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자기노출, 공유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방향, 그리고 관계 유형 차원의 이해와 행태 = A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Media Perceptions and Behaviors Based on Facebook and Twitter Us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62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대상으로 해당 미디어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실제 이용 행태를 설문지와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페이스북은 높은 수준의 자기노출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특정 사안에 대한 정보 보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일상적인 메시지를 더 많이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트위터는 페이스북과는 달리 공간 내에서 자기노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정보형 메시지가 더 많이 공유되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과정을 기록하는 유저빌리티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용자들의 실제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를 관찰,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은 전반적으로 페이스북을 관계 지향적 의도로, 트위터를 정보 지향적 의도로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세부적 분석 결과는 이용자들이 기능과 이용행위에 따라 다른 관계적 그리고 정보적 지향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그리고 트위터 이용자들의 인식과 실제 이용 행태의 비교 분석을 위해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른 실증적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두 소셜 미디어의 기능과 이용행위를 분류하여 이용자들의 이용의도를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대상으로 해당 미디어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실제 이용 행태를 설문지와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대상으로 해당 미디어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실제 이용 행태를 설문지와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페이스북은 높은 수준의 자기노출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특정 사안에 대한 정보 보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일상적인 메시지를 더 많이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트위터는 페이스북과는 달리 공간 내에서 자기노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정보형 메시지가 더 많이 공유되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과정을 기록하는 유저빌리티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용자들의 실제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를 관찰,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은 전반적으로 페이스북을 관계 지향적 의도로, 트위터를 정보 지향적 의도로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세부적 분석 결과는 이용자들이 기능과 이용행위에 따라 다른 관계적 그리고 정보적 지향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그리고 트위터 이용자들의 인식과 실제 이용 행태의 비교 분석을 위해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른 실증적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두 소셜 미디어의 기능과 이용행위를 분류하여 이용자들의 이용의도를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Facebook and Twitter in terms of self exposure, message pattern, types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and usage patterns. The present study performed conjoint analysis to find out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perceived Facebook as a social integrative media disclosed more self exposure and considerable daily message about themselves and twitter as an informative media distributed news and non-personal information. Also, this study observed users’ Facebook and Twitter usage patterns with a usability software Morae and found that users differently and variously used those social media respectively based on purposes and functions each social media served. This study implies that social media analysis requires more specific categorization based on users’ motives and media functions beyond information or relationship oriented classifi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Facebook and Twitter in terms of self exposure, message pattern, types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and usage patterns. The present study performed conjoint analysis to find out particip...

      This study analyze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Facebook and Twitter in terms of self exposure, message pattern, types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and usage patterns. The present study performed conjoint analysis to find out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perceived Facebook as a social integrative media disclosed more self exposure and considerable daily message about themselves and twitter as an informative media distributed news and non-personal information. Also, this study observed users’ Facebook and Twitter usage patterns with a usability software Morae and found that users differently and variously used those social media respectively based on purposes and functions each social media served. This study implies that social media analysis requires more specific categorization based on users’ motives and media functions beyond information or relationship oriented classifi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연구 배경
      • 2. 문헌 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요약
      • 1. 연구 배경
      • 2. 문헌 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덕진, "한국인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와 동학" 언론정보연구소 48 (48): 59-86, 2011

      2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11"

      3 이호규, "페이스북의 정체성에 대한 탐색적 시론: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대한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8 (28): 129-172, 2011

      4 양혜승, "페이스북은 우리의 관계를 윤택하게 하는가?: 페이스북 이용자의 사회심리학적 동기, 이용 행위, 사회적 지지 인식의 관계 고찰" 한국언론학회 56 (56): 270-297, 2012

      5 이현지, "트윗의 내용과 기능 그리고 관여도가 트윗 신뢰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37-147, 2013

      6 김이환, "트위터의 정보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 11 (11): 49-65, 2012

      7 신소연,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형성하는 사회자본 유형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191-232, 2012

      8 홍삼열,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용자 접속요인 비교분석" 189-190, 2010

      9 곽해운, "트위터는 소셜 네트워크인가?: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전파의 관점" 언론정보연구소 48 (48): 87-113, 2011

      10 이현지, "트위터 계정 소유자에 대한 대학생의 정보원 신뢰도, 태도, 관계맺음의도, 그리고 트윗 신뢰도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265-308, 2013

      1 장덕진, "한국인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와 동학" 언론정보연구소 48 (48): 59-86, 2011

      2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11"

      3 이호규, "페이스북의 정체성에 대한 탐색적 시론: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대한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8 (28): 129-172, 2011

      4 양혜승, "페이스북은 우리의 관계를 윤택하게 하는가?: 페이스북 이용자의 사회심리학적 동기, 이용 행위, 사회적 지지 인식의 관계 고찰" 한국언론학회 56 (56): 270-297, 2012

