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5대 생활권별 정비사업구역내 거주민 주택유형선택 요인 분석 = The Householder’s Preference for Housing Type i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Area of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84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are blocking accessibility of an affordable housing, this paper analyzed dwell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and effect factors with two house type selection models using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There are 4 findings. The first thing is that the present house type of households living in a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area is almost a non-apartment type consisted of dasyedae, dagagu, row house, detached house to 90%. The second thing is that owner-occupiers and renters have different pattern when they select their house types. A half of owners live in a detached house, but jeonse renters live similarly in apartment, dasyedae, and detached house by 20~30%. The third thing is that effect factors of house type selection are an owned house, a householder’s age, a household’s income, a dwelling environment satisfaction variable, and these variables differ in degree among 5 large life zones and between owner-occupiers and renters. The final thing is that the largest effect factor of owner-occupiers is a household’s asset variable, on the other hand, that of renters is an owned house variable. The results support that householders selected house types based on their dwelling characteristics before th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but they can not select their house type after the projects, because the preset houses are demolished and only middle and large size apartments will replace all existing. Also, their accessibility to affordable housing based on their conditions may be blocked by the projects.
      번역하기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are blocking accessibility of an affordable housing, this paper analyzed dwell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and effect factors with two house type selection models using multiple...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are blocking accessibility of an affordable housing, this paper analyzed dwell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and effect factors with two house type selection models using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There are 4 findings. The first thing is that the present house type of households living in a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area is almost a non-apartment type consisted of dasyedae, dagagu, row house, detached house to 90%. The second thing is that owner-occupiers and renters have different pattern when they select their house types. A half of owners live in a detached house, but jeonse renters live similarly in apartment, dasyedae, and detached house by 20~30%. The third thing is that effect factors of house type selection are an owned house, a householder’s age, a household’s income, a dwelling environment satisfaction variable, and these variables differ in degree among 5 large life zones and between owner-occupiers and renters. The final thing is that the largest effect factor of owner-occupiers is a household’s asset variable, on the other hand, that of renters is an owned house variable. The results support that householders selected house types based on their dwelling characteristics before th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but they can not select their house type after the projects, because the preset houses are demolished and only middle and large size apartments will replace all existing. Also, their accessibility to affordable housing based on their conditions may be blocked by the pro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구특성이 주택유형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기위해 정비사업구역내 현거주민의 설문자료를 가지고 권역별, 점유형태별 그 영향요인을 다변량판별분석(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설문을 통한 거주특성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정비사업구역내 거주민 현재 거주주택유형은 대부분 비아파트이다. 공간적 분포에서도 보여 지듯이 동남1권(송파구, 강동구)과 서남2권(구로, 금천, 영등포구)을 제외한 서울 전 지역에서 비아파트 거주비율이 약 90%에 달한다. 이중 단독비율이 가장 높으며 연립, 다세대, 다가구는 고른 분포를 보인다. 둘째, 점유형태에 따라 즉, 자가, 전세, 월세에 따라 현재거주주택유형선택이 다르다는 것이다. 자가는 단독비율이 반을 차지하고 아파트와 연립이 비슷한 수준인데 반해, 전세 가구는 아파트, 다세대, 단독 거주비율이 20~30% 정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월세가구는 단독주택 거주비율이 가장 높고 다세대와 다가구 비율은 17%-18%정도로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 셋째, 현재 다양한 주택유형을 선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영향요인은 주택을 보유할수록, 가구주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을수록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다변량판별분석에서 알 수 있다. 하지만 각 영향요인들의 정도는 권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동북권은 가구주 연령, 주택보유, 가구소득, 주거만족도 순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북권은 주택보유>주거만족도>가구주연령>가구소득 순이고, 서남권은 주택보유>가구주연령>가구소득>주거만족도 순이며, 동남권은 주택보유>주거만족도>가구소득>가구주연령순으로 4개 권역 모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넷째, 소유자냐 세입자냐에 따라 주택유형선택요인이 다르다는 것이다. 즉, 소유자는 가구자산변수가 가장 큰 영향요인인데 반해 세입자는 주택보유유무변수가 가장 큰 영향요인이다. 소유자와 세입자 모두 주택면적변수를 제외하고는 주택유형선택 시 양의 영향을 미치는데 주택면적만 소유자일 경우 음의 영향을, 세입자일 경우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공간적 특성과 거주민의 점유 특성이 고려된 상태에서 현재 주택유형이 선택되었는데 정비사업 후 이러한 특성이 고려될 수 없는 여건으로 변경되므로 거주민의 주거선택권은 정비사업으로 차단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구특성이 주택유형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기위해 정비사업구역내 현거주민의 설문자료를 가지고 권역별, 점유형태별 그 영향요인을 다변량판별분석(multiple discrim...

