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및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373893
서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22.8
2022
한국어
서울
The effect of teacher's emotional coaching for negative emotions of 2 years old infant on social-emotional competence of infant : mediating effect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vi, 83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유영미
I804:11046-0000005430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및 ...
본 연구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및 강원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2세 학급 영아 1,173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312명이었다.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을 측정하기 위해 Morris(2010)가 사용한 TESST(Teacher Emotion Socialization Self-Test)를 영아교사에게 적합하도록 마혜진(2014)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김명순, 김온기, 이완정(2014)이 개발한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 중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영역의 상호작용 관련 지표에서 문항을 추출하여 제작한 송근영(2017)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Briggs-Gowan과 Carter(2001)가 개발한 영아의 사회·정서 측정도구(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 ITSEA)를 신지연(2004)이 번안,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ANOVA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직접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 교사-영아 상호작용,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 교사-영아 상호작용,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 교사-영아 상호작용,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은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매개역할을 통해서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영아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교사의 감정코칭을 기반으로, 보육일상에서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