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태환, "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II) : 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 안내서 수립" 국토연구원 2014
2 김은정, "어디에 사는지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가? - 우리나라 지역유형별 건강도 특성 분석 -" 한국도시지리학회 17 (17): 149-161, 2014
3 박희은, "서울의 정체성을 위한 보행환경 개선 방안 연구 -디자인서울거리조성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285-296, 2015
4 장영호, "보행공간의 디자인 환경에 관한 연구-서울시 남산동 퇴계로 20길 만화특화거리 계획구간을 대상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569-580, 2014
5 김창국, "보행 목적별 보행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건조환경 구성요소 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145-159, 2016
6 변지혜, "물리적 보행환경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진해시를 사례지역으로 -" 한국조경학회 37 (37): 57-65, 2010
7 정윤남, "무장애(Barrier-Free)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가로개선사업의 평가 및 개선방향 도출 - 서울특별시 걷고싶은거리 사업대상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11-22, 2014
8 이경은, "도심주거지의 여가공간화 변천과정 연구: 아쌍블라주(Assemblage) 개념을 통해 본 부암동 골목길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 18 (18): 75-91, 2015
9 김은정, "도시환경 수준과 개인의 건강지표와의 상관성 분석: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8 (18): 107-120, 2015
10 박철희, "도시재생을 위한 가로환경 실태및 개선방안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2007
1 김태환, "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II) : 근린환경 진단 및 개선 안내서 수립" 국토연구원 2014
2 김은정, "어디에 사는지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가? - 우리나라 지역유형별 건강도 특성 분석 -" 한국도시지리학회 17 (17): 149-161, 2014
3 박희은, "서울의 정체성을 위한 보행환경 개선 방안 연구 -디자인서울거리조성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285-296, 2015
4 장영호, "보행공간의 디자인 환경에 관한 연구-서울시 남산동 퇴계로 20길 만화특화거리 계획구간을 대상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569-580, 2014
5 김창국, "보행 목적별 보행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건조환경 구성요소 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145-159, 2016
6 변지혜, "물리적 보행환경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진해시를 사례지역으로 -" 한국조경학회 37 (37): 57-65, 2010
7 정윤남, "무장애(Barrier-Free)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가로개선사업의 평가 및 개선방향 도출 - 서울특별시 걷고싶은거리 사업대상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11-22, 2014
8 이경은, "도심주거지의 여가공간화 변천과정 연구: 아쌍블라주(Assemblage) 개념을 통해 본 부암동 골목길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 18 (18): 75-91, 2015
9 김은정, "도시환경 수준과 개인의 건강지표와의 상관성 분석: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8 (18): 107-120, 2015
10 박철희, "도시재생을 위한 가로환경 실태및 개선방안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2007
11 박소현, "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61-172, 2008
12 "도로명주소"
13 김은정, "대구시 레드블록 프로젝트를 통해 본 보행친화적 가로환경정비사업의 성과와 과제" 한국도시행정학회 30 (30): 131-148, 2017
14 "대구광역시 버스노선 안내시스템"
15 이형숙, "노인 보행환경 평가항목 신뢰도 분석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2 (12): 69-75, 2012
16 "국토지리정보원"
17 박경훈, "걷기활동 증진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지표의 개발" 한국환경과학회 16 (16): 1231-1238, 2007
18 김승남, "가로단위 보행환경 평가체계 개발 연구" 세종특별자치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6
19 Manaugh, K., "Validating walkability indices : How do different households respond to the walkability of their neighborhood?" 16 (16): 309-315, 2011
20 Nagel, C. L., "The relation between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activity among older adults" 168 (168): 461-468, 2008
21 Clifton, K. J.,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audit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80 (80): 95-110, 2006
22 Giles-Corti, B. G., "School site and the potential to walk to school : The impact of street connectivity and traffic exposure in school neighborhoods" 17 (17): 545-550, 2011
23 Koohsari, M. J., "Public open space and walking : The role of proximity, perceptual qualities of the surrounding built environment, and street configuration" 45 (45): 706-736, 2012
24 Zhu X., "Pers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walking to school behaviors : Case study in Austin, Texas" 8 : 859-872, 2008
25 Owen, N.,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the walking behavior of australian adults" 33 (33): 387-395, 2007
26 Moura, F., "Measuring walkability for distinct pedestrian groups with a participatory assessment method : A case study in Lisbon" 157 : 282-296, 2017
27 Ewing, R., "Measuring the unmeasurable : Urban design qualities related to walkability" 14 (14): 65-84, 2009
28 Porta, S., "Linking urban design to sustainability : Formal indicators of social urban sustainability field research in Perth, Western Australia" 10 (10): 51-64, 2005
29 Millington, C., "Development of the scottish walkability assessment tool(SWAT)" 15 (15): 474-481, 2009
30 Cunningham, G. O., "Developing a reliable senior walking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 29 (29): 215-217, 2005
31 Pikora, T., "Developing a reliable audit instrument tomeasure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physical activity" 23 (23): 187-194, 2002
32 Pikora, T., "Developing a framework for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walking and cycling" 56 (56): 1693-1703, 2003
33 Koo, T. K., "A guideline of selecting and report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reliability research" 15 (15): 155-16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