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초등사회과 교과서 간 내용 비교 연구 : 역사 인물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betwee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 Focused on the Historical Charac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302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22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게 될 초등사회과 검정 도서의 발행을 앞두고 검정제로의 전환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여, 자율성과 다양성이 보장된 초등사회과 교과서 개발에 시...

      이 연구는 2022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게 될 초등사회과 검정 도서의 발행을 앞두고 검정제로의 전환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여, 자율성과 다양성이 보장된 초등사회과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미국 교과서 4종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분석 범위는 우리나라에서 교과서 관련 논쟁이 뜨거운 역사 영역을 범위로 선정하였고, 그 중에서 특히 5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미국 혁명 이전의 역사 인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교과서의 미국 혁명 이전의 역사 영역에서 제시된 인물은 총 100명이었으며, 이 중 4종 교과서에 모두 공통적으로 제시된 인물은 16명이었다. 단원 구성에 따라 연대기적 구성을 적극 반영한 교과서도 있었고,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교과서도 있었다. 인물에 대한 학습은 단원 도입, 코너 활용, 본문 서술 등 다양한 방법이 있었으며, 출판사에 따라 제시하는 내용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인물도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검정 교과서에서도 내용의 왜곡이나 오류가 없다면 인물의 선정, 단원의 구성, 인물에 대한 평가나 업적 등에 대해 집필진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다양한 교과서가 출판될 수 있도록 검정 기준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four kinds of American textbook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guarantee autonomy and diversity by grasping the meaning of the transition to the test system ah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four kinds of American textbook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guarantee autonomy and diversity by grasping the meaning of the transition to the test system ahead of the publication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Authorized books to be used in the school field from 2022. The scope of analysis was selected as the hottest history area in Korea, and especially the historical figures before the American Revolution presented in the fifth grade textbook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100 people in the history area before the American Revolution in American textbooks, of which 16 were presented in common in all four textbooks. There were textbooks that actively reflected chronolog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unit, and there were textbooks that operated flexibly. There were various methods such as introduction of unit, corner use, text description and there were some people who showed great difference in contents presented by publisher. Therefore, if there is no distortion or error in the contents in the Korean textbooks, the criteria for testing should be changed so that various textbooks can be published by guaranteeing the autonomy of the writers about the selection of characters, the composition of the unit, the evaluation of characters, and achieve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한종, "한국사 교과서 검정 파동의 원인과 과제" 한국역사연구회 (92) : 21-49, 2014

      2 교육부, "초등학교 교과용도서 구분 수정 고시"

      3 교육부, "초등학교 5-6학년군 교과용 도서(국어, 도덕, 사회)편찬상의 유의점" 교육부 2016

      4 김태우, "역사교과서 이념논쟁과 학문의 위기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의 현대사 서술 비교" 한국역사연구회 (92) : 123-161, 2014

      5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 백서" 교육부 2018

      6 최상훈, "역사교과서 검정 준거자료의 구속력과 집필자의 자율성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서양 근대 단원’을 중심으로-" 역사와교육학회 (28) : 7-57, 2019

      7 김명정, "사회과 검정 교과서의 내용 오류 문제 - 검정 심사 단계의 오류 최소화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1-14, 2015

      8 뉴시스, "보수성향 시민단체, 금성출판사 역사교과서 수정 촉구"

      9 강선주,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 내용 분석-텍사스,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세권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137-166, 2004

      10 노희방, "미국의 교과서 채택 제도-캘리포니아 주 사회과 교과서 채택을 중심으로-" 47 : 37-44, 2006

      1 김한종, "한국사 교과서 검정 파동의 원인과 과제" 한국역사연구회 (92) : 21-49, 2014

      2 교육부, "초등학교 교과용도서 구분 수정 고시"

      3 교육부, "초등학교 5-6학년군 교과용 도서(국어, 도덕, 사회)편찬상의 유의점" 교육부 2016

      4 김태우, "역사교과서 이념논쟁과 학문의 위기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의 현대사 서술 비교" 한국역사연구회 (92) : 123-161, 2014

      5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 백서" 교육부 2018

      6 최상훈, "역사교과서 검정 준거자료의 구속력과 집필자의 자율성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서양 근대 단원’을 중심으로-" 역사와교육학회 (28) : 7-57, 2019

      7 김명정, "사회과 검정 교과서의 내용 오류 문제 - 검정 심사 단계의 오류 최소화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1-14, 2015

      8 뉴시스, "보수성향 시민단체, 금성출판사 역사교과서 수정 촉구"

      9 강선주,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 내용 분석-텍사스,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세권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137-166, 2004

      10 노희방, "미국의 교과서 채택 제도-캘리포니아 주 사회과 교과서 채택을 중심으로-" 47 : 37-44, 2006

      11 김재춘, "미국의 교과서 인정 제도 분석: 캘리포니아 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2 (22): 175-198, 2012

      12 이춘식, "미국 텍사스 주의 교과서 제도" 44 : 53-57, 2005

      13 연합뉴스, "금성출판사 집필자 “교과서 수정압력 중단하라”"

      14 김정인, "국정 『국사』 교과서와 검정 『한국사』 교과서의 현대사 체계와 내용 분석" 한국역사연구회 (92) : 81-121, 2014

      15 이한나,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으로 본 국정도서로서 교과용도서의 역할과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223-247, 2019

      16 송요원, "교과서 제도의 법적 근거와 입법 개정 제안" 46 : 58-66, 2005

      17 이문학, "교과서 정책 국제 비교 및 개선 방안 연구 : 가격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42 (42): 111-163, 2016

      18 교육부, "‘초등학교 교과서, 2022년 국정에서 검정으로 전환’ 보도 관련"

      19 한국일보, "[이슈논쟁] 교학사 역사교과서 논란"

      20 Viola, H., "Social Studies:「United States History」" Houghton Mifflin Company 2008

      21 Berson, M., "Social Studies:「The United States」" Harcourt, Inc 2007

      22 Banks, J., "Social Studies:「Our Nation」" Macmillan/McGraw-hill 2005

      23 Bennett, L., "My world Social Studies:「Building Our Country」" Pearson 2013

      24 성태제, "2020 한국 초⋅중등교육의 향방과 과제 :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학지사 2013

      25 허영훈, "2015 개정 초등 사회과(역사 영역) 교육과정 분석 및 교과서 개발 방향 탐색"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123-139, 2016

      26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27 허수미,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특성간의 정합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09-12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