학전자사전" 2008

      5 이대희, "행정학자들의 행정사 연구 경향" 서울행정학회 24 (24): 391-404, 2013

      6 이준형, "행정학의 주요이론" 법문사 30-43, 2006

      7 이병량, "행정학의 위기와 행정학 교육: 한국 행정학 교육의 실용성에 관하여" 한국행정연구소 48 (48): 169-188, 2010

      8 김광웅, "행정학의 성격과 범위" 13 : 217-234, 1979

      9 임의영, "행정학의 규범적 논의의 형성계기로서 왈도의 정체성 위기론에 관한 일고찰" 28 (28): 21-35, 1994

      10 한영춘, "행정학원론" 진성사 1991

      11 김선정, "행정학기원의 역사성에 관한 연구: 공공문제해결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34) : 225-245, 2014

      12 조경호, "행정학과 학부 교과과정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4 (4): 143-158, 2005

      13 박종민, "행정학: 미국행정학인가 한국행정학인가" 정부학연구소 18 (18): 131-147, 2012

      14 권기헌, "행정학 콘서트" 박영사 2014

      15 권기헌, "행정학 원론" 학림 2011

      16 김규정, "행정학 원론" 법문사 1998

      17 제갈욱, "행정학 교육실태 및 개선방안" 617-629, 2001

      18 오석홍, "행정학" 나남출판사 2001

      19 법률저널, "행정책임논쟁"

      20 한승연, "행정사의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한국행정학회 43 (43): 81-104, 2009

      21 김춘식, "행정사 연구와 교육의 역사적 변화" 12 : 111-129, 2003

      22 장동희, "한국행정학의 과제와 한국행정사의 정립방향" 9 : 1-19, 2000

      23 백완기, "한국행정학 50년" 나남출판 2005

      24 유민봉, "한국행정학" 박영사 2015

      25 김주환, "한국의 행정학 교육수요에 관한 연구-경기도를 중심으로" 10 (10): 1-15, 2001

      26 윤재풍, "한국의 행정학 교육-대학 행정학과 학사과정을 중심으로" 21 (21): 55-99, 1987

      27 이대희, "한국의 行政史" 대영문화사 2001

      28 권해수, "한국 행정학의 학문후속세대 교육의 위기 구조와 대응방안 연구" 한국행정학회 43 (43): 299-320, 2009

      29 최성락, "한국 행정학 교육의 변화: 행정학 개론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9 (19): 163-185, 2009

      30 남정집, "한국 행정개혁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관한 고찰 (Ⅰ)" 24 (24): 32-45, 2000

      31 백광엽, "트럼프식 고립주의"

      32 김상훈, "통 아메리카사: 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아메리카사" 다산에듀출판 2011

      33 박준동, "코로나 이후…개인 삶, 기업 경영, 정부 역할 다 바뀐다"

      34 정운영, "찰리 채플린의 ‘현대’ 경제학"

      35 박해리, "지방직 9급 시험에서 수학・과학 빠진다…전문과목 필수화"

      36 김동현, "중앙 집권 vs 지방분권…미국 기틀 다진 동지이자 맞수"

      37 황은정, "제인 애덤스(Jane Addams)의 사회개혁운동 -헐 하우스(Hull-House)를 중심으로-"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1) : 221-248, 2009

      38 최종원,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서울] 2003

      39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19

      40 노화준, "정책평가론" 법문사 2018

      41 정정길, "전환기 행정학 교육의 새로운 방향모색: 기본교육을 중심으로" 38 (38): 79-100, 2000

      42 박천오, "인사행정론" 법문사 2016

      43 이구한, "이야기 미국사" 청아출판사 2003

      44 김학순,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한 경기침체기 ‘만병통치약’"

      45 손호성, "우리나라 일반대학원 행정학과의 양적 방법론 교육과정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53 (53): 89-117, 2019

      46 권선필, "왈도 (Dwight Waldo) 의 행정이론이 갖는 한국 행정학에 대한 함의" 31 (31): 169-188, 1997

      47 Bernheim, E., "역사학입문" 정음사 1978

      48 강상원, "세계사 용어사전" 신원문화사 2002

      49 이종수, "새행정학" 대영문화사 2008

      50 정연택, "사회적 유용성 제고를 위한 행정학 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행정사학회 (23) : 55-75, 2008

      51 이지순, "사회과학 명저 재발견 3"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52 이도형, "비교발전 행정론" 박영사 2007

      53 최항순, "발전행정의 이론과 실제" 신원문화사 1994

      54 김판석, "미국의 행정학 교육동향 분석 및 한국행정학 교육의 정책적 함의: 행정학 개론을 중심으로" 29 (29): 1507-1533, 1995

