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용장르를 이용한 지역축제의 지역경제효과 비교 분석 - ‘천안흥타령춤축제’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중심으로 - = Analysis of Local Economy Effect due to Local Dance Festival - mainly in “Cheonan World Dance Festival,” and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55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ltimate purpose of local festival is to develop economy and culture in that area. “Cheonan World Dance Festival,” and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are typical examples of successful local festivals about dance nationwide. The...

      The ultimate purpose of local festival is to develop economy and culture in that area. “Cheonan World Dance Festival,” and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are typical examples of successful local festivals about dance nationwide. There is a significance that not only “Cheonan World Dance Festival,” which has been decided for the best festival, but also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which has been chosen for Korea’s representing festival is just a local festival about dance genre. In Andong case, it is a local festival that specializ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 a traditional dance named “Talchum(Maskdance).” On the contrary, Cheoan case did it with all kinds of dance genre. Therefore, when trying to find an evolutive direction by studying economy booming effects caused by local festivals, it will be the foundation research to popularize dance genre as one of the popular brands.
      For the research methods, direction of economic impact of local festivals was drawn by analysing the types of spending and audience in “Cheonan World Dance Festival,” and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audience don’t spend continually, although its number is increasing is that the portion of alien audience is low. A solution that can increase even foreign audience in that portion of aliens should be found.
      Second, it can be guaranteed for a region to increase its income by increasing the portion of outsiders, even foreigners. Eventually this will positively affect local economy. By making it a world festival with various and positive ideas, foreigners will spend more.
      Third, To do this, local products and contents that have various promotional material and lo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local hardware infra should be reorganized.
      Hence, the local dance festival’s economic impact should be analyzed by using “Cheonan World Dance Festival,” and “Andong International Maskdance Festival,” which are the best representing dance festivals and progressing way of dance genre should be discussed. If dance festivals settle down through diverse methods and solutions, it will affect the growth of dance genre in a positive way. For this we should try more to find the ways to make successful local dance festiv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정아, "한국지역축제조사평가및개선방안연구(I)" 화체육관광부 2006

      2 문화관광부, "한국지역축제 조사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II" 문화체육관광부 2006

      3 정강환,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와 지역축제진흥방안" 1996

      4 오정근, "축제의 의미부여와 의미구조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이해집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5 조남규, "천안흥타령춤축제를통해본무용장르를활용한지역브랜드확립에관한 연구" 26 : 2011

      6 천안시, "천안흥타령축제 2010 평가보고서" 2010

      7 천안시, "천안흥타령축제 2008 평가보고서" 2008

      8 천안시, "천안흥타령축제 2007 평가보고서" 2007

      9 김일용, "지역축제의 평가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성산 억새꽃 축제를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9

      10 노영숙, "지역축제에 대한 기대수준 및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발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1 류정아, "한국지역축제조사평가및개선방안연구(I)" 화체육관광부 2006

      2 문화관광부, "한국지역축제 조사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II" 문화체육관광부 2006

      3 정강환,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와 지역축제진흥방안" 1996

      4 오정근, "축제의 의미부여와 의미구조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이해집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5 조남규, "천안흥타령춤축제를통해본무용장르를활용한지역브랜드확립에관한 연구" 26 : 2011

      6 천안시, "천안흥타령축제 2010 평가보고서" 2010

      7 천안시, "천안흥타령축제 2008 평가보고서" 2008

      8 천안시, "천안흥타령축제 2007 평가보고서" 2007

      9 김일용, "지역축제의 평가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명성산 억새꽃 축제를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9

      10 노영숙, "지역축제에 대한 기대수준 및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발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11 문건수, "지역축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보령시 머드축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12 한지훈,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의 만족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13 홍승덕, "지역 축제에서 청소년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2007 천안 흥타령 축제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8

      14 안동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조사연구" 2010

      15 안동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조사연구" 2007

      16 안동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조사연구" 2008

      17 최화열, "문화 이벤트 사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6

      18 권욱동, "무용공연의 효율적 기획을 위한 마케팅 전략" 한국무용예술학회 15 (15): 99-121, 2005

      19 한국문화정책개발원, "강원개발연구원"

      20 문화관광부, "2010 문화관광축제종합평가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0

      21 조남규, ""천안흥타령춤축제 2011" 관람객의 참여 분석을 통한 무용장르의 대중화 방안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36 (36): 131-158,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Dance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