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유색미 첨가가 연잎쌈밥용 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 Cooking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of YenipSambab with Pigmented R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80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nipsambab prepared using various amounts of red, green, and black pigmented rice (0, 10, 20, and 30% added) were investigated. The pH of the cooked rice of yenipsambab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s of pigmented rice increased. The Hunter`s color L value decreased, but the b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pigmented rice. Moreover, the addition of 10-30% pigmented rice resulted in increased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compared to the control. Finall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and acceptance test showed that the cooked rice containing 10-20% pigmented rice had the highest scores. This study will help in the development of new rice products that are good for the health.
      번역하기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nipsambab prepared using various amounts of red, green, and black pigmented rice (0, 10, 20, and 30% added) were investigated. The pH of the cooked rice of yenipsambab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s of pigmen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nipsambab prepared using various amounts of red, green, and black pigmented rice (0, 10, 20, and 30% added) were investigated. The pH of the cooked rice of yenipsambab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s of pigmented rice increased. The Hunter`s color L value decreased, but the b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pigmented rice. Moreover, the addition of 10-30% pigmented rice resulted in increased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compared to the control. Finall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and acceptance test showed that the cooked rice containing 10-20% pigmented rice had the highest scores. This study will help in the development of new rice products that are good for the healt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란,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30-936, 2004

      2 조희숙, "파래 분말을 이용한 국수의 이화학적 물성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567-574, 2010

      3 강혜인,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조다당체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092-1097, 2004

      4 김경희, "유치원 간식 급식에 활용하기 위한 새우 매작과의 품질 특성 평가"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401-408, 2009

      5 김은옥, "유색미의 화학적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118-124, 2008

      6 신은하, "유색미의 첨가량과 발효방법에 따른 증편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380-386, 2004

      7 이유석, "유색미를 첨가하여 제조한 유과의 품질"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8 (18): 529-533, 2002

      8 박민경, "유색미, 현미 및 일반미 절편의 품질 특성 비교"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8 (18): 471-475, 2002

      9 강미영, "유색미 색소체 및 페놀성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 항변이원성 간의 상관관계" 한국식품과학회 35 (35): 968-974, 2003

      10 김주희, "유색미 미강 추출물 첨가가 밥의 취반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2 (52): 60-68, 2007

      1 김성란,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30-936, 2004

      2 조희숙, "파래 분말을 이용한 국수의 이화학적 물성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567-574, 2010

      3 강혜인,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조다당체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092-1097, 2004

      4 김경희, "유치원 간식 급식에 활용하기 위한 새우 매작과의 품질 특성 평가"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401-408, 2009

      5 김은옥, "유색미의 화학적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118-124, 2008

      6 신은하, "유색미의 첨가량과 발효방법에 따른 증편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380-386, 2004

      7 이유석, "유색미를 첨가하여 제조한 유과의 품질"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8 (18): 529-533, 2002

      8 박민경, "유색미, 현미 및 일반미 절편의 품질 특성 비교"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8 (18): 471-475, 2002

      9 강미영, "유색미 색소체 및 페놀성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 항변이원성 간의 상관관계" 한국식품과학회 35 (35): 968-974, 2003

      10 김주희, "유색미 미강 추출물 첨가가 밥의 취반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2 (52): 60-68, 2007

      11 강미영, "유색미 겨에 함유된 항산화 효과 관련 기능성 성분의 검정"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233-239, 2005

      12 이기영,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82-186, 2006

      13 장규섭, "식미 개선제 첨가에 따른 쌀밥의 품질 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2 (12): 1-7, 2008

      14 김경희, "새우 분말을 첨가한 만두피의 품질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4 (24): 206-211, 2009

      15 김애정, "뽕잎추출액코팅농도에 따른 뽕잎쌀밥의 품질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 (19): 571-580, 2003

      16 김영찬, "민들레추출액농도에 따른 민들레 코팅쌀밥의 품질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1 (21): 117-123, 2005

      17 이유석, "감마선 조사가 쌀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582-586, 2004

      18 Cho YY, "Yak-sun eating with five colors" Kyomoonsa 3-36, 2005

      19 Kim YD, "Varietal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colored rice" 30 : 305-308, 1998

      20 Cho MH, "Thermal stability of the major color component, cyanidin 3-glucoside,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in aqueous solution" 39 : 248-248, 1996

      21 Reddy KR, "The fine structure of rice starch amylopectin and its relation to the texture of cooked rice" 22 : 267-275, 1993

      22 Kim MS, "Saccharific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made of pigmented rice" 31 : 672-677, 1999

      23 Ha TY, "Rice research group, korean food research institute, chemical composition of pigmented rice varietics" 31 : 336-338, 1999

      24 Kim JD, "Rice cake production using black rice and medium grain brown rice" 10 : 315-318, 2001

      25 Moon BK,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pared with pigmented rice" 24 : 29-37, 2008

      26 Lee WJ,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of noodles from brown rice flour and colored rice flour" 8 : 267-278, 2002

      27 Martin M, "Proteins in rice grains influence cooking properties" 36 : 285-294, 2002

      28 Teo CH, "On the roles of protein and starch in the aging of non-waxy rice flour" 69 : 229-236, 2000

      29 Choi SW,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rice" 3 : 131-135, 1994

      30 Kang MY, "Inhibitary mechanism of colored rice bran extract against mutagenicity induced by chemical mutagen mitomycin c" 39 : 424-429, 1996

      31 Nam SH,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lolred rice bran extracts carcinogenecity" 40 : 307-312, 1997

      32 김재훈, "Glucono Delta-lactone의 첨가가 쌀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698-1702, 2004

      33 Kim KS, "Effects of addition ratio of pigmented r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15 : 507-513, 1999

      34 Borsch T,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fraction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several cancer cells" 30 : 80-85, 2001

      35 Roh JH, "Effect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on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cooked rice" 28 : 147-420, 1996

      36 Tsuda T, "Dietary cyanidine-3-O-β-D-glucoside increases exvivo oxidation resistance of serum in rats" 33 : 583-, 1998

      37 Ramarathnam N, "Chemical studies on novel rice hull antioxidants I. Isolation, fraction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36 : 723-727, 1988

      38 Tsuda T,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antocyanin pigments cynidin 3-O-β -D-glucoside and cyanidine" 42 : 2407-2411, 1994

      39 Choi SW,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rice brans" 5 : 305-309, 1996

      40 Nam SH, "Antioxidant activities of bran extracts from twenty one pigmented rice cultivars" 94 : 613-620, 2006

      41 HyunAhJung, "Antioxidant Principles of Nelumbo nucifera Stamens" 대한약학회 26 (26): 279-285,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0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3-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 1.63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