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화된 이종 언어자원의 연계와 인문학 연구의 확장성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과 KorLex의 연동 가능성 검토를 통해 - = Interlinking Digitalized Heterogeneous Language Resources and Revitalization of Humanities Research - Interoperability between Unified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nd KorLex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7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이종언어자원인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이하, 『통합』)과 한국어 어휘 의미망인KorLex 의 연동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상이한 동기와 배경에서 개발된 두 언어자원...

      본 논문의 목적은 이종언어자원인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이하, 『통합』)과 한국어 어휘 의미망인KorLex 의 연동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상이한 동기와 배경에서 개발된 두 언어자원은 양립하기 어려운 거시적 구조와 미시적 구조를 갖고 있다. 2절과 3절에서는 각각 KorLex 와 『통합』의 특성을 살펴보고, 4절에서는 두 이종 언어자원 간 연계 가능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또한 현 단계에서 극복해야 할 한계와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한국어 사전연구의 활성화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두 언어자원의 유일한 연계점은 한자로 된 표제어휘인데, 접점의 그물코가 매우 크고 성글기 때문에 현 상태의 그물로 당장 거둬 올릴 수 있는 유용한 결과는 크지 않다. 하지만, 두 언어자원에 연계점을 제공하는 『표준국어대사전』과 『통합』의 연동성은 좀 더 가시적이고, 기존 한국어 사전의 보완 또는 편찬 방향에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통합』의 풍부한 정보를 이용하면, 한국어 사전에서 아직 결여된 부분인 어휘의 역사문화정보를 상당히 보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앞으로 편찬될 사전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에 디지털화된 다양한 한국어 관련 사전이 동참한다면 좀 더 풍요로운 수확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interoperability of two heterogeneous language resources - Unified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hereafter, UGCK), and KorLex, Korean WordNet. Initiated with completely different motives and backgrounds, these two l...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interoperability of two heterogeneous language resources - Unified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hereafter, UGCK), and KorLex, Korean WordNet. Initiated with completely different motives and backgrounds, these two language resources show their own macro and micro structures which are hard to be compatible, at a glance. In Sections 2 and 3,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Lex and UGCK, respectively. Section 4 investigates the possible linking elements between UGCK and KorLex. The limitations and the problems to overcome at the present stage are analyzed in detail. Finally, directions to revitalize future Korean lexicographic research are discussed.
      The only linking elements between UGCK and KorLex are the headword in Chinese characters. Since the mesh of their links is very large and sparse, the useful results can be hardly obtained at this moment. However, the advantage of interlinking UGCK and Standard Korean Dictionary (hereafter, STD) which provides the headword in Chinese to KorLex, is more visible: existing Korean dictionaries including STD could be significantly enriched. For example, the rich lex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of UGCK can provide STD with the historical and semantic changes of a lexicon, which still lacks in Korean dictionaries. The interlinked language resources can suggest a new direction for the dictionary to be compiled in the future. If various digitalized Korean dictionaries participate in this new attempt, a more prosperous harvest will be obtain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

      2 "한국어기초사전" 국립국어원

      3 김민호,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문맥 의존 철자오류 교정규칙의 일반화" 한국정보과학회 20 (20): 106-110, 2014

      4 윤애선, "한국어 어휘의미망 「KorLex 1.5」의 구축" 한국정보과학회 36 (36): 92-108, 2009

      5 윤애선, "한국어 어휘 의미망 KorLex 2.0―의미 처리와 지식 공학을 위한 기반 언어 자원―" 한글학회 (295) : 163-201, 2012

      6 황순희, "한국어 수분류사 어휘의미망 KorLexClas 1.5" 한국정보과학회 37 (37): 60-73, 2010

      7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KSGC)"

      8 "한국수어사전" 국립국어원

      9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10 최현수, "통합적 제약완화 방식을 통한 한국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규칙의 재현율 향상" 한국정보과학회 21 (21): 412-417, 2015

      1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

      2 "한국어기초사전" 국립국어원

      3 김민호,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문맥 의존 철자오류 교정규칙의 일반화" 한국정보과학회 20 (20): 106-110, 2014

      4 윤애선, "한국어 어휘의미망 「KorLex 1.5」의 구축" 한국정보과학회 36 (36): 92-108, 2009

      5 윤애선, "한국어 어휘 의미망 KorLex 2.0―의미 처리와 지식 공학을 위한 기반 언어 자원―" 한글학회 (295) : 163-201, 2012

      6 황순희, "한국어 수분류사 어휘의미망 KorLexClas 1.5" 한국정보과학회 37 (37): 60-73, 2010

      7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KSGC)"

      8 "한국수어사전" 국립국어원

      9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10 최현수, "통합적 제약완화 방식을 통한 한국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규칙의 재현율 향상" 한국정보과학회 21 (21): 412-417, 2015

      11 윤애선, "지식베이스 구축을 위한 『한불□뎐(1880)』<어휘부>의 미시구조 분석" 한국불어불문학회 (78) : 263-304, 2009

      12 "조선어사전(1917)"

      13 윤애선, "정보학, 인문학의 숨겨진 서고를 여는 또 하나의 열쇠 - ‘인문정보학센터’의 성과와 전망 -" 인문학연구소 80 : 36-66, 2016

