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소설 금수회의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10003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853.6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new age novel Animal Proceedings

      • 형태사항

        69장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신종한
        참고문헌: 64-66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ttempt to reveal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blossoming era's new age novel Animal Proceedings by assessing the diverse forms of thinking and cultural embodiments appearing in the novel.
      Although this work has received high praise for its originality as a beast fable, the main motive for its creation is considered to have been to offer the readership words of teachings and enlightenment, rather than origination of a creative aesthetical form. All of the words of teachings presented by the author through the mouths of animals is a powerful criticism on the prevailing state of society at the time and concurrently a moral lesson to the people of that era on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 So far, these words of teachings are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raditional Confucian and Christian ideologies.
      In this study, the Christian aspects of the novel were first observed. The author's views in the novel are his revelational truths that are based on Christian thought and direct the reader to the absolute core of man and the ultimate destination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 entire content of the novel also coincides with the traditionalistic standpoint. The problem is that these criticisms and utterances of encouragement reflect Confucian influences when they target specific issues of reality and reflect Christian influences when presenting a single, comprehensive, and fundamental line of thought.
      The Confucian aspects of the novel were considered next, particularly the Confucian traits of Animal Proceedings as criticisms against decadence of man and as a measure of things having gone wrong. Social decadence so perverse that man is no longer better than animals was something that could not be accepted by Confucian values and was, rather, something that must be repented and remedied. For these reasons, the author attempts to awaken man through records from a meeting of animals. As such, the novel's Confucian traits come across thick, as the grandest ideological theme of the novel. Furthermore, the concept of heaven was dealt with. This concept is not a separate and superior entity as described in the Christian Creation precept, but rather a concept that has been considered part of a single unit that encompasses the world of man and of all things. Thus, the concept of heaven is depicted not a subject of perception but as the source of creation and source of man, which coincides with the traits of Confucian concept of heaven.
      Lastly, limitations of Animal Proceedings were studied. 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are given on any artwork or any era, it is possible to give a positive evaluation on this novel through ideal analysis, but the unexhaustiv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author reveals itself as the novel's limi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confusion of values at the time of writing. Furthermore, the numerous shortcomings in terms of defining this novel as a political satire can also be considered as its limitations.
      In summarizing this study, this novel can be concluded as an attempt to induce fundamental introspect and self-reflection to the question of what should be pursued in the lives we lead. As such, Animal Proceedings is a novel that opened a new horizon of meaning towards true salvation in Korean literatur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ttempt to reveal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blossoming era's new age novel Animal Proceedings by assessing the diverse forms of thinking and cultural embodiments appearing in the novel. Although this work has rec...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ttempt to reveal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blossoming era's new age novel Animal Proceedings by assessing the diverse forms of thinking and cultural embodiments appearing in the novel.
      Although this work has received high praise for its originality as a beast fable, the main motive for its creation is considered to have been to offer the readership words of teachings and enlightenment, rather than origination of a creative aesthetical form. All of the words of teachings presented by the author through the mouths of animals is a powerful criticism on the prevailing state of society at the time and concurrently a moral lesson to the people of that era on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 So far, these words of teachings are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raditional Confucian and Christian ideologies.
      In this study, the Christian aspects of the novel were first observed. The author's views in the novel are his revelational truths that are based on Christian thought and direct the reader to the absolute core of man and the ultimate destination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 entire content of the novel also coincides with the traditionalistic standpoint. The problem is that these criticisms and utterances of encouragement reflect Confucian influences when they target specific issues of reality and reflect Christian influences when presenting a single, comprehensive, and fundamental line of thought.
      The Confucian aspects of the novel were considered next, particularly the Confucian traits of Animal Proceedings as criticisms against decadence of man and as a measure of things having gone wrong. Social decadence so perverse that man is no longer better than animals was something that could not be accepted by Confucian values and was, rather, something that must be repented and remedied. For these reasons, the author attempts to awaken man through records from a meeting of animals. As such, the novel's Confucian traits come across thick, as the grandest ideological theme of the novel. Furthermore, the concept of heaven was dealt with. This concept is not a separate and superior entity as described in the Christian Creation precept, but rather a concept that has been considered part of a single unit that encompasses the world of man and of all things. Thus, the concept of heaven is depicted not a subject of perception but as the source of creation and source of man, which coincides with the traits of Confucian concept of heaven.