      55 이왕휘, "미국 금융개혁의 정치경제: JP 모건 사례" 미국학연구소 36 (36): 57-92, 2013

      56 이원복, "먼나라 이웃나라 미국3 대통령편" 김영사 2012

      57 이원복, "먼나라 이웃나라 미국3 대통령편" 김영사 2005

      58 이원복, "먼나라 이웃나라 미국2 역사편" 김영사 2004

      59 최치원, "막스 베버와 한나 아렌트 인간의 실존과 자유 그리고 정치의 의미" 한국정치학회 48 (48): 299-322, 2014

      60 함성득, "대통령 비서실장론" 나남출판사 2002

      61 김훈민, "대공황과 뉴딜정책"

      62 박대근, "거시경제학" 연암사 1999

      63 박승혁, "美 남부군 영웅… 사후 ‘백인우월주의’ 상징으로"

      64 김형곤, "新제도학파의 반란…신자유주의 종언 고하다"

      65 박영서, "‘블랙골드러시’ 번창하는 석유 산업, 노스다코타"

      66 김혜미, "[세상을 앞서간 여성들] 나눔에 대한 새로운 생각 - 제인 애덤스 (Jane Addams)" 6 : 26-29, 2009

      67 Griswold, A., "Why Is It Called Antitrust?"

      68 True, J. L.,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Westview Press 155-187, 2007

      69 Wilson, W., "The Study of Administration" 2 (2): 197-222, 1887

      70 Frederickson, H. G., "The Spirit of Public Administration" Jossey-Bass 1997

      71 Lindblom, C., "The Science of “Muddling Through”" 19 (19): 79-88, 1959

      72 Frederickson, H. G., "The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Primer" Routledge 2012

      73 Simon, H. A., "The Proverbs of Administration" 6 (6): 53-67, 1946

      74 Encyclopaedia Britannica, "The Progressive Era"

      75 Wildavsky, A., "The Politics of the Budgetary Process" Little, Brown 1964

      76 Allen, G., "The Men Who Built America"

      77 McGregor, D., "The Human Side of Enterprise" McGraw-Hill 1960

      78 Divine, R. A., "The American Story" Pearson Education, Inc 2007

      79 Rossiter, C., "The American Presidency" Mentor Book 1960

      80 Lindblom, C., "Still Muddling, Not Yet Through" 39 (39): 517-525, 1979

      81 Landau, M., "Redundancy, Rationality, and the Problem of Duplication and Overlap" 29 (29): 346-358, 1969

      82 Riccucci, N. M., "Public Administration: Traditions of Inquiry and Philosophies of Knowledg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10

      83 Holzer, M., "Public Administration: An Introduction" M.E. Sharpe, Inc 2011

      84 Kettl, D., "Public Administration at the Millennium: The State of the Field" 10 (10): 7-34, 2000

      85 Henry, N.,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Affairs" Prentice-Hall 1980

      86 Henry, N.,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Affairs" Prentice-Hall 1995

      87 Caiden, G. E., "Public Administration" Paldisades Publishers 1982

      88 "Property Qualifications"

      89 Mankiw, N. G., "Principles of Economics" Cengage Learning 2015

      90 Mankiw, N. G., "Principles of Economics" 2001

      91 Kettl, D., "Political Science: The Discipline of Political Science II" APSA 1993

      92 Gulick, L., "Papers on the Science of Administration" Institute for Public Administration 1937

      93 정철현, "PKI" 다산출판사 2003

      94 March, J. G., "Organizations" Wiley 1958

      95 Maslow, A. H.,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and Row 1954

      96 Williamson, O. E., "Markets and Hierarchies, Analysis and Antitrust Implications: A Study in the Economics of Internal Organization" Free Press 1975

      97 Argyris, C.,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rwin-Dorsey Press 1968

      98 Uveges, J., "Handbook of Public Administration" Marcel Dekker 1998

      99 임의영, "H. A. Simon의 제한된 합리성과 행정학" 한국행정연구소 52 (52): 1-35, 2014

      100 Fayol, H., "General and Industrial Management" Pitman Publishing 1949

      101 Appleby, P. H., "From Big Democracy" Knopf 1945

      102 Allison, G. T., "Essence of Decision" Little, Brown 1971

      103 Farazmand, A., "Development and Comparative Public Administr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20 (20): 343-364, 1996

      104 Shafritz, Jay M., "Classics of Public Administration" Cengage Learning 2017

      105 Wilson, J. Q., "Bureaucracy: What Government Agencies Do and Why They Do It" Basic Books 1989

      106 Lowi, T. J., "American Government: Power and Purpose" Norton 2008

      107 deLeon, P., "Advice and Consent: The Development of the policy sciences" Russel Sage Foundation 1989

      108 Wildavsky, A., "A Theory of the Budgetary Process" 60 (60): 529-547, 1966

      109 Maslow, A. H.,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50 (50): 370-396, 1943

      110 Cohen, A. D., "A Garbage Can Model of Organizational Choice" 17 (17): 1-25, 1972

      111 김민수, "9급 공무원시험 “2022년부터 선택과목 폐지”"

      112 김형수, "(쉽게 쓴) 행정학" 윤성사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