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科擧의 榜目文書와 榜目成冊 = Bangmok Documents and Bangmok Book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53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ngmok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s the list of candidates who passed the exam. It is often regarded as Munmugwabangmok or Samabangmok published by the passers as a souvenir. However, there are various types of bangmok which show differences in the editor, use, and contents. This paper classifies various kinds of bangmok and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materials, especially focusing on officially written bangmoks during the examination. They are important as base materials for exam administration and also as references for later bangmoks.
      There were two types of bangmok created during the examination. One was document type created to report to the king and the other one was book type to report to the higher-level office. This paper examines the compi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materials.
      번역하기

      Bangmok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s the list of candidates who passed the exam. It is often regarded as Munmugwabangmok or Samabangmok published by the passers as a souvenir. However, there are various types of bangmok which show differences i...

      Bangmok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s the list of candidates who passed the exam. It is often regarded as Munmugwabangmok or Samabangmok published by the passers as a souvenir. However, there are various types of bangmok which show differences in the editor, use, and contents. This paper classifies various kinds of bangmok and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materials, especially focusing on officially written bangmoks during the examination. They are important as base materials for exam administration and also as references for later bangmoks.
      There were two types of bangmok created during the examination. One was document type created to report to the king and the other one was book type to report to the higher-level office. This paper examines the compi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의 榜目은 합격자 명단을 가리킨다. 방목하면 흔히 합격자들이 기념물로 간행한 문무과방목이나 사마방목을 떠올린다. 그러나 현전하는 방목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종류별로 편찬의 주체와 용도, 수록 내용에도 차이가 있다. 이 글은 다양한 종류의 방목을 분류하여 계통화하고 그 자료적 특성을 파악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여, 과거의 시행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작성된 방목에 주목하였다. 이 방목들이 과거 행정의 근거 자료이자 차후에 만들어 지는 각종 방목들의 준거 자료라고 파악하였기 때문이다.
      과거의 시행 과정에서 작성된 방목은 두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국왕에게 올리는 보고용으로 작성된 榜目文書이며, 하나는 상급 기관 보고용으로 작성된 榜目成冊이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편찬 과정과 그 자료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과거의 榜目은 합격자 명단을 가리킨다. 방목하면 흔히 합격자들이 기념물로 간행한 문무과방목이나 사마방목을 떠올린다. 그러나 현전하는 방목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종류별로 편...

      과거의 榜目은 합격자 명단을 가리킨다. 방목하면 흔히 합격자들이 기념물로 간행한 문무과방목이나 사마방목을 떠올린다. 그러나 현전하는 방목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종류별로 편찬의 주체와 용도, 수록 내용에도 차이가 있다. 이 글은 다양한 종류의 방목을 분류하여 계통화하고 그 자료적 특성을 파악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여, 과거의 시행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작성된 방목에 주목하였다. 이 방목들이 과거 행정의 근거 자료이자 차후에 만들어 지는 각종 방목들의 준거 자료라고 파악하였기 때문이다.
      과거의 시행 과정에서 작성된 방목은 두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국왕에게 올리는 보고용으로 작성된 榜目文書이며, 하나는 상급 기관 보고용으로 작성된 榜目成冊이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편찬 과정과 그 자료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필기, "조선후기 『武譜』의 자료적 검토" 7 : 1988

      2 정해은, "조선시대 무과방복의 현황과 사료적 특성"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47) : 263-298, 2002

      3 이남희, "조선시대 雜科榜目의 자료적 성격" 12 : 1998

      4 김덕수, "조선시대 放榜과 遊街에 관한 일고" 한국고문서학회 49 : 27-67, 2016

      5 宋俊浩, "조선문과방목 해제-《Wagner & 宋 朝鮮文科榜目》에 관한 안내문"

      6 이남희, "조선 후기 醫科八世譜의 자료적 특성과 의미 — 현전 자료와 그 수록 년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52) : 231-262, 2010

      7 최경훈, "동산도서관 소장 사마방목의 현황과 가치" 한국학연구원 (59) : 401-440, 2015

      8 최진옥, "朝鮮時代 生員進士硏究" 集文堂 1998

      9 태학사, "國朝文科榜目" 太學社 1988

      10 계훈모, "司馬榜目總錄: 附司馬試設科年次" 88 : 1980

      1 장필기, "조선후기 『武譜』의 자료적 검토" 7 : 1988

      2 정해은, "조선시대 무과방복의 현황과 사료적 특성"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47) : 263-298, 2002

      3 이남희, "조선시대 雜科榜目의 자료적 성격" 12 : 1998

      4 김덕수, "조선시대 放榜과 遊街에 관한 일고" 한국고문서학회 49 : 27-67, 2016

      5 宋俊浩, "조선문과방목 해제-《Wagner & 宋 朝鮮文科榜目》에 관한 안내문"

      6 이남희, "조선 후기 醫科八世譜의 자료적 특성과 의미 — 현전 자료와 그 수록 년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52) : 231-262, 2010

      7 최경훈, "동산도서관 소장 사마방목의 현황과 가치" 한국학연구원 (59) : 401-440, 2015

      8 최진옥, "朝鮮時代 生員進士硏究" 集文堂 1998

      9 태학사, "國朝文科榜目" 太學社 1988

      10 계훈모, "司馬榜目總錄: 附司馬試設科年次" 88 :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