      Lastly, limitations of Animal Proceedings were studied. 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are given on any artwork or any era, it is possible to give a positive evaluation on this novel through ideal analysis, but the unexhaustiv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author reveals itself as the novel's limi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confusion of values at the time of writing. Furthermore, the numerous shortcomings in terms of defining this novel as a political satire can also be considered as its limitations.
      In summarizing this study, this novel can be concluded as an attempt to induce fundamental introspect and self-reflection to the question of what should be pursued in the lives we lead. As such, Animal Proceedings is a novel that opened a new horizon of meaning towards true salvation in Korean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화기 신소설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다양한 사상과 문학적 형상화의 양상을 고찰하여 그 문학사적인 의의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것이다.
      이 작품은 우화소설의 참신성이 높이 평가되기도 하지만, 주된 창작 동기는 독창적인 미적 형식의 창안보다도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전언의 제시에 있었다고 여겨진다. 동물들의 입을 빌어 쏟아내는 그 교훈적 전언들은 모두, 한편으로는 당시 세태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면서 동시에 동시대인들이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해서는 안 되는가 하는 것에 대한 도덕적 가르침이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교훈적 전언들은 유교적 전통 사상과 기독교 사상의 영향 아래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리하여 첫째,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금수회의록』에 나타난 안국선의 견해는 기독교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내세운 계시적인 진리라고 할 수 있으며 해체되어 가는 전통사회 속에서 인간의 절대적인 중심과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를 제시한 것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금수회의록』에서 주장하고 있는 모든 내용은 전통주의적인 입장과도 상통하고 있다. 문제는, 그러한 비판과 권면의 발언들이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겨냥하고 있을 때는 유교적 전통 사상의 영향을 반영하는 반면에, 하나의 포괄적이고 근본적인 선을 제시할 때에는 기독교 사상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유교사상을 고찰하였다.『금수회의록』에 드러난 유교적 성격은 인간의 타락상을 비판하고 그릇됨을 지적하는 척도가 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유교적 도덕관에 비추어 금수만도 못하게 타락한 사람들의 세태는 용납할 수 없는 것이고, 회개하고 고쳐져야 하는 것이기에 금수회의라는 방법으로 사람의 각성을 촉구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작품의 유교적 성격은 매우 짙게 나타나면서 가장 큰 사상적 배경으로 자리 잡는다. 또한 ‘天’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하늘’이라는 개념이 기독교의 천지창조 사상과는 또 다른 초월적 존재가 아니라 인간과 만물의 세계와 함께 일원적으로 사유되어 온 것으로 지각의 대상이 아니며, 생성의 근원, 즉 인간을 생성시킨 근원으로 묘사되어 유교적인 天의 성격과 부합되는 것임을 논의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금수회의록』의 한계를 고찰하였다. 어느 시대, 어느 작품이나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공존하듯, 이상의 구성 원리를 통해 분석해 본 작품의 평가는 그런대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한 것이지만, 작가의 철저하지 못한 사상적 기반은 작품에서 크게 기독교적 성격과 유교적 성격으로 나누어 파악이 가능한 동시에 가치관의 혼란이라는 당 시대의 상황을 반영하여 작품의 한계로 드러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정치소설이라고 규정짓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기에 이 또한 한계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볼 때, 결국 이 작품은 우리가 삶에서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성찰을 유도하고자 한 작품으로 한국 문학사에 진정한 구원을 향한 의미의 지평을 열어 놓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개화기 신소설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다양한 사상과 문학적 형상화의 양상을 고찰하여 그 문학사적인 의의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것이다. 이 작품은 우화소설의 참...

