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6세기 신라 干群 경위의 구성과 성립과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1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6세기대 신라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 관등을 분석하여, 당시 관등의 구성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라 경위의 성립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율령 반포를 전후해 건립된 ...

      6세기대 신라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 관등을 분석하여, 당시 관등의 구성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라 경위의 성립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율령 반포를 전후해 건립된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의 비문과 창녕비 등 진흥왕대 비문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주변국의 사례를 포함한 여러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에서 왕과 함께 국정을 이끌어나갔던 6부의 핵심지배층들에게서 두 종류의 관등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喙․沙喙部인들만이 가지고 있었던 경위 관등으로, 阿干支와 그 하위 某干支관등들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여타 4부의 수장 및 유력자들이 소지한 것으로, 干支와 壹伐등으로 구성되었다.
      율령 반포 당시의 간군 경위 관등은 太阿干支이하의 5개 등급이 중심이었으며, 이는 신라 마립간 아래의 喙․沙喙部유력자들을 서열화 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에 비해 상위 4개 간군 경위는 太阿干支이하 간군 관등과 동일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 6부를 구성하던 여러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에서 유래한 위호인 干支들 사이의 위계가 반영된 전통적 위호였다. 형식적으로는 이들 위호가 喙․沙喙部에 적용되었던 경위 관등 보다 상위의 지위였지만, 이들이 당시 하나의 관등제로 동일하게 기능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에 비해 진흥왕대인 6세기 중반의 금석문들에서는, 상위 간군 경위가 阿干支등과 같은 성격의 관등으로서 기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과 달리 干支와 壹伐로 구성된 부별 독자 위계제는 사라지고, 6부인 전체가 경위 관등을 소지하는 변화와 함께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6부 干支들과 壹伐등의 유력자층을 경위 관등에 모두 포괄하기 위해, 최상위 간군관등을 증설하면서 경위가 완성된 것이다. 다만 최상위 4개 간군 경위 관등은, 이전에 존재하던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인 간지들을 서열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옛 위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은 아니며, 경위의 고위 관등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써 신라 경위 17관등이 완비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Inscriptions of Silla stele in the 6th Century, such as Pohang Jungseongri Stele, Pohang Naengsuri Stele, Uljin Bongpyeongri Stele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o reveal the constitution and the nature of the top 9 Official rank o...

      This paper analyzed Inscriptions of Silla stele in the 6th Century, such as Pohang Jungseongri Stele, Pohang Naengsuri Stele, Uljin Bongpyeongri Stele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o reveal the constitution and the nature of the top 9 Official rank of the Silla Dynasty’s Governmental Ranking system called Gyeong-wi. And based on it, reconstruc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Gyeong-wi.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re were two kinds of Governmental Ranking system for the ruling classes of Silla 6bu around 520’s, when King BeobHeung declared the law codes called Yul-Ryeong. One was a system that is limited to WheBu and SawheBu. It was composed of only 5 lower top rank, named DaeArGanji, ArGanji, IlgilGanji, SaGanji, GeobeolGanji, out of 9 top rank. The other one was for the ruling classes of 4bu except Whe and Sawhe among the Silla 6bu. It was composed of Ganji and Ilbeol which means Chief of bu and top position under the chief. At that time, the Gyeong-wi was not completed, and it was not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in the Silla 6bu.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t the reign of King Jinheung, new 4 high-top Official rank had been added on top of existing ranks. Finally, Gyeong-wi had been completed with 9 upper grades and 8 lower grades. And also it had been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of Silla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머리말
      • Ⅰ. 6세기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들의 양상
      • Ⅱ. 6세기 신라 경위 관련 관등 ․ 위계호의 구성과 성격
      • 맺음말
      • 요약
      • 머리말
      • Ⅰ. 6세기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들의 양상
      • Ⅱ. 6세기 신라 경위 관련 관등 ․ 위계호의 구성과 성격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梁書"

      2 盧泰敦,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7

      3 홍승우, "한국 고대 율령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현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Ⅰ) (Ⅱ) (Ⅲ)" 일지사 2004

