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폴리술폰과 폴리아미드 경계층에 형성된 폴리실록산을 이용한 정삼투 복합 박막의 유량 향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447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폴리술폰층 표면에 계면 중합 반응을 시켜 정삼투 복합 박막을 얻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층인 폴 리술폰층과 활성층인 폴리아미드층 사이에 테트라에톡시실란 단량체의 졸-...

      본 연구에서는 폴리술폰층 표면에 계면 중합 반응을 시켜 정삼투 복합 박막을 얻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층인 폴 리술폰층과 활성층인 폴리아미드층 사이에 테트라에톡시실란 단량체의 졸-젤 반응을 통하여 고분자를 합성함으로써 친수성 경계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제조법을 제시하였다. 폴리술폰층은 막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아주 얇은 부직포를 사 용하였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의 졸-젤 반응으로 형성된 고분자 경계층이 폴리술폰층과 폴리아미드층 사이에 형성된 정삼투 분 리막은 친수화도, 유량 향상 등 정삼투 분리막 투과 특성에 있어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다. 폴리아미드 계면 중합과 테트라 에톡시실란 졸-젤 중합의 순서를 변화시킴으로써 표면 구조 특성 및 정삼투 투과 특성이 크게 달라짐을 볼 수 있었다. 정삼투 막의 투과 특성은 실험실 용량의 정삼투 평가 장치를 통하여, 정삼투 분리막 내 폴리실록산의 분포와 구조는 FE-SEM과 EDAX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PS_PA_TEOS막의 경우 유량에 있어 79.2 LMH로 현격한 증가가 있었으나 염의 역확산 속도 역시 7.10 GMH로 증가하였다. 반면 PS_TEOS_PA막의 경우 PS_PA막에 비해 염의 역확산 속도는 1.60 GMH로 유지되면서 유량이 54.1 LMH로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work, novel thin film composite (TFC) forward osmosis (FO) membranes are developed via interfacial polymerization on the polysulfone (PS) substrate, using TEOS as the a sol-gel reagent to form hydrophilic interlayer polymer between PS and poly...

      In this work, novel thin film composite (TFC) forward osmosis (FO) membranes are developed via interfacial polymerization on the polysulfone (PS) substrate, using TEOS as the a sol-gel reagent to form hydrophilic interlayer polymer between PS and polyamide (PA). The PS substrate was cast on a very thin polyester nonwoven to reduce membrane resistance. With the incorporation of TEOS (tetraethoxy silane) polymer in the interface between PS and PA, the formed TFC FO membrane exhibits better hydrophilicity and improved water flux, and therefore superior membrane performance. By changing the polymerization sequence of PA interfacial polymerization and TEOS sol-gel condensation, the surface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FO membranes are changed significantly. The permeability of FO membranes were estimated using the bench-scale FO test equipment. The distribution of the polysiloxane on composite membrane and morphology are also studied with FE-SEM and EDAX. The PS_PA_TEOS membrane showed highly enhanced water flux (79.2 LMH) but reverse salt flux (RSF) value (7.10 GMH) also increased. However, the flux of PS_TEOS_PA membrane increased moderately (54.1 LMH) without increasing RSF value (1.60 GMH) compare with PS_PA membra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2. 실험 및 방법
      • 2.1. 재료 및 시약
      • 2.2. FO막의 제조
      • 2.3. FO막의 분석 및 평가
      • 1. 서 론
      • 2. 실험 및 방법
      • 2.1. 재료 및 시약
      • 2.2. FO막의 제조
      • 2.3. FO막의 분석 및 평가
      • 3. 결과 및 토의
      • 4. 결 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수현, "지지층 구조가 다른 복합 정삼투막의 기공구조와 분리 특성" 한국막학회 23 (23): 251-256, 2013

      2 김인철, "지지체 특성이 정삼투막 성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막학회 20 (20): 235-240, 2010

      3 안혜련,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분리막 제조 및 정삼투 성능 평가" 한국막학회 24 (24): 136-141, 2014

      4 K. Lutchmiah, "Water recovery from sewage using forward osmosis" 64 : 1443-, 2011

      5 N. Y. Yip, "Thin-film composite pressure retarded osmosis membranes for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from salinity gradients" 45 : 4360-, 2011

      6 A. Achilli, "The forward osmosis membrane bioreactor:a low fouling alternative to MBR processes" 239 : 10-, 2009

      7 A. Yamaguchi, "Self-assembly of a silica-surfactant nanocomposite in a porous alumina membrane" 3 : 337-, 2004

      8 A. Achilli, "Power generation with retarded osmosis : A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343 : 42-, 2009

      9 D. Xiao, "Modeling salt accumulation in osmotic membrane bioreactor simplications for FO membrane selection and system operation" 366 : 314-, 2011

      10 D. Stillman, "Mesh-reinforced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for forward osmosis applications: The structure-performance relationship" 4 : 261-, 1978

      1 안수현, "지지층 구조가 다른 복합 정삼투막의 기공구조와 분리 특성" 한국막학회 23 (23): 251-256, 2013

      2 김인철, "지지체 특성이 정삼투막 성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막학회 20 (20): 235-240, 2010

      3 안혜련,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분리막 제조 및 정삼투 성능 평가" 한국막학회 24 (24): 136-141, 2014

      4 K. Lutchmiah, "Water recovery from sewage using forward osmosis" 64 : 1443-, 2011

      5 N. Y. Yip, "Thin-film composite pressure retarded osmosis membranes for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from salinity gradients" 45 : 4360-, 2011

      6 A. Achilli, "The forward osmosis membrane bioreactor:a low fouling alternative to MBR processes" 239 : 10-, 2009

      7 A. Yamaguchi, "Self-assembly of a silica-surfactant nanocomposite in a porous alumina membrane" 3 : 337-, 2004

      8 A. Achilli, "Power generation with retarded osmosis : A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343 : 42-, 2009

      9 D. Xiao, "Modeling salt accumulation in osmotic membrane bioreactor simplications for FO membrane selection and system operation" 366 : 314-, 2011

      10 D. Stillman, "Mesh-reinforced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for forward osmosis applications: The structure-performance relationship" 4 : 261-, 1978

      11 K. L. Lee, "Membranes for power generation by pressure-retarded osmosis" 8 : 141-, 1981

      12 G. D. Mehta, "Internal polarization in the porous substructure of a semi-permeable membrane under pressure-retarded osmosis" 4 : 261-, 1978

      13 G. Gray,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in forward osmosis : role of membrane orientation" 197 : 1-, 2006

      14 T. Cath, "Forward osmosis : principles, application, and recent developments" 281 : 70-, 2006

      15 S. Hong, "Evolution of RO process for green future" 14 : 9-, 2011

      16 R. Babu, "Effect of process parameters on transmembrane flux during direct osmosis" 280 : 185-, 2006

      17 O. Kessler, "Drinking water from sea water by forward osmosis" 18 : 297-, 1976

      18 E. Kravath, "Desalination of seawater by direct osmosis" 16 : 151-, 1975

      19 J. R. McCutcheon, "Desalination by a novel ammonia-carbon dioxide forward osmosis process: influence of draw and feed solution concentrations on process performance" 278 : 114-, 2006

      20 J. R. McCutcheon, "A novel ammonia-carbon dioxide forward (direct) osmosis desalination process" 174 : 1-,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7 0.318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