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Co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397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민첩성과 실제 교육 현장에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개선 방안 연구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의 1장에서는 한국어 교사 교육과 외국어 교사 교육에 관련된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언어 교사와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국어기본법 시행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의 한국어 교사 교육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기존의 한국어 교육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를 통해 현장 밀착형 한국어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교사 교육의 내용 등을 고려 사항으로 두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설계해 보았다. 5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고 후속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 대해 파악해 보았다는 것과 실제 교실 현장에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한국어 교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사 교육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민첩성과 실제 교육 현장에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 능력을 제고하기 위...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민첩성과 실제 교육 현장에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개선 방안 연구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의 1장에서는 한국어 교사 교육과 외국어 교사 교육에 관련된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언어 교사와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국어기본법 시행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의 한국어 교사 교육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기존의 한국어 교육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를 통해 현장 밀착형 한국어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교사 교육의 내용 등을 고려 사항으로 두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설계해 보았다. 5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고 후속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 대해 파악해 보았다는 것과 실제 교실 현장에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한국어 교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사 교육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KFL) courses in order to enhance its agility to proper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nd out of the country, and to develop teaching skills able to be flexibly applied in the real education environment.
      Chapter I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both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reign language teachers.
      Chapter II studies the basic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education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other language teachers. The study show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mprove their expertise.
      Chapter III examines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Basic Law of Korean Language. It also analyses the traditional curriculum used in the related departments at universities. The study shows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in the way that it can foster teachers who are able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flexibly respond to the different circumstances in the field.
      In Chapter IV,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chapter, the curriculum of KFL education courses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nd the education contents. Lastly, Chapter V summarizes the thesis and proposes subsequent research projects.
      This paper is useful in that it examines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s the curriculum able to foster teachers who are highly adaptable to the teaching fields. In the future, more studies on more detailed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KFL teachers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enhance their expertise and professionalis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KFL) courses in order to enhance its agility to proper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KFL) courses in order to enhance its agility to proper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nd out of the country, and to develop teaching skills able to be flexibly applied in the real education environment.
      Chapter I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both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reign language teachers.
      Chapter II studies the basic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education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other language teachers. The study show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mprove their expertise.
      Chapter III examines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Basic Law of Korean Language. It also analyses the traditional curriculum used in the related departments at universities. The study shows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in the way that it can foster teachers who are able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flexibly respond to the different circumstances in the field.
      In Chapter IV,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chapter, the curriculum of KFL education courses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nd the education contents. Lastly, Chapter V summarizes the thesis and proposes subsequent research projects.
      This paper is useful in that it examines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sents the curriculum able to foster teachers who are highly adaptable to the teaching fields. In the future, more studies on more detailed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KFL teachers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enhance their expertise and professiona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 연구 5
      • 1.3 연구 내용과 방법 7
      • 2. 이론적 배경 11
      • 1. 서 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 연구 5
      • 1.3 연구 내용과 방법 7
      • 2. 이론적 배경 11
      • 2.1 언어 교사 교육과정 11
      • 2.2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 15
      • 3.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의 실제 17
      • 3.1 한국어 교육 환경의 변화 17
      • 3.1.1 국어기본법 시행 이전의 한국어 교육 환경 18
      • 3.1.2 국어기본법 시행 이후의 한국어 교육 환경 23
      • 3.1.2.1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한국어 교육 환경 23
      • 3.1.2.2 2010년부터 현재까지의 한국어 교육 환경 29
      • 3.2 한국어 교육 관련 학과 교육과정 분석 36
      • 3.2.1 각 대학의 학과 명칭에 따른 중점교육 비중 40
      • 3.2.2 국어기본법 기준에 의한 영역별 분석 43
      • 3.2.2.1 한국어학 영역 47
      • 3.2.2.2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영역 49
      • 3.2.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영역 50
      • 3.2.2.4 한국 문화 영역 52
      • 3.2.2.5 한국어 교육 참관 및 실습 영역 54
      • 3.3 분석 결과 및 논의 55
      • 4. 한국어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개선 방안 58
      • 4.1 교육과정의 체계 58
      • 4.2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61
      • 4.3 교육과정의 교과 설정 62
      • 5. 결론 및 제언 73
      • 참고문헌 76
      • 영문초록 84
      • 국문초록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