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취업 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국가 = Work-family Conflict of Employed Women and the St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62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 취업 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국가 개입의 관계를 역사적 흐름에 따라 살펴본 것이다. 취업 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국가와의 관계를 보면, 해방 이후-1950년대 근대국가...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 취업 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국가 개입의 관계를 역사적 흐름에 따라 살펴본 것이다. 취업 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국가와의 관계를 보면, 해방 이후-1950년대 근대국가의 형성기에 여성의 일-가족 갈등은 부재하거나 인지되지 못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국가 정책도 거의 부재하였다. 1960년대-1980년대 중반까지는 성장주의적 개발국가의 급성장을 보이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근대적 자본주의화의 과정에서 공/사 이분화, 남녀 성별분업이 이데올로기적으로 확연하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때 일-가족 갈등이 나타났지만, 이 갈등은 중하류계층의 여성들에게만 나타났고, 사회문제화되지 못하고 잠재화되었으며, 국가의 개입도 매우 미미하였다. 1980년대에 일-가족 갈등조절 정책, 특히 시간제 노동자 방안이나 기혼 여성이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형 공장 정책들이 수립되었지만, 이들 정책들은 생산력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고 따라서 여성의 일-가족 갈등을 완화시키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1987년-현재까지는 일-가족 갈등이 표면화, 전면화되는 시기이다. 교육받은 중간계층 여성의 사회노동 참여가 증가하면서 근대적 공/사 이분화체제가 와해되고 이들이 경험한 일-가족 갈등은 사회문제화된다. 국가는 이에 대응하여 일-가족 갈등을 조절하려는 친여성적 개입을 증대해나가게 된다. 최근에는 일-가족 갈등에 대해서 좀더 적극적인 대응을 해나가고 있다. 특히 일-가족 갈등이 단지 여성의 문제만이 아니라 남성, 나아가 가족 전체의 문제로 이해되면서 직장-가정 양립과 더불어 남녀 모두가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로 전환되고 있다. 그리고 이는 개인, 가족을 넘어 국가, 기업 등 사회 모두가 함께 모색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 1) 일-가족 갈등
      • 2) 일-가족 갈등에 대한 국가 개입
      • 3. 해방 이후-1950년대: 갈등조절 정책의 필요성 인식 부재
      • 1. 서론
      • 2.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 1) 일-가족 갈등
      • 2) 일-가족 갈등에 대한 국가 개입
      • 3. 해방 이후-1950년대: 갈등조절 정책의 필요성 인식 부재
      • 1) 일-가족 갈등의 부재 또는 비가시화
      • 2) 갈등조정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
      • 4. 1960년대-1980년대 중반 : 개발국가의 성장과 갈등조절 정책 부재
      • 1) 1980년대-1970년대 중반
      • (1) 일-가족 갈등의 잠재화
      • (2) 갈등조절 정책의 부재
      • 2) 1970년대 후반 -1986년
      • (1) 일-가족 갈등의 점진적 표면화
      • (2) 기혼 여성에 대한 정책 필요성 인지
      • 5. 1987년-현재: 일-가족 갈등조절 정책 수립과 확대
      • 1) 1987년-1998년대 중반
      • (1) 일-가족 갈등의 보편화
      • (2) 갈등조절 노력 있지만, 다른 한편에는 가족부담 증가
      • 2) 1990년대 후반-현재
      • (1) 일-가족 갈등의 사회문제화
      • (2) 직장-가정 양립을 보편화하는 정책 확대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2" 서울: 나남 1996

      2 "한국의 모성보호관련법 개정내용에 관한 분석적 연구: 2001년 개정내용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1

      3 "한국의 근대화 프로젝트의 문화논리와 성별 정치학" 서울: 푸른사상 183-212, 2001

      4 "한국의 근대성과 여성의 노동권" 서울: 푸른사상 45-78, 2001

      5 "한국사회의 근대성에 대한 여성주의 문화론적 성찰"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15 : 169-188, 2000

      6 "한국 여성의 모성갈등과 재구성에 관한 연구: 30대 주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1997

      7 "한국 여성의 경제적 지위 변화와 국가의 역할: 여성주의 국가론의 국가자율성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62-90, 2006

      8 "한국 여성노동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변화"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222, 2006

      9 이주희, "일과 가족의 양립은 어떻게 가능한가: 기업의 조직문화와 여성관리직 모성보호" 한국가족학회 15 (15): 37-61, 2003

      10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5

      1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2" 서울: 나남 1996

      2 "한국의 모성보호관련법 개정내용에 관한 분석적 연구: 2001년 개정내용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1

      3 "한국의 근대화 프로젝트의 문화논리와 성별 정치학" 서울: 푸른사상 183-212, 2001

      4 "한국의 근대성과 여성의 노동권" 서울: 푸른사상 45-78, 2001

      5 "한국사회의 근대성에 대한 여성주의 문화론적 성찰"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15 : 169-188, 2000

