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동해안의 영동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마을공동체에 대하여 동제의식과 사회적 자본 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44932
2012
Korean
동제 ; 사회적 자본 ; 마을공동체 ; 양양문화권 ; 강릉문화권 ; 삼척문화권 ; 농촌 ; 어촌 ; village ceremony ; social capital ; village community ; yang-yang culturearea ; gangrung culture area ; samcheok culture area ; farming area ; fishing area.
KCI등재
학술저널
429-459(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동해안의 영동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마을공동체에 대하여 동제의식과 사회적 자본 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
이 연구는 동해안의 영동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마을공동체에 대하여 동제의식과 사회적 자본 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문화권별로는 도시화의 진행이 빠른 지역일수록 동제의식과 사회적 자본의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촌락별로는 농촌이 어촌보다 동제의식과 사회적 자본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농촌이 어촌 보다 정주의식이 높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셋째, 마을공동체에서 동제의식이 높은 곳은 사회적 자본의 수치가 점수를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동제의식과 사회적 자본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작용을 한다는 것을 반증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work wa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illage ceremony and social capital to village community investigated. From th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of all, the village ceremony spirit and social capital fig...
The object of this work wa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illage ceremony and social capital to village community investigated. From th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of all, the village ceremony spirit and social capital figure were low in fast civilization regions according to culture areas. The next thing, the village ceremony spirit and social capital figure of farming area are higher than those of fishing area with villages. It was caused by the settlement of farming area is higher than that of fishing area. Third, the social capital figure of the village communities is excellent if village ceremony spirit is high. These phenomenon showed that village ceremony spirit and social capital did not divide and they are eachother.
목차 (Table of Contents)
일제강점기 한문소설 작가 震庵 李輔相의 행적과 작품 활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