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대생의 적응유연성,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Wom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7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woman. By doing so,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help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cope with the stress related to future career and profession and adapt to it.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to analyz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t-test to confirm how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resilience; and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what influence the resilience will have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the subjects of 325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had positive relation to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female group with adaptative resilience showed high level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mpared to those with vulnerable resilience. Third, the adaptative resilience female stud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sub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resilience.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resilience can be used as a method to involve in improving the level of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the method to deal with such behaviors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resilience of the students to get guidance and counsel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woman. By doing so,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help 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woman. By doing so,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help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cope with the stress related to future career and profession and adapt to it.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to analyz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t-test to confirm how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resilience; and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what influence the resilience will have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the subjects of 325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had positive relation to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female group with adaptative resilience showed high level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mpared to those with vulnerable resilience. Third, the adaptative resilience female stud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sub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resilience.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resilience can be used as a method to involve in improving the level of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the method to deal with such behaviors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resilience of the students to get guidance and counsel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적응유연성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여대생들의 진로 및 취업과 관련한 스트레스 대처와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진로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25명의 여대생들에게 적응유연성검사, 진로태도성숙검사 및 진로준비행동검사를 실시하였다. 적응유연성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적응유연성 수준에 따라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적응유연성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첫째, 여대생의 적응유연성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에 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적응유연성 여대생 집단이 적응취약성 여대생 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았다. 셋째, 여대생의 적응유연성은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적응유연성 수준에 따라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에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적응유연성을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 수준 향상을 위한 개입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되, 상담 및 교육 대상의 적응유연성의 수준에 따라 그 개입방법을 달리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적응유연성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여대생들의 진로 및 취업과 관련한 스트레스 대처와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진로교육 및 ...

      본 연구는 적응유연성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여대생들의 진로 및 취업과 관련한 스트레스 대처와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진로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25명의 여대생들에게 적응유연성검사, 진로태도성숙검사 및 진로준비행동검사를 실시하였다. 적응유연성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적응유연성 수준에 따라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적응유연성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첫째, 여대생의 적응유연성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에 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적응유연성 여대생 집단이 적응취약성 여대생 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았다. 셋째, 여대생의 적응유연성은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적응유연성 수준에 따라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에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적응유연성을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 수준 향상을 위한 개입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되, 상담 및 교육 대상의 적응유연성의 수준에 따라 그 개입방법을 달리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성, "회복력(Resilience) 개념 개발: 혼종모형의 적용" 중앙대학교 1997

      2 이인숙, "한국가족의 기능 회복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만성질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한국간호과학회 32 (32): 560-569, 2002

      3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161-206, 2005

      4 강재연, "한국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심리적 변인관의 관계: 진로태도성숙,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9

      5 김은영,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1

      6 심인옥, "학령기 만성질환아동의 극복력증진을 위한 유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서울대학교 2006

      7 민무숙, "평생학습사회에서의 여성 진로교육" 71-106, 2003

      8 김완석, "커리어상담" 시그마프레스 2009

      9 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 조사결과" 한국교육개발원 2009

      10 이보미,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의식 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6

      1 김혜성, "회복력(Resilience) 개념 개발: 혼종모형의 적용" 중앙대학교 1997

      2 이인숙, "한국가족의 기능 회복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만성질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한국간호과학회 32 (32): 560-569, 2002

      3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161-206, 2005

      4 강재연, "한국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심리적 변인관의 관계: 진로태도성숙,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9

      5 김은영,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1

      6 심인옥, "학령기 만성질환아동의 극복력증진을 위한 유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서울대학교 2006

      7 민무숙, "평생학습사회에서의 여성 진로교육" 71-106, 2003

      8 김완석, "커리어상담" 시그마프레스 2009

      9 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 조사결과" 한국교육개발원 2009

      10 이보미,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의식 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6

      11 강석기, "청소년의 적응유현성과 관련된 변수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8 (8): 49-68, 2006

      12 박주란,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역경지각 및 보호요인의 관계" 한서대학교 2009

      13 이해리, "청소년의 역경과 긍정적 적응:유연성의 역할" 한양대학교 2007

      14 조규필, "청소년쉼터가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쉼터의 개입기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15 김선중, "진로장벽,희망,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2004

