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 분석 = An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Small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0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절벽 시대의 도래에 맞춰 농어촌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체육과 교육과정을 드러내고 분석한 후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절벽 시대의 도래에 맞춰 농어촌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체육과 교육과정을 드러내고 분석한 후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문헌 분석, 전국 5개 권역 초등학교 방문을 통한 교사와 학생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에 따라 이루어졌고, 삼각 검증법,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서적 수준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을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에 적용 시 예상되는 난점이 드러났는데, 이는 시설 및 인적자원 접근의 한계, 적은 학생 수, 나 홀로 교사로 인한 난점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실천적 수준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을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에 적용 시 특징이 드러났는데, 1) 교사의 교수 측면에서‘친밀하고 개인적인 소통’,‘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식 체육수업’,‘개별적인 체육 돌봄’, 2) 학생의 학습 측면에서‘소인수 학급으로 인한 제약’,‘경쟁 및 협력 기회의 부족’,‘학교 밖 체육수업 활성화’가 주요 특징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개선 측면에서 지역 환경, 학생, 교사 요인으로 구분하여 논의하고,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개선 측면에서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년군별 유의점으로 구분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physical education (PE) curriculum of sm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analyze them, and discuss ways to improve them. To this end,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n the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physical education (PE) curriculum of sm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analyze them, and discuss ways to improve them. To this end,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n the 2015 revised PE curriculum documents,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visits to elementary schools in five regions nationwid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inductive thematic analysis. Triangulation, member checks, and peer debriefing were conducted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of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cted difficulties in applying PE curriculum to rural areas at the document level were revealed, which were categorized as the limitations of access to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a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the difficulty caused by teachers alone. Second, the characteristics in applying PE curriculum to rural areas at the practical level was divided into two aspects. 1) In terms of teacher’s teaching, ‘intimate and personal communication’, ‘customized PE clas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individual PE care’ were found. 2) In terms of student’s learning, ‘restrictions caused by small-scale classes’, ‘lack of opportunities for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out-of-school PE classes’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discussion was divided into local environment, students, and teacher factors in terms of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grade group were presented i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현,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을 바라보는 수영지도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465-483, 2019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2]"

      3 최흥섭, "초등 예비교사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서의 체육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습득 과정 탐구" 한국초등체육학회 23 (23): 71-87, 2018

      4 통계청,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

      5 이동성, "작은 학교 큰 도전 : 지사초 사람들의 학교혁신 이야기" 도서출판 기역 2018

      6 배종희, "예비교사의 눈으로 작은 학교 체육수업 바라보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607-626, 2014

      7 이혁규,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219-248, 2020

      8 이동현,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따른 학생 및 주민의식에 관한 사례연구" 13 : 111-128, 2014

      9 정현철, "소규모학교 체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과교육연구소 18 (18): 1281-1304, 2014

      10 정현철, "소규모학교 스포츠클럽 리그 운영 경험" 11 : 68-71, 2014

      1 김보현,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을 바라보는 수영지도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465-483, 2019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2]"

      3 최흥섭, "초등 예비교사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서의 체육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습득 과정 탐구" 한국초등체육학회 23 (23): 71-87, 2018

      4 통계청,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

      5 이동성, "작은 학교 큰 도전 : 지사초 사람들의 학교혁신 이야기" 도서출판 기역 2018

      6 배종희, "예비교사의 눈으로 작은 학교 체육수업 바라보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607-626, 2014

      7 이혁규,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219-248, 2020

      8 이동현,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따른 학생 및 주민의식에 관한 사례연구" 13 : 111-128, 2014

      9 정현철, "소규모학교 체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과교육연구소 18 (18): 1281-1304, 2014

      10 정현철, "소규모학교 스포츠클럽 리그 운영 경험" 11 : 68-71, 2014

      11 홍상완, "소규모 학교의 체육수업 장단점과 경쟁 활동 수업을 위한 대책" 대구교육대학교 30 (30): 47-67, 2014

      12 황호택, "소규모 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역할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 23 (23): 115-133, 2017

      13 이덕영, "소규모 초등학교의 운동회 프로그램 실태 및 개선방향 탐색" 11 (11): 97-108, 2005

      14 한준상, "소규모 초등학교에서의 간이수영장을 이용한 생존수영교육 실행경험"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129-145, 2018

      15 이호철,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의 신체활동가치 함양을 위한 통합 체육교육과정의 실행 경험" 한국초등체육학회 20 (20): 105-122, 2015

      16 정우식, "소규모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육적 삶과 체육교육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77-95, 2013

      17 이호철, "소규모 초등학교 체육수업에 담긴 스포츠맨십의 현상학적 고찰" 한국체육철학회 23 (23): 93-115, 2015

      18 정우식, "소규모 초등학교 체육교육에 대한 소고" 10 : 8-15, 2013

      19 정우식, "농촌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들의 신체활동 일상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55-70, 2014

      20 이동훈,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과 체육 문화" 한국초등체육학회 15 (15): 81-92, 2009

      21 최흥섭, "농어촌 초등학생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예체능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30 (30): 89-111, 2014

      22 이미숙,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학습 경험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23 최준렬,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 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8

      24 김영식, "교육실습생들이 바라본 소규모 학교의 체육 활동"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6 (6): 61-83, 2012

      25 정민수, "교사학습공동체의 협력적 멘토링을 위한 핵심역량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175-202, 2020

      26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2012

      27 Lincoln, Y. G.,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28 경상북도교육청, "2019∼2022 경북교육발전계획" 2018

      29 조기희,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실태와 지원 방안:초등 3~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7 (27): 17-39,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5 1.7 1.91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