      본 연구는 개화기 신소설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다양한 사상과 문학적 형상화의 양상을 고찰하여 그 문학사적인 의의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것이다.
      이 작품은 우화소설의 참신성이 높이 평가되기도 하지만, 주된 창작 동기는 독창적인 미적 형식의 창안보다도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전언의 제시에 있었다고 여겨진다. 동물들의 입을 빌어 쏟아내는 그 교훈적 전언들은 모두, 한편으로는 당시 세태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면서 동시에 동시대인들이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해서는 안 되는가 하는 것에 대한 도덕적 가르침이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교훈적 전언들은 유교적 전통 사상과 기독교 사상의 영향 아래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리하여 첫째,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금수회의록』에 나타난 안국선의 견해는 기독교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내세운 계시적인 진리라고 할 수 있으며 해체되어 가는 전통사회 속에서 인간의 절대적인 중심과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를 제시한 것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금수회의록』에서 주장하고 있는 모든 내용은 전통주의적인 입장과도 상통하고 있다. 문제는, 그러한 비판과 권면의 발언들이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겨냥하고 있을 때는 유교적 전통 사상의 영향을 반영하는 반면에, 하나의 포괄적이고 근본적인 선을 제시할 때에는 기독교 사상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유교사상을 고찰하였다.『금수회의록』에 드러난 유교적 성격은 인간의 타락상을 비판하고 그릇됨을 지적하는 척도가 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유교적 도덕관에 비추어 금수만도 못하게 타락한 사람들의 세태는 용납할 수 없는 것이고, 회개하고 고쳐져야 하는 것이기에 금수회의라는 방법으로 사람의 각성을 촉구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작품의 유교적 성격은 매우 짙게 나타나면서 가장 큰 사상적 배경으로 자리 잡는다. 또한 ‘天’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하늘’이라는 개념이 기독교의 천지창조 사상과는 또 다른 초월적 존재가 아니라 인간과 만물의 세계와 함께 일원적으로 사유되어 온 것으로 지각의 대상이 아니며, 생성의 근원, 즉 인간을 생성시킨 근원으로 묘사되어 유교적인 天의 성격과 부합되는 것임을 논의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금수회의록』의 한계를 고찰하였다. 어느 시대, 어느 작품이나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공존하듯, 이상의 구성 원리를 통해 분석해 본 작품의 평가는 그런대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한 것이지만, 작가의 철저하지 못한 사상적 기반은 작품에서 크게 기독교적 성격과 유교적 성격으로 나누어 파악이 가능한 동시에 가치관의 혼란이라는 당 시대의 상황을 반영하여 작품의 한계로 드러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정치소설이라고 규정짓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기에 이 또한 한계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볼 때, 결국 이 작품은 우리가 삶에서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성찰을 유도하고자 한 작품으로 한국 문학사에 진정한 구원을 향한 의미의 지평을 열어 놓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방법 = 2
      • Ⅱ. 『금수회의록』의 기독교문학적 성격 = 6
      • 1. 기독교의 수용과 발생 = 6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방법 = 2
      • Ⅱ. 『금수회의록』의 기독교문학적 성격 = 6
      • 1. 기독교의 수용과 발생 = 6
      • 2. 기독교 문학의 발생 = 13
      • 3.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기독교 의식 = 18
      • Ⅲ. 『금수회의록』의 유교문학적 성격 = 31
      • 1. 유교 사상의 개관 = 31
      • 1) 유교의 기본 사상 = 31
      • 2) 유교의 천인합일 사상 = 32
      • 2.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유교적 성격 = 36
      • 1) 『금수회의록』에 나타난 유교의 기본 사상 = 38
      • 2) 天觀 = 47
      • 3) 천상계의 존재 = 52
      • Ⅳ. 작품의 한계 = 54
      • 1. 사상의 혼란 = 54
      • 2. 『금수회의록』의 한계 = 57
      • Ⅴ. 결론 = 61
      • 참고 문헌 = 64
      • ABSTRACT =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