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4년 7월에 출간된 한독찬송가의 편찬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한독찬송가의 예배 및 디아스포라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한독찬송가는 재한독일어권교회가 한국기독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4년 7월에 출간된 한독찬송가의 편찬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한독찬송가의 예배 및 디아스포라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한독찬송가는 재한독일어권교회가 한국기독교...
본 연구는 2024년 7월에 출간된 한독찬송가의 편찬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한독찬송가의 예배 및 디아스포라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한독찬송가는 재한독일어권교회가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의 일원이 된 지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출간되었으며, 한국과 독일의 여러 교단의 자원봉사자들의 협력으로 5년여에 걸쳐 제작되었다. 특히 한독찬송가의 출간 과정은 ‘다양성의 존중’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다양성의 존중은 한독찬송가에 찬송가 수록 과정에서 보다 다양한 시대 및 교파의 찬송가를 수용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가사 번역 과정, 그리고 출간 과정에서 발생했던 한국과 독일의 협업자들 간의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였다. 예배 및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의 한독찬송가 출간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예배적 맥락에서 한독찬송가의 출간은 회중 찬송과 에큐메니컬의 정신을 회복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한국과 독일의 성도들이 예배 시간에 각자의 모국어로 자유롭게 찬송가를 부를 수 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독찬송가 출간의 디아스포라적 의의는 한국과 독일 양국 간의 문화적 교류의 확대와 한국 찬송가와 독일 찬송가의 수평적이고 대등한 관계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한국과 독일어권 이민 교회의 성도들이 이민자로서의 유대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pilation process of Korean-German Hymn, which was published in July 2024, and to reflect on its liturgical and diasporic significance. Korean-German Hymn was published as part of a project to commemorate the 20th anni...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pilation process of Korean-German Hymn, which was published in July 2024, and to reflect on its liturgical and diasporic significance. Korean-German Hymn was published as part of a project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German-speaking church in Korea becoming part of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nd it was created over a period of five years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volunteers from various denominations in both Korea and Germany. In particular, the publication process of Korean-German Hymn demonstrated the respect for diversity, which not only influenced the inclusion of hymns from various eras and denominations but also contributed to overcoming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German collaborators during the hymn selection, lyric translation, and publishing processes. From the perspectives of liturgy and diaspora, the significance of the contribution of Korean-German Hymn is as follows: In the liturgical context, the publication of Korean-German Hymn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storing concregational singing and the spirit of ecumenism, allowing the believers in both Korea and Germany to sing hymns freely in their respective native languages during worship. The diasporic significance of the publication lies in the expans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Germany, showing a horizontal and eq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German hymns, and allowing the believers in Korean and German-speaking immigrant churches to experience an sense of solidarity as immigrants.
“왕의 마음에 들도록 하세요”: 라모의 코메디-발레 ≪나바르의 공주≫의 디베르티스망에 나타나는 대비적 요소
‘루도음악학’(Ludomusicology)의 이해 및 ≪모여봐요 동물의 숲≫ 음악의 감정적 효과 분석
대중음악 수용방식의 변화와 재즈음악 스타일의 전이: ‘퓨전’(fusion) 스타일 재즈음악의 경우
한인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 민족이산의 역사와 초국가적 한민족
K-MOOC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정병호, 임성숙, 이주희이주와 디아스포라: 남아프리카의 사회변동
한국외국어대학교 김광수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