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의 결과 한반도의 허리에 해당하는 DMZ 지역은 반세기 이상 인간의 관심에서 잊혀진 공간이었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적으로 DMZ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오늘날 DMZ를 대상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42192
2007
Korean
비무장지대 ; 군사분계선 ; 북방한계선 ; 한강하구중립지역 ; 한국전쟁 ; DeMilitarized Zone ; DMZ ; Military Demarcation Line ; MDL ; Northern Limit Line ; NLL ; Han River estuary ; The Korean War
KCI등재
학술저널
454-460(7쪽)
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전쟁의 결과 한반도의 허리에 해당하는 DMZ 지역은 반세기 이상 인간의 관심에서 잊혀진 공간이었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적으로 DMZ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오늘날 DMZ를 대상으로 ...
한국전쟁의 결과 한반도의 허리에 해당하는 DMZ 지역은 반세기 이상 인간의 관심에서 잊혀진 공간이었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적으로 DMZ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오늘날 DMZ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점차 활발해 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연구의 대상인 DMZ의 공간적 범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약하다. 그마저도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군사분계선과 DMZ, 한강하구 중립지역, 그리고 NLL에 대한 기술에 있어서 공간적인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결과, 동해안 고성의 명호리에서 서쪽의 임진강 하구에 이르는 군사분계선의 길이는 약 238km(148마일)이고, 군사분계선을 따라 설정되어 있는 DMZ의 면적은 약 903.8㎢로 측정되었다. 이는 현재 ``155마일 휴전선`` 등과 같이 남북을 양분하는 공간을 지칭하는 용어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War resulted in the fact that Demilitarized Zone (DMZ) on the neck of Korean peninsular was totally forgotten by people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But recently, as the concern in this DMZ has been rising inside and outside of Korea, the rese...
Korean War resulted in the fact that Demilitarized Zone (DMZ) on the neck of Korean peninsular was totally forgotten by people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But recently, as the concern in this DMZ has been rising inside and outside of Korea, the researches on this subject have been gradually quickening. However, the practical studies about spatial extent of DMZ are very feeble. Even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shows that the most of researches had mistakes in the spatial description of MDL and DMZ, neutral territory of Han River estuary, and NLL. In this study the length of MDL, stretching till the estuary of western Lim-Jin River in Myung-Ho Ri of Goseong region on East Coast, was measured to be about 238km (148miles); the area of corresponding DMZ was proved to be approximately 903.8㎢ (907.3㎢ in the previous studies). Such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decide the terms for calling the space dividing North and South Korea, similarly to "155-mile truce line".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24-, 2000
2 "한국 휴전선에 관한 정치지리학적 연구" 1-11, 1972
3 "한국 비무장지대의 식물생태" 예문당 2000
4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문" 1953
5 "자연보전 차원에서 본 비무장지대 습지생태계 본전 및 관리를 중심으로" 2000
6 "비무장지대(민통선지역) 생태보전과 지속가능 개발 방안 연구"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
7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조사결과 종합 보고서" 환경부 2003
8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산림생태계 조사 종합 보고서"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5-2000, 2000
9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 자연환경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10 "북방한계선에 관한 우리의 입장" 오성기획인쇄사 2002
1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24-, 2000
2 "한국 휴전선에 관한 정치지리학적 연구" 1-11, 1972
3 "한국 비무장지대의 식물생태" 예문당 2000
4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문" 1953
5 "자연보전 차원에서 본 비무장지대 습지생태계 본전 및 관리를 중심으로" 2000
6 "비무장지대(민통선지역) 생태보전과 지속가능 개발 방안 연구"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
7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조사결과 종합 보고서" 환경부 2003
8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산림생태계 조사 종합 보고서"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5-2000, 2000
9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 자연환경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10 "북방한계선에 관한 우리의 입장" 오성기획인쇄사 2002
11 "남북한간 접경지역의 효율적인 교통망 구축을 위한 중앙정부와 자치단체의 역할정립 방안" 교통개발연구원 2002
12 "남북한 평화정착을 위한 비무장지대 활용방안" 국토연구원 5-, 2004
13 "남북접경지역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남북간 법적 협력방안" 통일연구원 104-, 2004
14 "남북교류협력 증진을 위한 접경지역 이용방안" 국토연구원 41-42, 2000
15 "국토지리정보원, http://www.ngi.go.kr"
16 "구글 어스, http://earth.google.com"
17 "경의동해선 연결과 접경지역 평화벨트 구축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8-, 2003
18 "DMZ 일원의 환경보전 기본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04-, 2003
19 "1:50,000 북한지도" 199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94 | 1.203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