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에서 ‘무엇’과 ‘어떻게’의 문제는 서로 끊임없이 작용하는 상대적인 관계이다. 무엇을 이야기하느냐에 따라 그에 적절한 서술방식이 형성되기도 하고, 어떻게 이야기하느냐에 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816087
대전 :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07. 2
2007
한국어
대전
26cm
지도교수 :이상우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소설에서 ‘무엇’과 ‘어떻게’의 문제는 서로 끊임없이 작용하는 상대적인 관계이다. 무엇을 이야기하느냐에 따라 그에 적절한 서술방식이 형성되기도 하고, 어떻게 이야기하느냐에 따...
소설에서 ‘무엇’과 ‘어떻게’의 문제는 서로 끊임없이 작용하는 상대적인 관계이다. 무엇을 이야기하느냐에 따라 그에 적절한 서술방식이 형성되기도 하고, 어떻게 이야기하느냐에 따라 그 무엇의 모습이 현실 세계와는 전혀 다르게 형상화될 수도 있다. 결국 서술방식의 문제는 ‘어떻게 말하는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소설에서 작품 속의 인물은 행위와 내면 세계, 사건 등을 스스로 드러낼 수 없고 서술자의 중개를 통하여 형상화된다. 따라서 서술 기법은 작가가 소설 창작에 임했을 때 일차적으로 당면하게 되는 문제로서 현실의 재료를 소설화시키는 핵심적 요소이다.
박완서의 단편 소설에서 표면상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일인칭 서술이다. 박완서가 다양한 주제와 창작 기법을 다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인칭 서술을 견지하는 것은 창작 기법의 핵심이 일인칭 서술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작가는 그가 처해 있는 특정한 상황에 의해 서술자를 내세우고 대상을 바라보며 세계를 인식한다. 소설 속에서 작가의 관점과 세계관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매개체가 바로 서술자이다. 작품 속에서 초점화 대상이나 서술자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작가의 사상과 이데올로기, 관념적 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서술 기법을 구체적 작품을 통하여 연구하고, 서술 기법이 지니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일인칭 서술자 ‘나’에 의해 스토리가 전달되는 박완서 소설에서 서술자가 사건을 바라보는 초점화 양상을 리몬 케넌의 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작가의 체험이 내면화된 일인칭 소설에서는 인물과 서술자가 같기 때문에 내적 초점화를 통해 서술한다. 그러나 서술의 대상인 과거의 체험이 원거리를 유지할 때 서술자는 과거의 체험적 자아이면서 동시에 현재의 서술적 자아이다. 그러므로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체험을 종합한 결과, 과거의 서술에 있어서는 외적 초점화로서 권위를 지니게 된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박완서 소설에 나타나는 체험자아와 서술자아의 시간적 거리를 살펴보고, 서술자는 어떤 의식을 갖고 사건을 서술하는지 구체적 작품을 활용하여 밝혀보고자 하였다. 박완서의 대부분의 일인칭 소설이 과거의 체험을 회상하는 형식으로 쓰여 졌기 때문에 체험자아와 서술자아 사이에는 시간적 거리가 발생한다. 체험자아와 서술자아의 거리는 리몬 케넌의 지각적 국면과 심리적 국면으로 각각 대별하여 고찰해 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박완서의 일인칭 소설 속 초점화자가 초점화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리몬 케넌의 관념적 국면을 바탕으로 서술자의 태도를 살펴보았고, 초점화대상과 사건에 대한 서술 태도를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첫째, 전쟁체험의 상처와 후유증을 갖고 있는 서술자가 이를 치유하고 진실을 드러내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가족과의 이별과 낙원 상실에 대해 서술자는 슬픔과 그리움의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일상 속에서 겪었던 다양한 체험을 통해 자신이 살고 있는 현실을 인식하고 인간관계를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그로 인한 자기의 한계를 직시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제까지 박완서의 일인칭 소설을 리몬 케넌의 초점화 이론을 원용하여 일인칭 단편 소설을 초점화 양상, 체험자아와 서술자아의 거리, 초점화대상과 사건에 대한 서술 태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주제론적 측면에 치우친 연구 방법에서 벗어나 서술 기법 측면에서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일인칭 서술이 작가의 의도된 선택으로 독자에게 읽기 효과를 높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novel, the theme of ‘what’ and ‘how’ is relative relation working each other constantly. According to narrating what, the proper narration method is formed, or according to narrating how, the feature of something could be formed entirely un...
In novel, the theme of ‘what’ and ‘how’ is relative relation working each other constantly. According to narrating what, the proper narration method is formed, or according to narrating how, the feature of something could be formed entirely unlike the real world. After all, the theme of narration method is concluded into ‘how to narrate’. The character of the literary work can not reveal the behavior, inner world, incident, and etc. so it is formed through the intermediation of narrator. Consequently, the narration techniques is the important factor which the matter of realities makes fictionalize as the first confront problem during creating the work.
The outward-prominent characteristic in the short stroy of Park Wan-seo is the first person narration. Even though Park Wan-seo’s handled the various subjects and creative techniques, she maintains the first person narration. That shows that the core of the creative techniques is the first person narration. The writer makes the narrator stand in the specific situation where he is placed and recognizes the world while looking at the object. In novel, the vehicle that reveals the writer’s point view and world view directly or indirectly is the narrator. In works, the reason why the focalization object or study on narrator is important is that there is an intimate relation among the writer’s thought ,ideology and ideological attitude. With this point of view, I wanted to study the narration techniques in Park Wan-seo’s novel using the concrete work, and make the effect of narration techniques clear.
In chapterⅡ, I searched the focalization modality which the narrator looked the incident based on the S. Rimmon-Kenan’s thesis in Park Wan-seo's novel which the story delivered through the frist person narrator ‘I’. The first person novel which the writer`s experience is internalized narrate through internal focalization due to the same of character and narrator. However, when the past experience, the object of narration maintains a long distance, the narrator is the experience self of past and at the same time narration self as well. Therefore, by the result of generalizing the experience from the past to present, I researched the fact that for the narration of the past it hold the authoritative as the external focalization.
In chapter Ⅲ, I wanted to research the distance of time between the experience self and narration self in Park Wan-seo's novel, and make it the clear that the narrator with what kind of consciousness narrate the incident using the concrete works. There is a distance of time between the experience self and narration self because the most Park Wan-seo's first person novels were written in the form of recalling the past experience. The distance between the experience self and narration self was considered by dividing perceptual facet and psychological facet each.
In chapter Ⅳ, I researched that which attitude focalizer in the Park Wan-seo's first person novels taked about the focalization object or the incident. I looked at the narrator’s attitude based on the ideological facet of S. Rimmon-Kenan, I could the narration attitude about the focalization object or the incident into three types. First, the narrator who has the hurt and aftermath due to the war experience have the attitude, trying to cure and reveal the truth. Second, the narrator about seperating from the family and losing the Paradise reveals the feeling of sorrow and yearning. Third, it takes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realities and reflect on the human relationships through the various-daily experiences. Due to that, it shows the attitude confronting the limitation of one-self and reconsidering.
From now on, I researched the Park Wan-seo's first person novel using the focalization thesis of S. Rimmon-Kenan, dividing the focalization modality, the distance between experience self narration self and the narration attitude about focalization object and incident. This thesis analyzed the works in the side of the narration techniques staying away from the pre existing research which is inclined to the aspect of the themes. From this, I confirmed that the first person narration in Park Wan-seo's novels was the choice by writer and it also gived high effect for the readers to rea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