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기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순원왕후의 수렴청정과 정치적 지향" 국제어문학회 (47) : 199-229, 2009
2 박정혜, "춤, 그림 속에서 宴을 벌이다"
3 임혜련, "조선후기 헌종대 순원왕후의 수렴청정" 3 : 2005
4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의 왕비와 후궁"
5 심대우,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2
6 윤정란, "조선왕비 오백년사" 이가출판사 2008
7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궁중행사도Ⅰ"
8 박주, "조선 후기 순원왕후와 안동 김문의 관계에 대한 재조명" 한국사상문화학회 (89) : 209-239, 2017
9 수원화성박물관, "정조대왕의 수원행차도"
10 이민주, "장서각소장 왕실발기로 보는 순종 가례 복식연구" 한국고문서학회 48 : 373-404, 2016
1 이기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순원왕후의 수렴청정과 정치적 지향" 국제어문학회 (47) : 199-229, 2009
2 박정혜, "춤, 그림 속에서 宴을 벌이다"
3 임혜련, "조선후기 헌종대 순원왕후의 수렴청정" 3 : 2005
4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의 왕비와 후궁"
5 심대우,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2
6 윤정란, "조선왕비 오백년사" 이가출판사 2008
7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궁중행사도Ⅰ"
8 박주, "조선 후기 순원왕후와 안동 김문의 관계에 대한 재조명" 한국사상문화학회 (89) : 209-239, 2017
9 수원화성박물관, "정조대왕의 수원행차도"
10 이민주, "장서각소장 왕실발기로 보는 순종 가례 복식연구" 한국고문서학회 48 : 373-404, 2016
11 조효숙,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눌와 2006
12 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 일가 복식" 2010
13 국립국악원, "역주 기사진표리진찬의궤"
14 이승희, "순원왕후의 한글편지" 푸른역사 2010
15 변원림, "순원왕후 독재와 19세기 조선사회의 동요" 일지사 2012
16 전통예술원,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민속원 2004
17 이의강, "국역 순조무자진작의궤" 보고사 2006
18 "純元王后御筆封書 <奎 27785>"
19 "朝鮮王朝實錄"
20 임혜련, "憲宗初 純元王后 垂簾聽政期의 官人 임용 양상과 權力 關係" 호서사학회 (66) : 209-240, 2013
21 "慈慶殿進爵整禮儀軌 <奎 14535>"
22 "己巳進表裏進饌儀軌"
23 "尙方定例 <奎1855>"
24 "園幸乙卯整理儀軌 <奎 14532>"
25 송방송, "國譯 純祖己丑進饌儀軌 卷首․卷一" 민속원
26 "[戊申]進饌儀軌 <奎 14372>"
27 "[戊子]進爵儀軌 <奎 14364>"
28 "[己丑]進饌儀軌 <奎 14370>"
29 Li He, "Minj Dynasty" Tuttle Pub 2008
30 National Museum Scotland, "Ming: The Golden Empire" NMS Enterprises Limited 2014
31 임혜련, "19세기 垂簾聽政의 특징 -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48) : 255-289, 2009
32 이은진,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3 진덕순, "1932년 왕손 이구(李玖)의 『의ᄃᆡ목록』 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49 : 157-183, 2016
34 이아름, "1829년 기축진찬의례(己丑進饌儀禮)의 진작(進爵) 기물(器物)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50 (50): 64-8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