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근대계몽기 가정학의 번역과 수용-한문 번역 『신선가정학(新選家政學)』의 유통 사례- = The Translation and Understanding of Home Economics in Modern Enlightenment Era -The Circulation of Newly Edited Home Economics in Chinese Transl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he first report in Korean academic world informs the translat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 in Joyangbo, magazine in modern enlightenment era and also determines co-working translaters, the Society of New Rise, Chinese abroad students academy as Joyangbo translation’s original script, Chinese translate edition of Newly Edited Home Economics by Shimoda Utako.
      The Chinese translated edition of Shimoda’s textbook is widely circulated in Korean modern enlightenment era.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circulation reveals cognitive differences about home economics among Korea, Japan and China. In addition, diverse publishing texts, textbooks and serials in magazine, Joyangbo and Honamhakbo present the live Korean adoptional scenery of modern sciences in enlightenment era.
      번역하기

      This paper is the first report in Korean academic world informs the translat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 in Joyangbo, magazine in modern enlightenment era and also determines co-working translaters, the Society of New Rise, Chinese abroad students a...

      This paper is the first report in Korean academic world informs the translat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 in Joyangbo, magazine in modern enlightenment era and also determines co-working translaters, the Society of New Rise, Chinese abroad students academy as Joyangbo translation’s original script, Chinese translate edition of Newly Edited Home Economics by Shimoda Utako.
      The Chinese translated edition of Shimoda’s textbook is widely circulated in Korean modern enlightenment era.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circulation reveals cognitive differences about home economics among Korea, Japan and China. In addition, diverse publishing texts, textbooks and serials in magazine, Joyangbo and Honamhakbo present the live Korean adoptional scenery of modern sciences in enlightenment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양보』에서 가정학 교과서를 번역하여 연재했음을 학계에 최초로 보고했으며, 번역의 저본이 된 한문 번역본의 역자가 중국인 일본유학생 단체인 작신사(作新社)임도 밝혔다. 이 한문 번역본의 다양한 유통 과정을 조명하여 저본 대비를 통해 근대의 새로운 지식이 번역되어 다양하게 수용된 경로를 조명했다.
      시모다 우타코의 『신선가정학』을 한문으로 번안한 작신사의 가정학 교과서는 계몽기의 한국에서 다양하게 수용되었으며 이는 시대적 전환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리고 그 번안의 과정에서 드러난 가정(家政)에 대한 한중일의 인식 차이는 재고할 여지가 많다. 또한 『조양보』, 『호남학보』 연재본 및 현공렴 발행본 등, 다양한 판본 사이에 드러나는 번역 양상의 차이는 근대 지식을 번역하고 수용하던 계몽기 당대의 생생한 현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사료적 가치가 충분하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조양보』에서 가정학 교과서를 번역하여 연재했음을 학계에 최초로 보고했으며, 번역의 저본이 된 한문 번역본의 역자가 중국인 일본유학생 단체인 작신사(作新社)임도 밝혔다...

      이 논문은 『조양보』에서 가정학 교과서를 번역하여 연재했음을 학계에 최초로 보고했으며, 번역의 저본이 된 한문 번역본의 역자가 중국인 일본유학생 단체인 작신사(作新社)임도 밝혔다. 이 한문 번역본의 다양한 유통 과정을 조명하여 저본 대비를 통해 근대의 새로운 지식이 번역되어 다양하게 수용된 경로를 조명했다.
      시모다 우타코의 『신선가정학』을 한문으로 번안한 작신사의 가정학 교과서는 계몽기의 한국에서 다양하게 수용되었으며 이는 시대적 전환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리고 그 번안의 과정에서 드러난 가정(家政)에 대한 한중일의 인식 차이는 재고할 여지가 많다. 또한 『조양보』, 『호남학보』 연재본 및 현공렴 발행본 등, 다양한 판본 사이에 드러나는 번역 양상의 차이는 근대 지식을 번역하고 수용하던 계몽기 당대의 생생한 현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사료적 가치가 충분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尹素英, "한말기 조선의 일본 근대화 논리의 수용 -‘和魂’論과 ‘國魂’論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근현대사학회 (29) : 138-170, 2004

      2 점필재연구소,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 1" 소명출판 246-, 2012

      3 임상석, "근대계몽기 한국잡지에 번역된 제국주의" 2012

      4 홍인숙, "근대계몽기 여성담론" 혜안 24-, 2009

      5 전미경, "근대계몽기 가족론과 국민 생산 프로젝트" 소명 1-254, 2005

      6 구장률, "근대 초기 잡지와 분과학문의 형성" 케포이북스 256-302, 2012

      7 김명선, "고등여학교 가사과목 교과용도서의 주거지식(1908-1914)"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2648-2653, 2010

      8 玄公廉, "漢文家政學" 日韓圖書印刷株式會社 1907

      9 "湖南學報"

      10 "朝陽報"

      1 尹素英, "한말기 조선의 일본 근대화 논리의 수용 -‘和魂’論과 ‘國魂’論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근현대사학회 (29) : 138-170, 2004

      2 점필재연구소,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 1" 소명출판 246-, 2012

      3 임상석, "근대계몽기 한국잡지에 번역된 제국주의" 2012

      4 홍인숙, "근대계몽기 여성담론" 혜안 24-, 2009

      5 전미경, "근대계몽기 가족론과 국민 생산 프로젝트" 소명 1-254, 2005

      6 구장률, "근대 초기 잡지와 분과학문의 형성" 케포이북스 256-302, 2012

      7 김명선, "고등여학교 가사과목 교과용도서의 주거지식(1908-1914)"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2648-2653, 2010

      8 玄公廉, "漢文家政學" 日韓圖書印刷株式會社 1907

      9 "湖南學報"

      10 "朝陽報"

      11 "新選家政學, In 新選家政學" 金港堂書籍株式會社 1900

      12 玄公廉, "新訂家政學" 唯一書館 1913

      13 朴晶東, "新撰家政學" 右文舘 1907

      14 下田歌子, "家政學" 博文館 1893

      15 전미경, "1900-1910년대 家政 敎科書에 관한 연구*- 현공렴 발행 『漢文家政學』, 『新編家政學』, 『新訂家政學』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131-151,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