      본 연구는 가구특성이 주택유형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기위해 정비사업구역내 현거주민의 설문자료를 가지고 권역별, 점유형태별 그 영향요인을 다변량판별분석(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설문을 통한 거주특성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정비사업구역내 거주민 현재 거주주택유형은 대부분 비아파트이다. 공간적 분포에서도 보여 지듯이 동남1권(송파구, 강동구)과 서남2권(구로, 금천, 영등포구)을 제외한 서울 전 지역에서 비아파트 거주비율이 약 90%에 달한다. 이중 단독비율이 가장 높으며 연립, 다세대, 다가구는 고른 분포를 보인다. 둘째, 점유형태에 따라 즉, 자가, 전세, 월세에 따라 현재거주주택유형선택이 다르다는 것이다. 자가는 단독비율이 반을 차지하고 아파트와 연립이 비슷한 수준인데 반해, 전세 가구는 아파트, 다세대, 단독 거주비율이 20~30% 정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월세가구는 단독주택 거주비율이 가장 높고 다세대와 다가구 비율은 17%-18%정도로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 셋째, 현재 다양한 주택유형을 선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영향요인은 주택을 보유할수록, 가구주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을수록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다변량판별분석에서 알 수 있다. 하지만 각 영향요인들의 정도는 권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동북권은 가구주 연령, 주택보유, 가구소득, 주거만족도 순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북권은 주택보유>주거만족도>가구주연령>가구소득 순이고, 서남권은 주택보유>가구주연령>가구소득>주거만족도 순이며, 동남권은 주택보유>주거만족도>가구소득>가구주연령순으로 4개 권역 모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넷째, 소유자냐 세입자냐에 따라 주택유형선택요인이 다르다는 것이다. 즉, 소유자는 가구자산변수가 가장 큰 영향요인인데 반해 세입자는 주택보유유무변수가 가장 큰 영향요인이다. 소유자와 세입자 모두 주택면적변수를 제외하고는 주택유형선택 시 양의 영향을 미치는데 주택면적만 소유자일 경우 음의 영향을, 세입자일 경우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공간적 특성과 거주민의 점유 특성이 고려된 상태에서 현재 주택유형이 선택되었는데 정비사업 후 이러한 특성이 고려될 수 없는 여건으로 변경되므로 거주민의 주거선택권은 정비사업으로 차단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진, "주택재개발구역내에 세입자가구의 임대주택 입주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69-82, 2006

      2 고덕균, "주택재개발 관리처분 권리유형에 따른 재입주 특성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39-158, 2004

      3 문태헌, "주택유형 선택요인 분석 및 선택확률에 관한 연구 -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87-98, 2008

      4 이진경, "정비사업 가구특성에 따른 재입주 선택 및 이주지역 선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57-67, 2010

      5 김수영, "다변량 판별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인공신경망 분석을 이용한 호텔 도산 예측" 한국관광학회 30 (30): 53-75, 2006

      6 김명섭, "공동주택 구매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57-67, 2009

      7 유완, "가구특성에 의한 주택선택방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7 (27): 1992

      8 김정수,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91-204, 2004

      9 최막중,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수요에 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6 (36): 2001

      10 이진경, "가구소득대비 부담가능주택 특성분석 - 서울시 5대 권역, 주택 유형, 주택 노후도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97-108, 2009

      1 남진, "주택재개발구역내에 세입자가구의 임대주택 입주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69-82, 2006

      2 고덕균, "주택재개발 관리처분 권리유형에 따른 재입주 특성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39-158, 2004

      3 문태헌, "주택유형 선택요인 분석 및 선택확률에 관한 연구 -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87-98, 2008

      4 이진경, "정비사업 가구특성에 따른 재입주 선택 및 이주지역 선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57-67, 2010

      5 김수영, "다변량 판별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인공신경망 분석을 이용한 호텔 도산 예측" 한국관광학회 30 (30): 53-75, 2006

      6 김명섭, "공동주택 구매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57-67, 2009

      7 유완, "가구특성에 의한 주택선택방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7 (27): 1992

      8 김정수,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91-204, 2004

      9 최막중,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수요에 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6 (36): 2001

      10 이진경, "가구소득대비 부담가능주택 특성분석 - 서울시 5대 권역, 주택 유형, 주택 노후도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97-108, 2009

      11 Lee Jin-Kyung, "Settlement-Preferenc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in Urban Renewal Area" Springer 6016 : 2010

      12 Fred C, "Logistic Regression: A Primer, Series: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Sage Publications Inc 2000

      13 이진경, "Examining Inequality in Housing Allocation and Housing Affordability: Evidence from Seoul in Korea" 한국주택학회 19 (19): 139-157, 2011

      14 최신애, "Analysis of relocation behavior of tenants in redevelopment area" 연세대학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감정평가연구 -> 부동산연구
      외국어명 : Korean Appraisal Review -> Korea Real Estate Review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6 1.1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