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도시주거는 가족의 분열과 개인생활의 증대,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한 거주지의 순환주기 축소, 토지점유로 인한 도시의 팽창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삶의 주기와 양식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도시주거는 가족의 분열과 개인생활의 증대,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한 거주지의 순환주기 축소, 토지점유로 인한 도시의 팽창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삶의 주기와 양식변...
현대도시주거는 가족의 분열과 개인생활의 증대,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한 거주지의 순환주기 축소, 토지점유로 인한 도시의 팽창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삶의 주기와 양식변화의 개념들을 파악하여 현대 도시주거의 양식이 새롭게 제시 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특정행위가 요구하는 공간크기변화의 건축적 가능성을 파악하여 하나의 개체가 아닌 분할, 집합, 배열 즉, public 공간의 점유 방법까지의 문제를 탐구하고 변화되는 공간을 만들어 내어 시대적인 요소가 반영된 설계가 목표이다.
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들의 변환을 보다 시스템화 된 변형으로 연구하여 규격화된 unit에 적용한다. 다양한 변화의 형태와 접목된 공간 디자인을 나열하여 삭제해 나가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unit의 복합체과정은 마당등 공적인 공간을 중심으로 개인적인 공간과 공적인 공간의 연결로 전체 housing 형태 또한 개별적인 unit의 구성을 담고 있다.
일반적인 중력에 대한 대응책, 건물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들을 파괴함으로서 공간의 다변화와 공간소비의 허비를 감소하고 일상생활에서의 공간 효율을 최대화한다. 서구적 내부 공간 구성과 동양의 집합문화에서 사용된 외부공간의 시스템화 된 분할로 인한 이중성의 공간은 본 연구의 최종적인 결과가 된다.
공간사용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이 바뀌어서 목적에 따른 공간사용의 허비를 효율성 있게 시스템화 시키면서 하나의 개체가 아닌 접합의 상태 즉, 변화되고 성장할 수 있는 도시주거의 현상을 대변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dern city residence is suffering from various problems such as reduction of residence circulation period due to disruption of family, increased privacy and changes in life patterns, as well as expansion of city space due to land occupancy. Based...
The modern city residence is suffering from various problems such as reduction of residence circulation period due to disruption of family, increased privacy and changes in life patterns, as well as expansion of city space due to land occupanc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such life cycle and changes in pattern, a new form of modern city residence shall be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design that reflects periodic factors by identifying the architectural possibility of diversity in spatial dimensions required by a certain activity, exploring the occupancy form of public spaces, in other words division, collection, and arrangement which are not a unified object, and finally by constructing a changing space.
By studying the conversion of basic factors that constitute the space as a more systematic conversion, the result is applied to a standardized unit. Such course of studying is accomplished by arranging and then removing the forms of various changes and integrated spatial designs. Furthermore, this compounding course of the unit is a connection of the private space and the public place centered on the public space as the yard. The overall formation of housing also contains the structure of individual unit.
By destroying the common countermeasure for the gravity or common knowledge on the buildings, the diversification and consumption of space are reduced while the spatial effectiveness in the ordinary life is maximized. The dual space due to the systematic division of the external spaces used in the internal space structure of the west and the collective culture of the east will be the final result of this stud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by changing the fundamental concept on the usage of space, to systemize the wasteful consumption of spaces for each purpose and to represent the status of city residence that is capable of existing as a collection not as a single unit, in other words, capable of changing and developing.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 건축적 탈기하공간을 향하여
예술이벤트와 뮤지엄 건축을 통한 도시 아이덴티티의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