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바울서신에 나타난 유토피아의 상징인“형제”개념 -빌레몬서의 사례에 비추어- = The Brother-concept as Symbol of the Utopia in the Pauline Letters ― in the Light of the Case in the Epistle to Philem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95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 being, in a sense, could be defined as seeker for a utopia, the ideal society, for one's whole life. In fact, we have experienced various forms and ideas of the utopia in history. Especially, as one of them, the Utopia of Christianity is illustrated by Jesus Christ in "God's kingdom ideal", definitely originated from Jewish apocalyptic literature tradition. However, Jesus announced the Creator as "God Father" so that the abstraction of transcendent God's kingdom may be embodied into the facet of intimate family relationship everyone can routinely go through on earth. In addition to this, Paul, even though his teaching is rooted in Jesus tradition, developed the Christian utopia into the brotherhood ideal. His brotherhood concept, as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Jewish and Greco-Roman counterpart, is in charge of the cognitive function of Christian enlightenment for not only reconciliation of all the social conflicts and discriminations but also, as a result, unifying the whole members of all the societies. In the epistle to Philemon, the brother-concept of the apostle Paul typically appears triplex. First of all, the brotherhood between a Jew Paul and a Greek Philemon becomes the cognitive agent to overcome religious and racial separatism. And also the brotherhood between Philemon as lord and Onesimus as slave cuts off the chain and suppress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master-slave relationship. Lastly, the brotherhood a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aul and his disciple Onesimus functions a tool for renovation of the educational and social frame, in which hard-as-nails authoritarianism rules over in Paul's times. Eventually, therefore "triplex brotherhood ideal" in Philemon is for the recovery from severance and isolation in the social hierarchy originated from the discrimination in every religion, race, class, and status, and for the concrete expression of universal brotherhood leading one society, one humankind into the peaceful communication for peace and co-existence. And this should not just be a desk-theory, as proved in emancipation of slave in the early Christian church after Paul's times, but must be embodied in present life of dynamic faith refusing all kinds of the discrimination. If we can learn Paul's triplex brotherhood indicated in the epistle to Philemon, we can come up a step closer to the Kingdom of God as Christian utopia, in which peace and co-existence are pervasive and ruling over all people.
      번역하기

      Human being, in a sense, could be defined as seeker for a utopia, the ideal society, for one's whole life. In fact, we have experienced various forms and ideas of the utopia in history. Especially, as one of them, the Utopia of Christianity is illustr...

      Human being, in a sense, could be defined as seeker for a utopia, the ideal society, for one's whole life. In fact, we have experienced various forms and ideas of the utopia in history. Especially, as one of them, the Utopia of Christianity is illustrated by Jesus Christ in "God's kingdom ideal", definitely originated from Jewish apocalyptic literature tradition. However, Jesus announced the Creator as "God Father" so that the abstraction of transcendent God's kingdom may be embodied into the facet of intimate family relationship everyone can routinely go through on earth. In addition to this, Paul, even though his teaching is rooted in Jesus tradition, developed the Christian utopia into the brotherhood ideal. His brotherhood concept, as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Jewish and Greco-Roman counterpart, is in charge of the cognitive function of Christian enlightenment for not only reconciliation of all the social conflicts and discriminations but also, as a result, unifying the whole members of all the societies. In the epistle to Philemon, the brother-concept of the apostle Paul typically appears triplex. First of all, the brotherhood between a Jew Paul and a Greek Philemon becomes the cognitive agent to overcome religious and racial separatism. And also the brotherhood between Philemon as lord and Onesimus as slave cuts off the chain and suppress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master-slave relationship. Lastly, the brotherhood a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aul and his disciple Onesimus functions a tool for renovation of the educational and social frame, in which hard-as-nails authoritarianism rules over in Paul's times. Eventually, therefore "triplex brotherhood ideal" in Philemon is for the recovery from severance and isolation in the social hierarchy originated from the discrimination in every religion, race, class, and status, and for the concrete expression of universal brotherhood leading one society, one humankind into the peaceful communication for peace and co-existence. And this should not just be a desk-theory, as proved in emancipation of slave in the early Christian church after Paul's times, but must be embodied in present life of dynamic faith refusing all kinds of the discrimination. If we can learn Paul's triplex brotherhood indicated in the epistle to Philemon, we can come up a step closer to the Kingdom of God as Christian utopia, in which peace and co-existence are pervasive and ruling over all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모든 인간은 생애동안 이상사회인 유토피아를 꿈꾸고 살고 있다. 우리는 역사에서 다양한 유토피아의 사상과 형태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기독교의 유토피아는 유대교 묵시문학 전통에 서 있는 예수의 하나님 나라에서 전형적인 실례를 보여준다. 그러나 예수는 창조주 하나님을 아버지로 호칭함으로써 초월적인 하나님의 나라의 추상성을 지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가족의 차원으로 구체화시킨다. 더 나아가 바울은 예수의 가르침의 전통 안에서 기독교적 유토피아를 형제의 개념으로 발전시킨다. 바울의 형제개념은 유대인과 그리스-로마의 형제개념과는 다르게 모든 사회적 차별과 갈등을 해소하여 전 사회 구성원을 하나로 통합하게 만드는 기독교 진리의 인식론적 기능을 담당한다. 바울의 이 형제개념은 특히 빌레몬서에 3중으로 가장 뚜렷하게 등장한다.
      유대인 바울과 헬라인 빌레몬 사이에 형성된 첫 형제개념은 종교적 우월주의와 인종 차별주의를 극복하는 인식적 매체이다. 주인인 빌레몬과 노예인 오네시모 사이에 형성되는 형제의식은 정치적 경제적 주종관계의 사슬과 억압을 절단한다. 마지막으로 형제개념은 스승인 바울과 제자인 오네시모의 관계설정으로 바울 당대의 권위주의로 무장된 사회적 교육적 제도의 틀을 혁신하는 도구이다. 결국 빌레몬서에 나타난 3중의 형제개념은 모든 종교와 인종, 계급과 지위의 구별에서 비롯된 사회계층간의 단절과 소외를 치유하여 한 사회, 한 인류를 평화와 공존의 평화로운 소통으로 유도하는 사해동포적인 사상의 구체적 표현이다.
      번역하기