      6 "한국 여성의 모성갈등과 재구성에 관한 연구: 30대 주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1997

      7 "한국 여성의 경제적 지위 변화와 국가의 역할: 여성주의 국가론의 국가자율성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62-90, 2006

      8 "한국 여성노동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변화"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222, 2006

      9 이주희, "일과 가족의 양립은 어떻게 가능한가: 기업의 조직문화와 여성관리직 모성보호" 한국가족학회 15 (15): 37-61, 2003

      10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5

      11 "일 가족 상호작용에서의 성별 차이-전이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7 (37): 57-81, 2003

      12 "여성의 일찾기, 세상 바꾸기 또하나의문화 15호" 서울: 또 하나의 문화 1999

      13 "여성의 시민적 권리와 사회정책: 한국 여성노동자의 삶의 질을 중심"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3

      14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활용방안" 조선대학교 2002

      15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서울: 서해문집 2004

      16 "여성, 시장, 공공가족으로서의 국가: 재생산의 사회화와 성질서" (18) : 299-326, 1998

      17 이혜경, "성통합적 복지국가 재편 논의를 위한 여성주의적 비판" 한국사회보장학회 19 (19): 161-189, 2003

      18 "산업화 이후 일-가족문제의 담론적 지형과 변화" 한국여성학회 23 (23): 5-43, 2007

      19 임현진, "사회과학에서의 근대성 논의: ‘근대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서울: 역사비평사 1996

      20 이혜경, "빈곤의 여성화: 한국 여성 빈곤의 원인과 결과" 1998

      21 "복지국가의 탈가족화와 출산율"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름) : 34-43, 2006

      22 "복지국가에 대한 페미니스트 관점의 기여와 한계" 한국사회학회 38 (38): 177-200, 2004

      23 "모성보호 및 직장과 가정 양립지원정책의 과제" 한국보육학회 4 (4): 19-37, 2004

      24 "노동시장과 모성, 가족의 문제: 남성중심적 노동자 모델을 넘어서" 한국산업사회학회 통 (통): 97-122, 2001

      25 "기혼 여성노동자의 일 가족 경험과 직업의식" 한국여성학회 20 (20): 141-178, 2004

      26 "근로여성 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근로여성정책 50년" 한국여성개발원 연구, 노동부 2001

      27 "그리고 성역할의 의미 한국의 산업화와 신중간층의 가족이념” 한국사회사연구회 한국사회사연구회논문집" 39 : 81-120, 1993

      28 "군사주의에 갇힌 근대" 서울: 또하나의문화 2007

      29 "국가이론과 페미니즘" 서울: 문화과학사 215-238, 1999a

      30 이재경, "고용조건이 일과 가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판사회학회 (64) : 172-206, 2004

      31 "가족정책을 통해 본 한국의 가족과 근대성: 1948년-현재까지" 이화여자대학교 2004

      32 "가족/노동의 갈등구조와 가족연대전략을 중심으로 본 한국 가족의 변화와 여성" 한국가족학회 14 (14): 31-52, 2002

      33 "가정-직장 양립 스트레스원에 대한 여성근로자 지원서비스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회 7 : 201-231, 2001

      34 "“한국 여성노동참여에 대한 국가의 역할과 성격에 관한 일 연구 1960-70년대를 중심으로”" 1987

      35 "“우리나라 여성노동력의 수급구조 변화와 기혼 여성의 노동 참가”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아세아여성연구" 25 : 133-161, 1986

      36 "“국가의 여성 근로정책에 관한 연구-기혼 여성 근로력 동원 정책을 중심으로”" 1989

      37 "“국가발전을 위한 한국 여성인력의 활용”" 단국대학교 대학원 11 : 247-275, 1987

      38 "The Welfare State and the Needs of the Dependent Family Fit Work for Women" St. Martins Press. 1979

      39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rinston University Press. 1990

      40 "Gender and the social rights of citizenship the comparative analysis of gender relations and the welfare state “젠더와 시민의 사회적 권리 젠더 관계와 복지국가에 대한 비교 분석” 복지국가와 여성정책 한국여성정책연구회 옮김" 53-, 199320002007.7.10

      41 "After the Family Wage: a Postindustrial Thought Experiment" Macmillan Press 1-32, 2000

      42 "1960-70년대 근대화 프로젝트와 여성담론에 관한 연구: 여성단체협의회의 '여성'지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1

      43 "1960-1970년대 여성정책 연구: 1960-1970년대 한국 부녀행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1

      44 "'가부장적 자본주의 국가’ 개념의 이론화를 위한 일 연구" 서울: 문화과학사 239-269, 1999b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Women's Studies Review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1 1.21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