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역사도시 개성지역 관리 · 보존 정책의 흐름과 특징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개성지역은 한국전쟁 때 폭격에 제외되면서 도시의 전체적 모습과 역사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 때문에 개성은 역사문화도시이자 국경도시로 발전할 수 있었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이 개최...

      개성지역은 한국전쟁 때 폭격에 제외되면서 도시의 전체적 모습과 역사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 때문에 개성은 역사문화도시이자 국경도시로 발전할 수 있었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이 개최된 이후 개성에서는 남북 접경지라는 지역적 이점을 살려 다양한 남북회담이 진행되었고 개성공단이 운영되면서 다시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남북 역사학자들은 잘 보존되어 있던 개성지역의 문화재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고, 남북을 넘어 한반도의 역사성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개성지역의 역사문화유산은 ‘개성역사유적지구’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위원회(WHC. World Heritage Committee)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이처럼 개성지역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은 몇 가지 원인이 있었다. 첫 번째, 한국전쟁의 집중적인 폭격에서 제외되면서 역사적 유적 및 유적지, 유물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보존될 수 있었다. 두 번째, 북한 정권이 역사적 정통성을 고조선-고구려-고려로 이어지는 흐름에서 찾으면서 역사문화유산을 지키기 위한 정권적인 지원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고자 하는 북한 당국의 절실함이 있었다. 개성이 휴전선과 닿아 있는 국경 지역이자 전시도시였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지원을 받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개성지역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은 남북 역사학자들의 공동의 노력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eseong area has been able to preserve its overall shape and history so far, as the city remained unaffected by bombarding attacks during the Korean War. Therefore, Kaeseong has developed as a border city and a historical and cultural center. After t...

      Kaeseong area has been able to preserve its overall shape and history so far, as the city remained unaffected by bombarding attacks during the Korean War. Therefore, Kaeseong has developed as a border city and a historical and cultural center. After the inter-Korean summit meeting in 2000, various kinds of inter-Korean talks have been held in Kaeseong, and the ‘Kaeseong Industrial Complex’ has been operated in the area, taking advantage of its geographical advantage as a border area. Historians from North and South have tried to register the cultural assets well preserved in Kaeseong as a UNESCO World Heritage and to identif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Korean Peninsula beyond the distinction of North and South regions. As a resul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of Kaeseong was listed as a property to the UNESCO World Heritage Site of World Heritage Committee (WHC) in the name of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eong.’
      There were several reasons behind the achievement. First, the historical remains, relics and artifacts in Kaeseong could remained unharmed as intact compared to those in other regions, since Kaeseong area was excluded from the intensive bombing targets during the Korean War. Second, there was a desperate willpower and suppor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o preserv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mains in Kaeseong and to register it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while claiming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North Korean regime from Kaeseong, relating its historical background with the ancient Korean Dynasties of Gojoseon, Goguryeo and Goryeo. In fact, such focused supports on Kaesong was possibile as it has geographical advantage as a border area near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as well as historical one as a wartime city. Lastly, the reg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s in Kaesong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was the product of the joint effor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histori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북한의 문화유산 및 역사도시 관리 정책
      • 3. 개성 역사지구 관리정책 흐름과 특징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북한의 문화유산 및 역사도시 관리 정책
      • 3. 개성 역사지구 관리정책 흐름과 특징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