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산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재원구조와 활동유형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Determinants of Municipal Cultural Policy Budgets: The Role of Budget Structure and Cultural Activity 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0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increased public attention to cultural policy, scholarly interest in budget allocations for cultural policy remains low. As an attempt to address this dearth in extant literatu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budget allocation for municipal cultural policies empirically, focusing in particular on budget structure and culture activity types that the previous literature has not considered. In pursuing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n exploratory approach based upon ArcGIS mapping techniques was used as well as a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2009 cultural budget data and various municipal statistics collected from 230 local governments from around the nation. The local government is the unit of analysis used in this study. Findings suggest that size of cultural budget in local governments vary according to budget structure and type of cultural activity. Moreover, there is a distinct spatial variation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other region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elements affecting the cultural budget differ according to budget structure and type of cultural activity. As such,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more micro-level analysis, focusing on budget structure and type of cultural activity, is needed.
      번역하기

      Despite increased public attention to cultural policy, scholarly interest in budget allocations for cultural policy remains low. As an attempt to address this dearth in extant literatu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

      Despite increased public attention to cultural policy, scholarly interest in budget allocations for cultural policy remains low. As an attempt to address this dearth in extant literatu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budget allocation for municipal cultural policies empirically, focusing in particular on budget structure and culture activity types that the previous literature has not considered. In pursuing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n exploratory approach based upon ArcGIS mapping techniques was used as well as a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2009 cultural budget data and various municipal statistics collected from 230 local governments from around the nation. The local government is the unit of analysis used in this study. Findings suggest that size of cultural budget in local governments vary according to budget structure and type of cultural activity. Moreover, there is a distinct spatial variation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other region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elements affecting the cultural budget differ according to budget structure and type of cultural activity. As such,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more micro-level analysis, focusing on budget structure and type of cultural activity, is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문화정책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대하고 있지만 원활한 정책수행을 위해서 필수적인 문화예산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낮은 형편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산의 결정요인을 다룬 선행연구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예산의 재원구조와 문화 활동 유형에 초점을 맞추어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산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 230개 기초자치단체를 분석단위로 2009년 문화예산자료와 다양한 시군구단위 자료들을 이용하여 ArcGIS의 지도그리기를 통한 탐색적 접근과 회귀분석모형을 통한 실증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자치단체 문화예산의 규모가 예산 재원구조와 문화 활동 유형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수도권 지역과 지방간의 공간적 편차가 두드러졌다. 또한 문화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도 역시 예산 재원구조 및 문화 활동 유형에 따라 상이한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문화예산의 분석에 있어서 재원구조와 문화 활동 유형에 입각한 미시적 분석이 요구될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문화정책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대하고 있지만 원활한 정책수행을 위해서 필수적인 문화예산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낮은 형편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산의 결정요인을 다룬 선행연구...

      최근 문화정책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대하고 있지만 원활한 정책수행을 위해서 필수적인 문화예산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낮은 형편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산의 결정요인을 다룬 선행연구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예산의 재원구조와 문화 활동 유형에 초점을 맞추어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산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 230개 기초자치단체를 분석단위로 2009년 문화예산자료와 다양한 시군구단위 자료들을 이용하여 ArcGIS의 지도그리기를 통한 탐색적 접근과 회귀분석모형을 통한 실증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자치단체 문화예산의 규모가 예산 재원구조와 문화 활동 유형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수도권 지역과 지방간의 공간적 편차가 두드러졌다. 또한 문화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도 역시 예산 재원구조 및 문화 활동 유형에 따라 상이한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문화예산의 분석에 있어서 재원구조와 문화 활동 유형에 입각한 미시적 분석이 요구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량, "한국 문화정책의 변화 추이와 내용에 관한 분석: 문화예산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2004

      2 이병량, "한국 문화정책의 논리에 관한 비판적 연구 : 평가준거의 구성과 시론적 평가" 한국행정연구소 44 (44): 25-50, 2006

      3 원도연, "참여정부 문화정책의 의미와 차기 정부의 과제" 비판사회학회 (79) : 156-183, 2008

      4 김석태, "지방정부의 문화예산이 지방문화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 7 (7): 347-368, 2003

      5 윤주, "주요 외국의 문화예산 비교 연구Ⅱ"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8

      6 김세훈, "주요 외국의 문화예산 비교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3

      7 이병량, "문화도시는 문화에 돈을 쓰는가? :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215-240, 2011

      8 Schulze, Gunther G., "Voter preferences and public support for the performing arts" 102 (102): 129-147, 2000

      9 Lewis, Gregory B., "Understanding state spending on the arts: 1976-1999" 39 (39): 107-114, 1976

      10 Hansen, Trine, "The Willingness-to-Pay for the Royal Theatre in Copenhagen as a Public Good" 21 (21): 1-28, 1997

      1 이병량, "한국 문화정책의 변화 추이와 내용에 관한 분석: 문화예산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2004

      2 이병량, "한국 문화정책의 논리에 관한 비판적 연구 : 평가준거의 구성과 시론적 평가" 한국행정연구소 44 (44): 25-50, 2006

      3 원도연, "참여정부 문화정책의 의미와 차기 정부의 과제" 비판사회학회 (79) : 156-183, 2008

      4 김석태, "지방정부의 문화예산이 지방문화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 7 (7): 347-368, 2003

      5 윤주, "주요 외국의 문화예산 비교 연구Ⅱ"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8

      6 김세훈, "주요 외국의 문화예산 비교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3

      7 이병량, "문화도시는 문화에 돈을 쓰는가? :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215-240, 2011

      8 Schulze, Gunther G., "Voter preferences and public support for the performing arts" 102 (102): 129-147, 2000

      9 Lewis, Gregory B., "Understanding state spending on the arts: 1976-1999" 39 (39): 107-114, 1976

      10 Hansen, Trine, "The Willingness-to-Pay for the Royal Theatre in Copenhagen as a Public Good" 21 (21): 1-28, 1997

      11 Nogare, Chiara D., "The Political Economy of cultural spending: evidence from Italian cities" 35 (35): 203-231, 2011

      12 Werck, Kristien, "The Impact of “Central Places” on Spatial spending patterns: Evidence from Flemish local Governments cultural expenditures" 32 (32): 35-58, 2008

      13 Lundberg, Johan, "Spatial interaction model of spillovers from locally provided public services" 40 (40): 631-644, 2006

      14 UNESCO,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Statistics on Public financing of Cultural Activities"

      15 Schulze, Gunther G., "Public Orchestra funding in Germany-an empirical investigation" 22 (22): 227-247, 1998

      16 양혜원, "OECD 주요 국가의 문화예산 비교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11

      17 Noonan, Douglas S., "Fiscal pressures, institutional context, and constituents: A dynamic model of states’ arts agency appropriations" 31 (31): 293-310, 2007

      18 Getzner, Michael, "Determinants of public cultural expenditures: An exploratory time series analysis for Austria" 26 (26): 287-306, 2002

      19 Getzner, Michael, "Cultural policies and fiscal federalism" 4 (4): 21-5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