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ivic Media Literacy Scale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conceptualize and embody media literacy mentioned a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citizens in the modern society as “civic media literacy” and then develop it on a scale. Civic media literacy is the ability to use m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conceptualize and embody media literacy mentioned a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citizens in the modern society as “civic media literacy” and then develop it on a scale. Civic media literacy is the ability to use media with interest in civic intentionality and democratic principles. It is a concept that takes into account five factors: caring, critical consciousness, imagination, persistence, and emancipa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qualitatively higher form of media literacy that citizens who are members of our society should have. It is a competen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imed at fostering citize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ncept of “civic media literacy” as a quantitative measure so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studie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ivic education not only can propose a class model, but also can verify its effectiveness.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66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develop a civic media literacy scale. The first developed civic media literacy scale consisted of 40 items, including 13 items of “access and select”, 14 items of “analysis and evaluation”, and 13 items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two-factor structure of “exclusion of harmful media (4 items)” and “selecting good media (5 items)” in “access and selection”, the two-factor structure of “data and information analysis (3 items)” and “deliberation about implication(4 items)” in “analysis and evaluate”, and the three-factor structure of “selfreflection (3 items)”, “social responsibility (2 items)”, and “public participation (6 items) in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were deriv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struct validity by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27 derived questions, it was appropriate. However, in terms of convergent validity, improvement was required for the factor of “social responsibility” with a small number of questions (2 items), although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The “civic media literacy” scale derived from results shown above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in future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stud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c media literacy and various variab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시민이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역량으로 언급되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시민미디어 리터러시”로 재개념화하고 구체화한 후,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시민이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역량으로 언급되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시민미디어 리터러시”로 재개념화하고 구체화한 후,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는 시민적 의도성과 민주적 원칙에 관심을 가지고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우리 사회의 구성원인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질적으로 더 고양된 형태의 미디어 리터러시라고 할 수 있으며, 시민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교육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역량이다. 또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개발하여,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들이 수업 모형을제안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중·고등학생 661명을 대상으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 개발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초로 개발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는 총 40개 문항으로 “접근 및 선택” 13개 문항, “분석 및 평가” 14개문항, “표현 및 소통”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접근 및 선택”에서 유해 미디어 배척(4개 문항)과 양질의 미디어 선택(5개 문항)의 2요인 구조, “분석 및 평가”에서 자료 및 정보 분석(3개 문항)과 의미 숙고(4개 문항)의 2요인 구조, “표현 및 소통”에서 자기 성찰(3개 문항), 사회적 책임(2개문항), 공적 참여(6개 문항)의 3요인 구조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27개 설문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인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적절하였으며, 집중타당도에서는 문항 수가 적은 사회적 책임(2개 문항) 요인에 있어서 개선이 요구되었지만 판별타당도는 적절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도출한 “시민 미디어리터러시” 척도는 향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와 다양한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현선 ; 김아미 ; 박유미 ; 전경란 ; 이지선 ; 노자연,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11-238, 2016

      2 최문선 ; 박형준,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한국형 디지털 시민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273-297, 2015

      3 서원진 ; 이수민 ; 김미리혜 ; 김제중, "탐색적 요인분석 연구의 현황과 제언: 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77-193, 2018

      4 이미나, "청소년 수용자들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효과 연구 -파당적 뉴스에 대한 프레이밍과 객관보도규범 교육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111-155, 2011

      5 이규미 ; 김명식,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27-40, 2008

      6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 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015

      7 김현영, "정치 이슈의 관여도 수준에 따른 사회과 미디어 활용 수업의 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8 양정애, "인격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시민성 함양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언론중재위원회 3 (3): 85-125, 2017

      9 김은정 ; 유홍식, "이념 성향·강도, 적대적 매체 지각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가짜뉴스 노출과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21 (21): 93-126, 2020

      10 이영준, "요인분석의 이해" 석정 2002

      1 정현선 ; 김아미 ; 박유미 ; 전경란 ; 이지선 ; 노자연,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11-238, 2016

      2 최문선 ; 박형준,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한국형 디지털 시민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273-297, 2015

      3 서원진 ; 이수민 ; 김미리혜 ; 김제중, "탐색적 요인분석 연구의 현황과 제언: 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77-193, 2018