      모든 인간은 생애동안 이상사회인 유토피아를 꿈꾸고 살고 있다. 우리는 역사에서 다양한 유토피아의 사상과 형태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기독교의 유토피아는 유대교 묵시문학 전통에 서 ...

      모든 인간은 생애동안 이상사회인 유토피아를 꿈꾸고 살고 있다. 우리는 역사에서 다양한 유토피아의 사상과 형태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기독교의 유토피아는 유대교 묵시문학 전통에 서 있는 예수의 하나님 나라에서 전형적인 실례를 보여준다. 그러나 예수는 창조주 하나님을 아버지로 호칭함으로써 초월적인 하나님의 나라의 추상성을 지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가족의 차원으로 구체화시킨다. 더 나아가 바울은 예수의 가르침의 전통 안에서 기독교적 유토피아를 형제의 개념으로 발전시킨다. 바울의 형제개념은 유대인과 그리스-로마의 형제개념과는 다르게 모든 사회적 차별과 갈등을 해소하여 전 사회 구성원을 하나로 통합하게 만드는 기독교 진리의 인식론적 기능을 담당한다. 바울의 이 형제개념은 특히 빌레몬서에 3중으로 가장 뚜렷하게 등장한다.
      유대인 바울과 헬라인 빌레몬 사이에 형성된 첫 형제개념은 종교적 우월주의와 인종 차별주의를 극복하는 인식적 매체이다. 주인인 빌레몬과 노예인 오네시모 사이에 형성되는 형제의식은 정치적 경제적 주종관계의 사슬과 억압을 절단한다. 마지막으로 형제개념은 스승인 바울과 제자인 오네시모의 관계설정으로 바울 당대의 권위주의로 무장된 사회적 교육적 제도의 틀을 혁신하는 도구이다. 결국 빌레몬서에 나타난 3중의 형제개념은 모든 종교와 인종, 계급과 지위의 구별에서 비롯된 사회계층간의 단절과 소외를 치유하여 한 사회, 한 인류를 평화와 공존의 평화로운 소통으로 유도하는 사해동포적인 사상의 구체적 표현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준만, "한국사회의 소통위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 Strohmeier, J, "피타고라스를 말하다" 퉁크 2005

      3 강남순, "제3세계 신학에 나타난 생명사상의 비교연구-한국, 인도, 멕시코의 주변부 신학을 중심으로" 생각의 나무 54-85, 2002

      4 Ringgren, H, "이스라엘의 종교사" 성바오르출판사 1990

      5 장춘익, "의사소통행위이론." 나남출판 2006

      6 정승우, "왜 바울은 하나님 나라에 대해 침묵하는가?" 한국신약학회 13 (13): 401-429, 2006

      7 김덕기, "오네시모는 노예해방 되었는가?" 17 : 93-118, 2008

      8 김덕기, "예수의 하나님의 나라 가르침에서의 유토피아적 특성, In 21세기 사회와 종교 그리고 유토피아" 생각의 나무 86-125, 2002

