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오징어게임>에 나타난 ‘신명(神明)’과 한류 콘텐츠 고찰 = A Study on ‘Shinmyeong’ and Korean Wave Content in the Movie Squid Ga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501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value of Korean sentiment represented in Squid Game, directed by Hwang, Dong-hyeok, differs from Hollywood and Japanese survival game films. The movie Squid Game has a similar development pattern to other films in the survival game genre, but reveals differences in its approach to reality and the way it is reproduced. The movie Squid Game secures aunique Korean sentiment and value that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other survival game films such as lack of realism, lack of empathy through abstract game reproduction, and presentation of material for forming consensus only for a specific group.
      In general, Koreans' emotions are recognized as 'Han(恨),' which reflects the emotions of despair and resignation. However, Koreans' 'Han' does not simply end in resignation and tragedy, but leads to exhilaration, a powerful and extremely excited state that soars through the limits of pain and suffering. The movie Squid Game transforms into a situation of fun and amusement through the excited state of exhilaration, which is the original energy that can overcome the tragic situation of reality. The movie Squid Game is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movie to become a box office hit by using the special emotion of Koreans, ‘Shinmyeong(神明),’ global sympathy and glocal sensibility as a dramatic development method.
      In the movie Squid Game, people who are at the bottom of their live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game and experience the darkness and fierceness of reality, gaining realistic sympathy. The various games reproduced in the movie Squid Game are trying to reproduce the fierce reality and fun memories of childhood. Audiences around the world experience the fun of a new play culture and sympathy through the fierceness of reality and harsh competition while facing the games of the movie Squid Game. The sympathy and fun of the movie Squid Game can be said to be the key keywords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survival game fil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value of Korean sentiment represented in Squid Game, directed by Hwang, Dong-hyeok, differs from Hollywood and Japanese survival game films. The movie Squid Game has a similar development pattern to o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value of Korean sentiment represented in Squid Game, directed by Hwang, Dong-hyeok, differs from Hollywood and Japanese survival game films. The movie Squid Game has a similar development pattern to other films in the survival game genre, but reveals differences in its approach to reality and the way it is reproduced. The movie Squid Game secures aunique Korean sentiment and value that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other survival game films such as lack of realism, lack of empathy through abstract game reproduction, and presentation of material for forming consensus only for a specific group.
      In general, Koreans' emotions are recognized as 'Han(恨),' which reflects the emotions of despair and resignation. However, Koreans' 'Han' does not simply end in resignation and tragedy, but leads to exhilaration, a powerful and extremely excited state that soars through the limits of pain and suffering. The movie Squid Game transforms into a situation of fun and amusement through the excited state of exhilaration, which is the original energy that can overcome the tragic situation of reality. The movie Squid Game is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movie to become a box office hit by using the special emotion of Koreans, ‘Shinmyeong(神明),’ global sympathy and glocal sensibility as a dramatic development method.
      In the movie Squid Game, people who are at the bottom of their live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game and experience the darkness and fierceness of reality, gaining realistic sympathy. The various games reproduced in the movie Squid Game are trying to reproduce the fierce reality and fun memories of childhood. Audiences around the world experience the fun of a new play culture and sympathy through the fierceness of reality and harsh competition while facing the games of the movie Squid Game. The sympathy and fun of the movie Squid Game can be said to be the key keywords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survival game fil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황동혁 감독의 영화 <오징어 게임>을 통해서 재현되는 한국적 정서가 지닌 가치가 헐리우드 및 일본 생존게임 영화와 어떤 방식으로 차별성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영화 <오징어 게임>은 다른 생존게임 장르의 영화들과 전개 패턴의 유사성을 지니고 있지만 현실 접근과 재현 방식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영화 <오징어 게임>은 다른 생존게임 영화들이 현실감의 부재, 추상적 게임 재현을 통한 공감 부족, 그리고 특정 집단만의 공감대 형성 소재 제시라는 한계성을 초월하는 독특한 한국적 정서와 가치를 확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인의 정서는 절망과 체념의 정서가 투영된 ‘한(恨)’이라고 인식된 다. 그러나 한국인의 ‘한’은 단순히 체념과 비극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고통과 괴로움의 한계를 뚫고 치솟아 오르는 강력하고 극도의 흥분상태인 신명(神明)으로 이어진다. 영화 <오징어 게임>은 현실의 처참한 비극적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원천적 에너지인 신명의 흥분상태를 통해서 재미와 유희의 상황으로 전환하고 있다. 영화 <오징어 게임>은 한국인의 특별한 정서인 신명이 글로벌적 공감과 글로컬적 감성을 극적 전개 방식으로 활용하면서 영화가 흥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영화 <오징어 게임>은 인생의 밑바닥에 처한 사람들이 게임에 직접 참가하면서 현실의 암담함과 치열함을 직접 체험하면서 현실적 공감을 확보하고 있다. 영화 <오징어 게임>에서 재현되는 다양한 게임들은 치열한 현실과 재미있었던 어린 시절 추억의 놀이 재현을 시도하고 있다. 전 세계 관람객들은 영화 <오징어 게임>의 게임들을 마주하면서 현실의 치열함과 혹독한 경쟁을 통한 공감과 새로운 놀이문화에 대한 재미를 경험한다. 영화 <오징어 게임>이 지닌 공감과 재미는 다른 생존게임 영화들과의 차별적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황동혁 감독의 영화 <오징어 게임>을 통해서 재현되는 한국적 정서가 지닌 가치가 헐리우드 및 일본 생존게임 영화와 어떤 방식으로 차별성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황동혁 감독의 영화 <오징어 게임>을 통해서 재현되는 한국적 정서가 지닌 가치가 헐리우드 및 일본 생존게임 영화와 어떤 방식으로 차별성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영화 <오징어 게임>은 다른 생존게임 장르의 영화들과 전개 패턴의 유사성을 지니고 있지만 현실 접근과 재현 방식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영화 <오징어 게임>은 다른 생존게임 영화들이 현실감의 부재, 추상적 게임 재현을 통한 공감 부족, 그리고 특정 집단만의 공감대 형성 소재 제시라는 한계성을 초월하는 독특한 한국적 정서와 가치를 확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인의 정서는 절망과 체념의 정서가 투영된 ‘한(恨)’이라고 인식된 다. 그러나 한국인의 ‘한’은 단순히 체념과 비극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고통과 괴로움의 한계를 뚫고 치솟아 오르는 강력하고 극도의 흥분상태인 신명(神明)으로 이어진다. 영화 <오징어 게임>은 현실의 처참한 비극적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원천적 에너지인 신명의 흥분상태를 통해서 재미와 유희의 상황으로 전환하고 있다. 영화 <오징어 게임>은 한국인의 특별한 정서인 신명이 글로벌적 공감과 글로컬적 감성을 극적 전개 방식으로 활용하면서 영화가 흥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영화 <오징어 게임>은 인생의 밑바닥에 처한 사람들이 게임에 직접 참가하면서 현실의 암담함과 치열함을 직접 체험하면서 현실적 공감을 확보하고 있다. 영화 <오징어 게임>에서 재현되는 다양한 게임들은 치열한 현실과 재미있었던 어린 시절 추억의 놀이 재현을 시도하고 있다. 전 세계 관람객들은 영화 <오징어 게임>의 게임들을 마주하면서 현실의 치열함과 혹독한 경쟁을 통한 공감과 새로운 놀이문화에 대한 재미를 경험한다. 영화 <오징어 게임>이 지닌 공감과 재미는 다른 생존게임 영화들과의 차별적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이두, "한의 구조연구" 문학과지성사 1993

