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시 거주공간분화의 시대사적 함의 = Historical Implicat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in Busa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421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부산시를 대상으로 1900년대 초(구한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거주지역의 불평등한 현상을 거주분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공간적으로 분석한다. 부산은 1900년대 초 조선 전통사회의 성격을 이어받아 신분사회의 계층질서에 의한 거주선택의 제한으로 불평등한 거주공간이 형성되었다. 이후 일제에 의한 신시가지의 형성으로 기존의 한국인 거주지와 분리되는 현상을 경험하였으며 일본인과 한국인, 그리고 중국인 거주지역으로 구분되는 민족별 분화현상도 나타났다.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 급속하게 인구가 증가함으로써 새로운 빈민거주지역이 등장하였고 이는 이후에 전개될 거주지 분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빈민지역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실시한 정책이주는 제도상의 결점으로 인하여 큰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1990년 이후 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주택선택에 영향을 주어 주택계층에 의한 거주지역분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중간주택계층보다는 상ㆍ하위 주택계층이 거주공간의 불평등한 분포에 큰 영향을 주었다. 맥락적이고 시계열적인 접근방법을 시도하여 거주공간의 사회공간적 불평등에 관한 인과성을 파악하려고 시도한 본 연구는 미래에 전개될 거주공간패턴을 예측하고 다른 도시들의 거주공간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부산시를 대상으로 1900년대 초(구한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거주지역의 불평등한 현상을 거주분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공간적으로 분석한다. 부산은 1900년대 초 조선 전통...

      본 논문은 부산시를 대상으로 1900년대 초(구한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거주지역의 불평등한 현상을 거주분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공간적으로 분석한다. 부산은 1900년대 초 조선 전통사회의 성격을 이어받아 신분사회의 계층질서에 의한 거주선택의 제한으로 불평등한 거주공간이 형성되었다. 이후 일제에 의한 신시가지의 형성으로 기존의 한국인 거주지와 분리되는 현상을 경험하였으며 일본인과 한국인, 그리고 중국인 거주지역으로 구분되는 민족별 분화현상도 나타났다.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 급속하게 인구가 증가함으로써 새로운 빈민거주지역이 등장하였고 이는 이후에 전개될 거주지 분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빈민지역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실시한 정책이주는 제도상의 결점으로 인하여 큰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1990년 이후 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주택선택에 영향을 주어 주택계층에 의한 거주지역분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중간주택계층보다는 상ㆍ하위 주택계층이 거주공간의 불평등한 분포에 큰 영향을 주었다. 맥락적이고 시계열적인 접근방법을 시도하여 거주공간의 사회공간적 불평등에 관한 인과성을 파악하려고 시도한 본 연구는 미래에 전개될 거주공간패턴을 예측하고 다른 도시들의 거주공간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offers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in Busan, Korea. It first reviews the history of residence from the early 1900s to the present and the transition of residential boundary of the City of Busan. It then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important factors in it. The social class of pre-industrial society led the inequality of residential areas around the Eubchee. The existed Korean residential areas were separated by newly built-up residential area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and Korean War, rapid population growth made considerable slums across the City of Busan. These slums were an important factor to segregate residential areas from prosperous areas ever afterward. The socio-economic status has related to residential segreg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differential housing classes since 1990s. The historial analysis of these periods will offer an insight into how the dominant factors lead residential segregation in a specific period by promoting a more socio-economically integrated society.
      번역하기

      This paper offers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in Busan, Korea. It first reviews the history of residence from the early 1900s to the present and the transition of residential boundary of the City of Busan...

      This paper offers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in Busan, Korea. It first reviews the history of residence from the early 1900s to the present and the transition of residential boundary of the City of Busan. It then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important factors in it. The social class of pre-industrial society led the inequality of residential areas around the Eubchee. The existed Korean residential areas were separated by newly built-up residential area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and Korean War, rapid population growth made considerable slums across the City of Busan. These slums were an important factor to segregate residential areas from prosperous areas ever afterward. The socio-economic status has related to residential segreg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differential housing classes since 1990s. The historial analysis of these periods will offer an insight into how the dominant factors lead residential segregation in a specific period by promoting a more socio-economically integrated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후기 촌락문서의 생산과 관리" 28 : 47-57, 2006