      9 Sanders, E. P, "예수와 유대교" 크리스쳔 다이제스트 2008

      10 차정식, "예수 한국사회에 답하다 (우리시대의 23가지 쟁점과 성서적 해법)" 새물결플러스 2012

      1 강준만, "한국사회의 소통위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 Strohmeier, J, "피타고라스를 말하다" 퉁크 2005

      3 강남순, "제3세계 신학에 나타난 생명사상의 비교연구-한국, 인도, 멕시코의 주변부 신학을 중심으로" 생각의 나무 54-85, 2002

      4 Ringgren, H, "이스라엘의 종교사" 성바오르출판사 1990

      5 장춘익, "의사소통행위이론." 나남출판 2006

      6 정승우, "왜 바울은 하나님 나라에 대해 침묵하는가?" 한국신약학회 13 (13): 401-429, 2006

      7 김덕기, "오네시모는 노예해방 되었는가?" 17 : 93-118, 2008

      8 김덕기, "예수의 하나님의 나라 가르침에서의 유토피아적 특성, In 21세기 사회와 종교 그리고 유토피아" 생각의 나무 86-125, 2002

      9 Sanders, E. P, "예수와 유대교" 크리스쳔 다이제스트 2008

      10 차정식, "예수 한국사회에 답하다 (우리시대의 23가지 쟁점과 성서적 해법)" 새물결플러스 2012

      11 차정식, "역동적 삼각관계와 공동체의 윤리-빌레몬서와 요한삼서를 중심으로" 한국신약학회 19 (19): 593-623, 2012

      12 Bell, A. A., "신약시대의 사회와 문화" 생명의 말씀사 2001

      13 Conzelmann, H, "신약성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국신학연구소 2001

      14 박익수, "성서 전승과 해석 -아브라함 전승의 해석과 역사" 한국신학연구소 1988

      15 최현덕, "서양에 있어서 유토피아 사상의 역사, In 21세기 사회와종교 그리고 유토피아" 생각의 나무 214-238, 2002

      16 "바울은 단지 이신칭의론자인가?" 11 (11): 119-149, 2004

      17 Bruce, F. F, "바울 곁의 사람들" 기독지혜사 1992

      18 Travis, S. H, "묵시문학과 종말사상"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1989

      19 Morris, L, "묵시문학" 은성 1985

      20 Clements, R. E., "구약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898

      21 Vaux, R. de, "구약시대의 생활풍속" 대한기독교출판사 1983

      22 Wolf, H. W, "구약성서의 인간학" 분도출판사 2003

      23 Zimmerli, W, "구약성서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76

      24 왕인성, "갈라디아서의 가족 관련 은유의 배경과 우정 모티브와의 관계" 11 (11): 151-179, 2004

      25 차정식, "가족해체와 통합의 신학적 변증법-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경우" 한국신약학회 13 (13): 693-747, 2006

      26 Rengstorf, K. H., "ἁμαρτωλοʹς" 1 : 320-339,

      27 Schweizer, E., "υἱοʹς" VIII : 364-395,

      28 Koester, H., "σπλάγχνα" VIII : 548-559,

      29 Strasser, Joh, "Utopie und Freiheit, In Hat die politische Utopie eine Zukunf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66-177, 1992

      30 Morus, Thomas, "Utopia" Insel Verlag 1992

      31 Stegemann, W. E, "Urchristliche Sozialgeschichte Die Anfaenge im Judentum und die Christusgemeinde in der mediterranen Welt" Kohlhammer 1995

      32 Marshall, I. H., "The Theology of the Shorter Pauline Lett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7-180, 1993

      33 Dunn, J. D. G., "The Theology of Paul the Apostle" Eerdedmans 1988

      34 Vermes, G., "The Religion of Jesus the Jew" Fortress 1993

      35 Koch, K., "The Rediscovery of Apocalyptic" Allenson 1972

      36 Rapske, B. M., "The Prisoner Paul in the Eyes of Onesimus" 37 : 187-203, 1991

      37 Russel, D. S., "The Method and Message of Jewish Apocalyptic: 200BC-AD100, In Old Testament Library" Westerminster 1964