      4 이미나, "청소년 수용자들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효과 연구 -파당적 뉴스에 대한 프레이밍과 객관보도규범 교육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111-155, 2011

      5 이규미 ; 김명식,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27-40, 2008

      6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 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015

      7 김현영, "정치 이슈의 관여도 수준에 따른 사회과 미디어 활용 수업의 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8 양정애, "인격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시민성 함양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언론중재위원회 3 (3): 85-125, 2017

      9 김은정 ; 유홍식, "이념 성향·강도, 적대적 매체 지각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가짜뉴스 노출과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21 (21): 93-126, 2020

      10 이영준, "요인분석의 이해" 석정 2002

      11 한관종, "영화를 활용한 사회과에서의 다문화 수업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47-166, 2006

      12 안정임 ; 서윤경 ; 김성미,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 검증 : 세대 간의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6 (26): 129-176, 2012

      13 은지용, "사회과에서 매체 해독을 활용한 비판적 담론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5-34, 2005

      14 김현진 ; 김현영 ; 김은영 ; 류향승 ; 김보윤 ; 박희락 ; 최미애,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의 의미와 정규교육과정 통합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473-500, 2020

      15 박선미 ; 정민승, "미디어 활동에 참여한 성인중기 학습자의 민주적 시민성과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16 (16): 31-62, 2020

      16 이미나, "미디어 리터러시로서의 미디어교육 수업사례 제안"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39-181, 2009

      17 Potter, J. W, "미디어 리터러시 탐구" 소통 2020

      18 김경희,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 및 지역별 격차 측정조사" 방송통신위원회 2017

      19 권지혜,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20 강진숙,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시민역량 제고 방안 연구" 교육부 2019

      21 안정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평가도구 개발 및 성과 측정조사" 방송통신위원회 2013

      22 Buckingham, D., "미디어 교육: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s 2004

      23 김경희 ; 김광재 ; 이숙정, "모바일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세대 간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 한국방송학회 33 (33): 5-36, 2019

      24 봉미선 ; 신삼수, "디지털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공영방송의 역할 고찰" 한국방송학회 21 (21): 41-75, 2020

      25 안정임 ; 서윤경,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9-78, 2014

      26 정미현 ; 김재현 ; 황하성,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의 개발 및 예측타당성 검증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2 (22): 51-63, 2021

      27 이성자 ; 임은미, "대학생용 공동체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교육연구소 22 (22): 177-200, 2021

      28 안정임, "다문화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교육의 연계성_결혼이주여성과 이주노동자 증가에 따른 다문화 현황검토와 모색" 26 : 1-30, 2011

      29 장은영, "다문화 시대,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적 함의에 대해"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0 (10): 1-25, 2017

      30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5

      31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7

      32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33 염정윤 ; 정세훈, "가짜뉴스 노출과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성격, 뉴미디어 리터러시, 그리고 이용 동기" 한국언론학회 63 (63): 7-45, 2019

      34 Costa, C, "Why does society need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Ambitions, policies and measures"

      35 Hobbs, Renee, "The state of media literacy: A response to Potter" 55 (55): 419-430, 2011

      36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37 Mihilidis, P., "Media literacy as a core competency for engaged citizenship in participatory democracy" 57 (57): 1611-1622, 2013

      38 Burroughs, S, "Media literacy : A central compon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73 (73): 154-167, 2009

      39 Mihailidis, P., "Media Literacy and the Emerging Citizen" Peter lang 2014

      40 Martens, H., "Evaluating media literacy education: Concepts, theories and future directions" 2 (2): 1-22, 2010

      41 Hobbs, Renee,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The Aspen Institute 2010

      42 Koc, 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new media literacy scale(NMLS) for university students" 63 : 834-843, 2016

      43 Jenkins, H,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44 Mihailidis, P., "Civic media literacies: Re-Imagining engagement for civic intentionality" 43 (43): 153-164, 2018

      45 Middaugh, E., "Civic Media Literacy in a Transmedia World" 10 (10): 32-52, 2018

      46 Damico, J. S., "Civic Media Literacy as 21st century source work: Future social studies teachers examine web sources about climate change" 42 (42): 345-359, 2018

      47 Mihailidis, "Civic Media Literacies" Routledge 2019

      48 Livingstone, S., "Children and the internet" Polity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