      5 이현지, "트윗의 내용과 기능 그리고 관여도가 트윗 신뢰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37-147, 2013

      6 김이환, "트위터의 정보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 11 (11): 49-65, 2012

      7 신소연,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형성하는 사회자본 유형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191-232, 2012

      8 홍삼열,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용자 접속요인 비교분석" 189-190, 2010

      9 곽해운, "트위터는 소셜 네트워크인가?: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전파의 관점" 언론정보연구소 48 (48): 87-113, 2011

      10 이현지, "트위터 계정 소유자에 대한 대학생의 정보원 신뢰도, 태도, 관계맺음의도, 그리고 트윗 신뢰도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265-308, 2013

      11 임정수, "초기 UCC 생산과 소비의 탈집중 현상판도라TV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211-242, 2007

      12 김은미,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65-94, 2006

      13 강미은,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50) : 179-208, 2000

      14 장택원, "인터넷 상거래 사이트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제품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17) : 39-68, 2012

      15 이정우, "온라인 콘텐츠의 컨조인트 분석: Video on Demand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12 (12): 85-98, 2007

      16 조성태, "소셜미디어 활용증대에 대한 전략적 인터페이스 서비스 환경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4) : 282-291, 2012

      17 김봉섭, "소셜미디어 이용자 유형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및 활동 유형에 대한 차이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05-134, 2013

      18 김대호,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9 김위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미투데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0 (60): 150-171, 2012

      20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페이스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 : 71-105, 2011

      21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교 연구: 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터 간의 이용동기와 만족 비교"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5-32, 2013

      22 홍삼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자 접속요인 비교분석: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3 (13): 9-16, 2012

      23 박소영, "소셜TV 특성에 적합한 인터페이스 모델 개발 전략 방향도출" 161-164, 2013

      24 오은해, "소셜 미디어의 이용동기가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과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27 (27): 49-74, 2012

      25 조재수,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가 지속가능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5 (15): 238-272, 2013

      26 윤정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 유사성과 서비스 선호도에 관한 포지셔닝 분석" 한국방송학회 26 (26): 416-457, 2012

      27 박노일, "블로그 쓰기와 사회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정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282-302, 2008

      28 심홍진, "마이크로블로깅(micro-blogging)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4 (24): 192-234, 2010

      29 이수영, "마이크로 블로그 이용자의 능동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트위터와 미투데이 이용자의 생산적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73) : 171-200, 2011

      30 김은미, "뉴스 미디어로서의 트위터: 뉴스 의제와 뉴스에 대한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152-180, 2011

      31 Java, A., "Why we Twitter: Understanding microblogging usage and communities" ACM 2007

      32 Kwak, H., "What is Twitter, a social network or a news media?" ACM 2010

      33 Johnson, P. R., "Uses and gratifications of twitter: An examination of user motives and satisfaction of twitter use" 2009

      34 boyd, D., "Tweet, tweet, retweet: Conversational aspects of retweeting on twitter" IEEE 1-10, 2010

      35 Shklovski, I., "The Internet and social participation : Contrast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es" 10 (10): 1-35, 2004

      36 Ellison, N., "Spatially bounded online social networks and social capital" 36 : 1-37, 2006

      37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13): 210-230, 2007

      38 Rubin, A. M., "Ritualized versus instrumental television viewing" 34 (34): 67-77, 1984

      39 Papacharissi, Z., "Predictors of Internet use" 44 (44): 175-196, 2000

      40 Raacke, J., "MySpace and Facebook :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exploring friend-networking sites" 11 (11): 169-174, 2008

      41 Panek, E. T., "Mirror or megaphone? : How relationships between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site use differ on Facebook and Twitter" 29 : 2004-2012, 2013

      42 Wiesenhofer, H., "Is Twitter an Individual Mass Communication Medium?" 2010

      43 Nambisan, S., "Interactions in virtual customer environments : Implications for product support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21 (21): 42-62, 2007

      44 Marwick, A. E., "I tweet honestly, I tweet passionately : Twitter users, context collapse, and the imagined audience" 13 (13): 114-133, 2011

      45 Zhao, D., "How and why people twitter: The role that micro-blogging plays in informal communication at work" 2009

      46 Tagrmeier, C., "Facebook vs. Twitter : Battle of the social network stars" 30 (30): 6-10, 2010

      47 Kwon, O., "An empirical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network service use" 26 (26): 254-263, 2010

      48 Hughes, D. J., "A tale of two sites : Twitter vs. Facebook and the personality predictors of social media usage" 28 (28): 561-569, 2012

      49 Lampe, C., "A Face(book) in the crowd: Social searching vs. social browsing" ACM Press 167-17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Cybercommunication ->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 2.4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17 2.83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