      38 Morris, L.,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Eerdmans 1995

      39 Duncan, G. S., "The Epistle to the Galatians" Hendrickson 340-355, 2002

      40 Thayer, J. H., "Thayer's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Baker 1982

      41 Jeremias, J. Abba, "Studien zur neutestamentlichen Theologie und Zeitgeschichte" Vandenhoeck & Ruprecht 1966

      42 Kaehler, Chr, "Sklaverei" 31 : 373-377, 2000

      43 Klenner, H., "Rueckblick aus dem Jahre 1992 auf das Jahr 1652 Rechtsphilosophisches zum Nowhere des Nowhere, In Hat die politische Utopie eine Zukunf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46-57, 1652

      44 Church, F. F., "Rhetorical Structure and Design in Paul's Letter to Philemon" 71 : 17-33, 1978

      45 Saage, R., "Politische Utopien der Neuzei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1

      46 Knox, J., "Philemon among Letters of Paul" Nashville 1959

      47 Rosner, B. S, "Paul, Scripture, & Ethics A Study of 1 Corinthians 5-7" Baker Books 1999

      48 Winter, S. C., "Paul's Letter to Philemon" 33 : 1-15, 1987

      49 Callahan, A. D., "Paul's Epistle to Philemon: Toward an Alternative Argumentum" 86 (86): 357-376, 1993

      50 Duncan, G. S., "Paul's Ephesian Ministry" Hodder & Stoughton 1929

      51 Horsley, R., "Paul and Slavery" 83 : 153-152, 1998

      52 Callahan, A. D.., "Paul and Politics, In Paul and Politics" Trinity 216-223, 2000

      53 Horsley, R, "Palestinian Jewish Groups and their Messiahs in Late Second Temple Times, In Messianism Through History" SCM Press 14-29, 1993

      54 Picht, G., "Mut zur Utopie Die grossen Zukunftsaufgaben" Piper 1970

      55 Collins, J. J., "Marriage, Divorce, and Family in Second Temple Judaism, In Families in Ancient Israel" John Knox Press 104-162, 1997

      56 Lampe, P., "Keine "Sklavenflucht" des Onesimus" 76 : 135-137, 1985

      57 Nickelsburg, G. W. E., "Jewish Literature between the Bible and the Mishnah" Fortress 1981

      58 Nolte, E., "Hat die polotische Utopie eine Zukunf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3-14, 1992

      59 Zitelmann, R., "Hat die politische Utopie eine Zukunft, In Hat die politische Utopie eine Zukunf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7-33, 1992

      60 Bretone, M, "Geschichte des Roemischen Rechts" C.H. Beck 1992

      61 Callahan, A. D., "Embassy of Onesimus"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7

      62 Blanck, H., "Einfuehrung in das Privatleben der Griechen und Roemer"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6

      63 Schweitzer, A., "Die Mystik des Apostels Paulus" J.C.B. Mohr 1954

      64 Lohse, E., "Die Briefe an die Kolosser und an Philemon" Vandenhoeck & Ruprecht 1977

      65 Laub, F., "Die Begegnung des fruehen Christentums mit der antiken Sklaverei" kbw 1982

      66 Heinisch, K. J., "Der utopische Staat: Morus. Utopia, Campanella, In Sonnenstaat, Bacon. Neu-Atlantis" Rowohlt 1993

      67 Schrage, W., "Der erste Brief an die Korinther (1Kor 6,12-11,16)" Benziger 1995

      68 Wickert, U., "Der Philemonbrief -Privatbrief oder Apostolisches Schreiben?" 52 : 230-238, 1961

      69 Gnilka, J., "Der Philemonbrief" Herder 1982

      70 Suhl, A., "Der Philemonbrief" TVZ 1981

      71 Binder, H, "Der Brief des Paulus an Philemon" Evangelische Verlagsanstalt 1990

      72 Stuhlmacher, P., "Der Brief an Philemon" Benzinger Verlag 1981

      73 Berdjajew, N., "Das Reich des Geistes und das Reich des Caesar" WBG 1952

      74 Gnilka, J., "Das Evangelium nach Markus(Mk1-8,26)" Benziger 1978

      75 Kutsch, E, "Bund" 7 : 397-403, 1981

      76 Schmidt, W. H., "Alttestamentlicher Glaube in seiner Geschichte" Neukirchener Verlag 1987

      77 Berger, K, "Abraham" 1 : 372-382, 1976

      78 이종록, "21세기 사회와 종교 그리고 유토피아" (주)생각의 나무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6 0.55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