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한체육회 주관 선수진로지원사업 및 교육프로그램 문제점과 개선방안 =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Career Support program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Athletes by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34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improvement measures of athlete career support program implemented by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by analyzing the program and the problems.
      Methods For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for 8 stakeholders were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1.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business managers of the Korea Sports Association, external users of the program, and former and current athletes. The analyzed programs were those for career education for youth athletes, career events, promotion activities, career counseling, career competency education, and mentoring.
      Results The identified problems were top-down type lecture in career education for youth athletes, students' avoidance due to coercion in career events, a gap in contact path between promotion provider and consumer in promotion activities, lack of counselors who can communicate empirical facts in the field of sports in career counseling, inconsistency with the skills practically required by the society in career competency education, and lack of systematization of the mentoring curriculum in mentoring. The presented improvement measure were opening of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modifying the lecture method into them centered on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for youth athletes, complementary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in career events, production of promotional contents mainly of short videos in promotion activities, placement of counselors specialized in sports area in career counseling, education through regular internship agreements with local companies in career competency education, and establishment of mentor management process in mentoring.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career support project for athletes and develop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does not lag behind the times. In addition, it should be established as a career and education project centered on student athletes and retired athletes who are consumers, not for the project.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improvement measures of athlete career support program implemented by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by analyzing the program and the problems. Methods For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i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improvement measures of athlete career support program implemented by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by analyzing the program and the problems.
      Methods For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for 8 stakeholders were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1.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business managers of the Korea Sports Association, external users of the program, and former and current athletes. The analyzed programs were those for career education for youth athletes, career events, promotion activities, career counseling, career competency education, and mentoring.
      Results The identified problems were top-down type lecture in career education for youth athletes, students' avoidance due to coercion in career events, a gap in contact path between promotion provider and consumer in promotion activities, lack of counselors who can communicate empirical facts in the field of sports in career counseling, inconsistency with the skills practically required by the society in career competency education, and lack of systematization of the mentoring curriculum in mentoring. The presented improvement measure were opening of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modifying the lecture method into them centered on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for youth athletes, complementary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in career events, production of promotional contents mainly of short videos in promotion activities, placement of counselors specialized in sports area in career counseling, education through regular internship agreements with local companies in career competency education, and establishment of mentor management process in mentoring.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career support project for athletes and develop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does not lag behind the times. In addition, it should be established as a career and education project centered on student athletes and retired athletes who are consumers, not for the proj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대한체육회 선수진로지원사업 프로그램 분석과 문제점 분석 실시를 통해 개선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분석과 함께 8명의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인터뷰는 2021년 11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대한체육회 사업 담당자, 프로그램 실행 외부 용역사, 전⋅현직 선수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분석 대상 사업및 교육프로그램은 청소년선수 진로교육, 진로행사, 홍보활동, 진로상담, 진로역량교육, 멘토링 사업이다.
      결과 선수진로지원사업의 문제점으로는 탑-다운방식의 강의식 진로교육, 강제성 행사 및 교육참여 거부감, 홍보 공급자와 수요자간 접촉 경로 괴리, 스포츠영역 내 경험적 사실 전달 상담사 부재, 멘토링 커리큘럼의 체계화 부족 문제, 일반사회 요구 진로역량 교육커리큘럼의 부족 문제가 있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진로교육 사업 개방화 및 참여 중심의 강의 방식으로 수정, 자발적 참여 유도를 위한 프로그램 보완 시도, 숏컷 동영상 위주의 홍보 컨텐츠 제작, 스포츠영역에 특화된 상담사 배치, 멘토관리 프로세스 마련, 지역 기업과의 정기적 인턴쉽 체결을 통한 진로역량 교육의 실시가 도출되었다.
      결론 시대 변화에 뒤처지지 않는 선수진로지원사업 운영 및 교육커리큘럼 개발이 필요하며, 사업을 위한 사업이 아닌 수요자인 학생선수, 은퇴선수 중심의 진로 및 교육사업으로 자리매김 해야 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대한체육회 선수진로지원사업 프로그램 분석과 문제점 분석 실시를 통해 개선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분석과 함께 8명의 이해관계자 인터뷰...

      목적 본 연구는 대한체육회 선수진로지원사업 프로그램 분석과 문제점 분석 실시를 통해 개선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분석과 함께 8명의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인터뷰는 2021년 11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대한체육회 사업 담당자, 프로그램 실행 외부 용역사, 전⋅현직 선수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분석 대상 사업및 교육프로그램은 청소년선수 진로교육, 진로행사, 홍보활동, 진로상담, 진로역량교육, 멘토링 사업이다.
      결과 선수진로지원사업의 문제점으로는 탑-다운방식의 강의식 진로교육, 강제성 행사 및 교육참여 거부감, 홍보 공급자와 수요자간 접촉 경로 괴리, 스포츠영역 내 경험적 사실 전달 상담사 부재, 멘토링 커리큘럼의 체계화 부족 문제, 일반사회 요구 진로역량 교육커리큘럼의 부족 문제가 있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진로교육 사업 개방화 및 참여 중심의 강의 방식으로 수정, 자발적 참여 유도를 위한 프로그램 보완 시도, 숏컷 동영상 위주의 홍보 컨텐츠 제작, 스포츠영역에 특화된 상담사 배치, 멘토관리 프로세스 마련, 지역 기업과의 정기적 인턴쉽 체결을 통한 진로역량 교육의 실시가 도출되었다.
      결론 시대 변화에 뒤처지지 않는 선수진로지원사업 운영 및 교육커리큘럼 개발이 필요하며, 사업을 위한 사업이 아닌 수요자인 학생선수, 은퇴선수 중심의 진로 및 교육사업으로 자리매김 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연정,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 삶 찾기 과정에서자기대상으로서 멘토와의 관계 경험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13-738, 2018