      16 한국교육개발원,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17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배영사 1992

      18 이선정, "중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9 송유미, "조손가족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의 발달경로모형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5 (15): 143-164, 2004

      20 최해경, "조손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적응유연성"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3 (23): 37-58, 2006

      21 강영미, "전문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애와 자아탄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6 (16): 415-438, 2009

      22 윤선아, "적응유연성을 보이는 여자 대학생의 방어기제와 대처전략 특성"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961-975, 2008

      23 고근종,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4 박병기,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61-82, 2010

      25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1

      26 송희영, "일반 청소년을 위한 적응유연성 도구(Resilience Scale)의 타당도 및 신뢰도" 정신간호학회 15 (15): 31-39, 2006

      27 노성환,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28 공수자, "여자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21-40, 2006

      29 양진희,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57-72, 2008

      30 전미영, "암으로 사별한 가족의 복원(Resiliency)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1996

      31 한미라, "알코올중독자 부인의 극복력과 사회적지지,영성" 연세대학교 2004

      32 문은숙,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의 탄력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10

      33 박인실, "소년원 학생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6

      34 조지혜, "성취동기,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2007

      35 김현아, "새터민의 적응유연성 척도 개발" 경북대학교 2006

      36 오은경, "사회적 지지와 의사결정유형,진로성숙도의 관계" 전남대학교 2003

      37 김순규,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03-123, 2009

      38 박현선, "빈곤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1995

      39 좌현숙, "빈곤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영역간 종단적 상호관계 : 심리, 사회, 학교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247-278, 2010

      40 박현선, "빈곤 청소년의 위험 및 보호요소가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11 (11): 23-52, 1998

      41 문선아, "불안과 성취동기가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42 김윤나,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유연성에 관한 통합적 연구" 중앙대학교 2008

      43 김수리,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2004

      44 김성경,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0 (10): 215-237, 2003

      45 이상희, "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연세대학교 2005

      46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2002

      47 김남흥,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48 이기학,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미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11 (11): 13-21, 2003

      49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1997

      50 안도희, "대학생의 적응유연성에 따른 집단별 특성: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 유능감 및 학업성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47-67, 2007

      51 배윤주,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2009

      52 진준혁,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0

      53 장기명,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진로결정수준․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연구" 원광대학교 1998

      54 홍지연,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2004

      55 이은희,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25-52, 2004

      56 장형석,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원천과 대처 책략" 32 : 101-115, 2000

      57 박순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적응유연성(Resilience)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03-134, 2009

      58 신선희,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치원 적응유연성" 충북대학교 2009

      59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1997

      60 이혜숙,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태도성숙도 및 학교생활 적응도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2008

      61 최경자,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2 "‘졸업=백수’ 대졸여성 실업자 사상최대, 국민일보, 2010 3 19"

      63 Luthar, S. S.,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 study of high-risk adolescents" 62 (62): 600-616, 1991

      64 Reivich, K., "The resilience factor" Broad Books 2002

      65 Coffman, D. L., "Social support, stress and self-efficacy; Effects on student`s satisfaction" 4 (4): 53-66, 2002

      66 Leontopoulou, S., "Resilience of greek youth and educational transition point: The role of locus of control and coping strategies as resources" 76 (76): 95-126, 2006

      67 Rutter, M.,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in: Risk and protective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1-214, 1990

      68 Werner, E. E., "Overcoming the odds" 15 : 131-136, 1994

      69 Masten, A. S.,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56 : 227-238, 2001

      70 Savickas, M. L., "Measuring Career Development: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43 : 54-62, 1994

      71 Alvord, M. K., "Enhancing resilience in children: a proactive approach" 36 (36): 238-245, 2005

      72 Foual, N. A., "Cross-cultural vacational assessment" 42 : 4-13, 1993

      73 Super, D. E., "Career and life development. i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Jossey-Bass 1984

      74 Newman, R., "APA's resilience initiative" 36 (36): 227-229, 2005

      75 Friborg, O., "A new rating scale for adult resilience: What are the central proactive resources behind healthy adjustment?" 12 (12): 65-76, 2003

      76 박윤희, "2008년 신입생 실태조사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31 :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2.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1 2.47 3.62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