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필기, "조선후기 『武譜』의 자료적 검토" 7 : 1988
2 정해은, "조선시대 무과방복의 현황과 사료적 특성"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47) : 263-298, 2002
3 이남희, "조선시대 雜科榜目의 자료적 성격" 12 : 1998
4 김덕수, "조선시대 放榜과 遊街에 관한 일고" 한국고문서학회 49 : 27-67, 2016
5 宋俊浩, "조선문과방목 해제-《Wagner & 宋 朝鮮文科榜目》에 관한 안내문"
6 이남희, "조선 후기 醫科八世譜의 자료적 특성과 의미 — 현전 자료와 그 수록 년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52) : 231-262, 2010
7 최경훈, "동산도서관 소장 사마방목의 현황과 가치" 한국학연구원 (59) : 401-440, 2015
8 최진옥, "朝鮮時代 生員進士硏究" 集文堂 1998
9 태학사, "國朝文科榜目" 太學社 1988
10 계훈모, "司馬榜目總錄: 附司馬試設科年次" 88 : 1980
1 장필기, "조선후기 『武譜』의 자료적 검토" 7 : 1988
2 정해은, "조선시대 무과방복의 현황과 사료적 특성"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47) : 263-298, 2002
3 이남희, "조선시대 雜科榜目의 자료적 성격" 12 : 1998
4 김덕수, "조선시대 放榜과 遊街에 관한 일고" 한국고문서학회 49 : 27-67, 2016
5 宋俊浩, "조선문과방목 해제-《Wagner & 宋 朝鮮文科榜目》에 관한 안내문"
6 이남희, "조선 후기 醫科八世譜의 자료적 특성과 의미 — 현전 자료와 그 수록 년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52) : 231-262, 2010
7 최경훈, "동산도서관 소장 사마방목의 현황과 가치" 한국학연구원 (59) : 401-440, 2015
8 최진옥, "朝鮮時代 生員進士硏究" 集文堂 1998
9 태학사, "國朝文科榜目" 太學社 1988
10 계훈모, "司馬榜目總錄: 附司馬試設科年次" 88 :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