      2 "조선후기 읍치와 그 거주민 구성에 관한 일고찰" 3 : 345-365, 1998

      3 "조선후기 읍치와 그 거주민 구성에 관한 일고찰" 3 : 345-365, 1998

      4 "조선후기 읍치 사회의 구조와 제의" 147 : 47-94, 1995

      5 "조선후기 동래의 향반사회와 무청" 95-148, 1993

      6 "조선후기 동래의 지배엘리뜨와 이에 관한 고문서 자료" 148-189, 1993

      7 "조선시대향촌사회사" 한길사 8 : 1998

      8 "조선시대 읍치의 영역성에 관한 일고찰" 39 (39): 95-120, 2005

      9 "조선시대 거주의 사회적 문제" 1999

      10 "조선-일제강점기 동래읍성 경관변화 연구" 37 (37): 317-336, 2002

      1 "조선후기 촌락문서의 생산과 관리" 28 : 47-57, 2006

      2 "조선후기 읍치와 그 거주민 구성에 관한 일고찰" 3 : 345-365, 1998

      3 "조선후기 읍치와 그 거주민 구성에 관한 일고찰" 3 : 345-365, 1998

      4 "조선후기 읍치 사회의 구조와 제의" 147 : 47-94, 1995

      5 "조선후기 동래의 향반사회와 무청" 95-148, 1993

      6 "조선후기 동래의 지배엘리뜨와 이에 관한 고문서 자료" 148-189, 1993

      7 "조선시대향촌사회사" 한길사 8 : 1998

      8 "조선시대 읍치의 영역성에 관한 일고찰" 39 (39): 95-120, 2005

      9 "조선시대 거주의 사회적 문제" 1999

      10 "조선-일제강점기 동래읍성 경관변화 연구" 37 (37): 317-336, 2002

      11 "일제하(1920~30년대 초) 도시거주문제와 거주권 확보운동" 2000

      12 "일제시대의 도시형성과 그 특징" 43-53, 1967

      13 "일제시기 부산지역 일본인사회의 인구와 사회계층구조" 5 : 43-73, 2004

      14 "일제강점기 부산의 행정조직과 일제의 통치구조" 15 : 3-99, 1998

      15 "일제강점기 부산의 도시개발과 그 성격" 15 : 269-309, 1998

      16 "인천시의 거주지역분화와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 15 : 44-71, 1985

      17 "인자생태분석에 의한 거주지역구조의 변화 연구 현대사회과학연구" 301-341, 1992

      18 "아파트선택가구의 사회ㆍ경제 및 주거특성에 관한 연구" 16 (16): 5-32, 1998

      19 "세종실록지리지의 성씨조의 검토" 6 : 441-471, 1985

      20 "서울의 주택계층과 거주지역 연구" 265-285, 1991

      21 "서울시의 직업별 거주지 분리현상에 관한 연구" 32-70, 1989

      22 "서울시의 시회계층별 거주지분화형태와 사회적 함의" 267-273, 1996

      23 "서울시 계층별 거주지역 분포의 역사적 변천" 백산서당 2004

      24 "부산지명총람" 부산광역시 1997

      25 "부산의 도시성장과정과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1987

      26 "부산시 주택유형 변화에 관한 연구" 1 : 48-56, 2002

      27 "부산시 도시성장과정에서 본 주거지 특성에 관한 연구" 16 (16): 109-118, 2000

      28 "부산시 도시거주지의 변천과정 및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2001

      29 "부산근대도시형성사연구" 연문출판사 1973

      30 "부산개항의 연구" 7-101, 1963

      31 "부산개항의 연구" 7-159, 1964

      32 "부산개항의 연구" 7-235, 1965

      33 "부산 행정구역 지명의 변천사" 29 : 329-378, 2007

      34 "동래부 및 왜관의 행정소고" 2 : 11-75, 1963

      35 "대구 거주입지의 변화패턴과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6 (6): 63-82, 2000

      36 "가호안분석을 통해 본 개화기 경상남도의 가옥형태와 구조" 39 (39): 297-320, 2004

      37 "가구주의 사회ㆍ경제계층별 거주지 분화" 4 : 13-27, 1996

      38 "1920-1930년대 부산지역 빈민의 추이와 생활" 15 : 401-454, 1998

      39 "1910년대 일제의 지배논리와 지식인층의 인식" 46 : 183-231,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