      2 최길성, "한국인의 한" 예전사 1991

      3 김열규, "한국인의 신명" 주류 1982

      4 이상일, "한국인의 굿과 놀이" 민음사 1981

      5 최준식, "한국인은 왜 틀을 거부하는가 : 난장과 파격의 미학" 소나무 2002

      6 김양동, "한국 고대문화 원형의 상징과 해석" 지식산업사 2021

      7 허원기, "판소리의 신명풀이 미학" 박이정 2001

      8 조동일, "탈춤의 원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2006

      9 김선미, "육군본부가 제작한 뮤지컬 콘텐츠의 한계와 발전 방향"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2) : 41-66, 2021

      10 강준수, "소프트파워로 본 한류로서의 방탄소년단 고찰" 사단법인 한국비즈니스이벤트컨벤션학회 15 (15): 93-116, 2019

      1 천이두, "한의 구조연구" 문학과지성사 1993

      2 최길성, "한국인의 한" 예전사 1991

      3 김열규, "한국인의 신명" 주류 1982

      4 이상일, "한국인의 굿과 놀이" 민음사 1981

      5 최준식, "한국인은 왜 틀을 거부하는가 : 난장과 파격의 미학" 소나무 2002

      6 김양동, "한국 고대문화 원형의 상징과 해석" 지식산업사 2021

      7 허원기, "판소리의 신명풀이 미학" 박이정 2001

      8 조동일, "탈춤의 원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2006

      9 김선미, "육군본부가 제작한 뮤지컬 콘텐츠의 한계와 발전 방향"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2) : 41-66, 2021

      10 강준수, "소프트파워로 본 한류로서의 방탄소년단 고찰" 사단법인 한국비즈니스이벤트컨벤션학회 15 (15): 93-116, 2019

      11 고경민, "미디어 콘텐츠에 담긴 ‘이야기’에 대한 연구 : 문화의 정체 현상과 이야기 구조를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2) : 15-40, 2021

      12 김말복, "무용예술코드" 한길아트 2011

      13 정금철, "恨의 정서와 시학 ‑ 金素月, 徐廷柱의 詩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21) : 107-131, 2009

      14 안신호, "恨 : 한국인의 負的 感情?" 6 (6): 61-74,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