      5 연민수, "역주 일본서기1․2․3" 동북아역사재단 2013

      6 홍승우, "신라 최고의 금석문포항 중성리비와 냉수리비" 주류성 2012

      7 하일식, "신라 집권 관료제 연구" 혜안 2006

      8 박남수, "신라 법흥왕대 ‘及伐尺’과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役法’" 신라사학회 (40) : 29-82, 2017

      9 권인한, "신라 관등 이표기와 한국한자음의 관계" 진단학회 (96) : 149-172, 2003

      10 윤선태, "신라 京位 干群 官等의 語源과 성립과정" 신라문화연구소 45 : 103-122, 2015

      1 "梁書"

      2 盧泰敦,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7

      3 홍승우, "한국 고대 율령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현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Ⅰ) (Ⅱ) (Ⅲ)" 일지사 2004

      5 연민수, "역주 일본서기1․2․3" 동북아역사재단 2013

      6 홍승우, "신라 최고의 금석문포항 중성리비와 냉수리비" 주류성 2012

      7 하일식, "신라 집권 관료제 연구" 혜안 2006

      8 박남수, "신라 법흥왕대 ‘及伐尺’과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役法’" 신라사학회 (40) : 29-82, 2017

      9 권인한, "신라 관등 이표기와 한국한자음의 관계" 진단학회 (96) : 149-172, 2003

      10 윤선태, "신라 京位 干群 官等의 語源과 성립과정" 신라문화연구소 45 : 103-122, 2015

      11 김태식, "사국시대의 가야사 연구" 서경문화사 2014

      12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13 노중국, "강좌 한국고대사2"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3

      14 白承忠, "가야의 지역연맹사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5

      15 金哲埈, "韓國古代社會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90

      16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85

      17 "隋書"

      18 文暻鉉, "迎日冷水里新羅碑에 보이는 部의 性格과 政治運營問題" 3 : 1990

      19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韓國古代金石文Ⅱ"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20 武田幸男, "江上波夫敎授古稀紀念論集․歷史篇" 1977

      21 全德在, "新羅六部體制硏究" 一潮閣 1996

      22 윤선태, "新羅의 初期 外位體系와 ‘及伐尺’"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1) : 157-186, 2016

      23 李基東, "新羅社會史硏究" 一潮閣 1997

      24 權悳永, "新羅官等阿飡․奈麻에 對한 考察" 21 : 1991

      25 주보돈, "新羅地方統治體制의 整備過程과 村落" 신서원 1998

      26 趙榮濟, "新羅上古伊伐飡․伊飡에 대한 一考察" 7 : 1983

      27 盧重國, "新羅17官等制의 成立過程" 8 : 1997

      28 이용현, "律令 제정 전후의 新羅 官等" 한국목간학회 (15) : 87-108, 2015

      29 鬼頭淸明, "古代朝鮮と日本" 龍溪書舍 1974

      30 "南史"

      31 金泰植, "加耶聯盟史" 一潮閣 1993

      32 田中俊明, "加耶諸國의 王權" 新書苑 1995

      33 李炯基, "加耶地域聯盟體의 構造와 그 性格-‘大伽耶聯盟體’의 成立과推移를 中心으로-" 88 :

      34 盧重國, "加耶史硏究-대가야의 政治와文化" 韓國古代史硏究會 1995

      35 井上秀雄, "任那日本府と倭" 東出版 1973

      36 "三國遺事"

      37 "三國志"

      38 "三國史記"

      39 선석열, "【연구논문】 6세기 초반 신라 금석문을 통해본 『梁書』 新羅傳의 관등 사료 비판" 부경역사연구소 (28) : 109-138, 2011

      40 홍승우, "「浦項中城里新羅碑」를 통해 본 新羅의 部와 지방지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6) : 207-241, 2014

      41 박남수, "「浦項 中城里新羅碑」에 나타난 新羅 六部와 官等制" 한국사학회 (100) : 447-492, 2010

      42 이장희, "‘-干支’系신라관명의 변화" 18 : 2000

      43 전덕재, "6세기 금석문을 통해 본 신라 관등제의 정비과정" 5 : 2010

      44 조인성, "6世紀阿羅加耶(安羅國)의 支配勢力의 動向과 政治形態" 13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1.05 2.15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