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98790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 2019. 2
2019
한국어
충청북도
vi, 172p. ; 26 cm
지도교수: 노영희
I804:43012-00000003706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인지적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의 표현적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S 시에 소재한 G 유치원의 만 5세반 2개 학급에 재원 중인 유아 48명으로 실험집단 24명(남: 13명, 여: 11명), 통제집단 24명(남: 13명, 여: 11명)이었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을 하였으며, 실험 처치는 2018년 6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8주 동안, 한 유아 당 매주 3회씩 총 24회 실시하였다. 유아의 공감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천우영(2016)이 제작한 교사용 유아 공감 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의 공감 능력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점수로 t-검증을 실시 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하고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공감 능력이 통제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인지적 공감 능력이 통제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정서적 공감 능력이 통제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표현적 공감 능력이 통제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은 유아의 공감 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공감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자료로 제공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