      2 노일경 ; 이성혜, "재직 학습자의 원격고등교육과정에서의 학습활동 특성 및 학업성취 영향 변인 분석: 학습분석을 적용하여"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2 (12): 53-78, 2016

      3 대한체육회, "은퇴선수지원 사업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용역 보고서" 대한체육회 2018

      4 최문정, "은퇴선수 진로지원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체육학회 55 (55): 75-96, 2016

      5 신상현 ; 김동학, "은퇴선수 지원 사업의 정책적 개선 방안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 17 (17): 93-107, 2019

      6 김정숙 ; 이준용, "융복합 문화예술의 내러티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5 (15): 71-89, 2020

      7 김한석, "유튜브를 활용한 대중음악 홍보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주요 음악 관련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한국대중음악학회 23 : 129-167, 2019

      8 이보라미, "운동선수의 진로 전환 지원을 위한 협업체계 구축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9 박중길, "운동선수의 정체성 결정요인과 수행의 관계 및 은퇴과정 예측모델 탐색" 한국스포츠심리학회 31 (31): 43-71, 2020

      10 노정숙, "온라인학습구매상황에서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이 학습신뢰와 온라인구전(e-WOM)의도에 미치는 영향" 2020 (2020): 172-172, 2020

      1 윤연정,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 삶 찾기 과정에서자기대상으로서 멘토와의 관계 경험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13-738, 2018

      2 노일경 ; 이성혜, "재직 학습자의 원격고등교육과정에서의 학습활동 특성 및 학업성취 영향 변인 분석: 학습분석을 적용하여"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2 (12): 53-78, 2016

      3 대한체육회, "은퇴선수지원 사업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용역 보고서" 대한체육회 2018

      4 최문정, "은퇴선수 진로지원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체육학회 55 (55): 75-96, 2016

      5 신상현 ; 김동학, "은퇴선수 지원 사업의 정책적 개선 방안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 17 (17): 93-107, 2019

      6 김정숙 ; 이준용, "융복합 문화예술의 내러티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5 (15): 71-89, 2020

      7 김한석, "유튜브를 활용한 대중음악 홍보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주요 음악 관련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한국대중음악학회 23 : 129-167, 2019

      8 이보라미, "운동선수의 진로 전환 지원을 위한 협업체계 구축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9 박중길, "운동선수의 정체성 결정요인과 수행의 관계 및 은퇴과정 예측모델 탐색" 한국스포츠심리학회 31 (31): 43-71, 2020

      10 노정숙, "온라인학습구매상황에서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이 학습신뢰와 온라인구전(e-WOM)의도에 미치는 영향" 2020 (2020): 172-172, 2020

      11 양홍권, "미래사회의 인재상에 대응하는 교육변혁 방향 : 역량교육과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35-64, 2018

      12 이효신 ; 윤영,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1 (11): 325-358, 2022

      13 김해경 ; 이주연,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및 인턴십 지원사업 개선 방안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64 : 133-160, 2021

      14 옥승철, "대학운동선수의 진로불안에 관한 탐색" 한국스포츠학회 19 (19): 973-984, 2021

      15 김은정 ; 이태원 ; 성행남,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진로 선택 동기, 진로 역량의 인과적 관계" 한국산업정보학회 26 (26): 73-89, 2021

      16 김화영 ; 이성원 ; 정은선,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H 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3-151, 2020

      17 홍승분, "대학 학생선수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발달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01-720, 2019

      18 전은영, "대학 전공 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학습 동기와 수업 만족도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1, 2017

      19 이용식, "국가대표 은퇴선수의 진로지원 방안"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9 (19): 136-145, 2008

      20 신유리, "광고담화의 장르 분석: 유튜브 동영상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65) : 169-196, 2018

      21 이헌주 ; 김종무, "공공기관 정책홍보 영상 콘텐츠에 표현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 효과 유·무에 따른 시청자의 태도 분석"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6 : 203-220, 2021

      22 Kohler, P. D., "Transition-focused education : Foundation for the future" 37 (37): 174-183, 2003

      23 Maxwell, J.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age publications 2012

      24 배재윤 ; 강현욱, "MTB 대학생 선수의 삶과 진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30 (30): 403-422, 2019

      25 이숙영 ; 조규판, "MBTI와 Holland를 활용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27-446, 2018

      26 Wylleman, P., "Career transitions in sport : European perspectives" 5 (5): 7-20, 2004

      27 Super, D. E., "Career education and the meanings of work. Y.S. Dep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Office of Education: for sale by the Supt. of Docs" U.S. Govt. Print. Off 1976

      28 Park, S., "Athletes' career transition out of sport : A systematic review" 6 (6): 22-53, 2013

      29 대한체육회, "2020년도 은퇴선수(선수진로)지원 사업 결과보고서" 대한체육회 2020

      30 대한체육회, "2020년도 부서성과평가 관리과제(성과지표) 추진실적 요약보고서" 대한체육회 2020

      31 대한체육회, "2020년도 기관 경영실적 평가결과" 대한체육회 2020

      32 대한체육회, "2020년도 경영평가 결과보고" 대한체육회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