      14 윤애선, "전자사전 국제기술표준 LEXml의 정합성 및 확장성 - 단일어 및 다국어 사전에의 적용 -" 한국프랑스학회 54 : 55-96, 2006

      15 배선미, "인간언어공학에의 활용을 위한 이종 개념체계 간 사상 -세종의미부류와 KorLexNoun 1.5-" 한국인지과학회 21 (21): 95-126, 2010

      16 "우리말샘" 국립국어원

      17 윤애선, "언어공학에 활용하기 위한 표준국어 대사전과 세종전자사전 간 용언 어의 사상"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6) : 197-235, 2010

      18 에이든, E., "빅데이터 인문학-진격의 서막(Uncharted: Big Data As a Lens on Human Culture)" 사계절 2015

      19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 NLP 플랫홈"

      20 윤애선, "디지털화된 이종 언어자원의 연계와 인문학 연구의 확장성-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과 KorLex의 연동 가능성 검토를 통해-」" 동양학연구원 65-100, 2021

      21 최현수, "동적 윈도우를 갖는 조건부확률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규칙의 재현율 향상" 한국정보과학회 42 (42): 629-636, 2015

      22 윤애선, "단일어 워드넷을 넘어 다국어 워드넷으로 -Asian WordNet과 Global WordNet Grid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3-31, 2010

      2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4 "다음(Daum)사전 플랫홈"

      25 "네이버(Naver) 사전 플랫홈"

      26 윤애선, "근대 동아시아 어휘사전의 탄생과 『한불자뎐』" 한국사전학회 63-99, 2016

      27 윤애선, "국내·외 어휘의미망의 구축과 활용" 국립국어원 17 (17): 5-25, 2007

      28 윤애선, "개항기 전후 한국어 사전의 지식베이스 구축 - 『한불ㅈㆍ뎐』(1880)에서 『웹으로 보는 한불자뎐』(2009)과 『현대 한국어로 보는 한불자전』(2014)으로 -" 한국사전학회 (27) : 7-48, 2016

      29 심경호, "漢字辭典의 현재적 의미와 개선 방안" 동양학연구원 (71) : 51-74, 2018

      30 김철웅, "東洋學硏究院 50년의 성과와 과제" 동양학연구원 (82) : 169-187, 2021

      31 윤애선, "以Princeton WordNet爲通用語言的韓語詞匯語義網KorLex的特性及應用" 한국한자연구소 (26) : 1-30, 2020

      32 "『한불자뎐(1880)』&『한영자뎐(1911)』"

      33 김지영,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의 DB구축과 온라인 사전편집기" 동양학연구원 (54) : 213-246, 2013

      34 윤승준, "「漢韓大辭典」의 편찬과정과 향후 계획" 동양학연구원 (52) : 147-166, 2012

      35 Fellbaum, Ch, "WordNet: An Electronic Lexical Database" The MIT Press 1998

      36 Miller, G. A., "WordNet then and now" 41 : 209-214, 2009

      37 Pease, A., "The suggested upper merged ontology: A large ontology for the Semantic Web and its applications" 2002

      38 Gangemi, A., "The OntoWordNet Project: Extension and Axiomatization of Conceptual Relations in WordNet" 820-838, 2003

      39 Gangemi, A., "Sweetening WordNet with DOLCE" 24 (24): 13-24, 2003

      40 Baccianella, S., "SentiWordNet 3.0: An Enhanced Lexical Resource for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2200-2204, 2010

      41 "Princeton WordNet"

      42 "Open Multilingual WordNet"

      43 Reed, S., "Mapping Ontologies into Cyc" 2002

      44 Bond, F., "Linking and Extending an Open Multilingual Wordnet" 1352-1362, 2013

      45 Rudnicka, E., "Lexical Perspective on Wordnet to Wordnet Mapping" 210-, 2018

      46 Ponzetto, S., "Large-Scale Taxonomy Mapping for Restructuring and Integrating Wikipedia" 2083-2088, 2009

      47 Vossen, P., "LMF Lexical Markup Framework" ISTE / Wiley 2013

      48 윤애선, "LEXml을 이용한『한영자전(1911)』의 지식베이스 설계 - 『한불자뎐(1880)』과의 통합적 지식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한국불어불문학회 (87) : 343-399, 2011

      49 "KorLex"

      50 Dong, J., "ImageNet: A Large-Scale Hierarchical Image Database" 2009

      51 Dong, Z., "HowNet and the Computation of Meaning" World Scientific 2006

      52 "Global WordNet Association"

      53 Vossen, P., "EuroWordNet: A Multilinugal Database with Lexical Semantic Network" The Kluwer Academic Publisher 1998

      54 Fellbaum, Ch,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Elsevier 665-670, 2005

      55 Fellbaum, Ch, "Challenges for a multilingual wordnet" 46 (46): 313-326, 2012

      56 Poprat, M., "Building a BIOWORDNET by Using WORDNET’s Data Formats and WORDNET’s Software Infrastructure – A Failure Story" 31-39, 2008

      57 Tufis, D., "Balkanet: Aims, methods, results and perspectives. A general overview" 7 (7): 9-43, 2004

      58 박흠, "Automatic Mapping Between Large-Scale Heterogeneous Language Resources for NLP Applications: A Case of Sejong Semantic Classes and KorLexNoun for Korean" 한국언어정보학회 15 (15): 23-45, 2011

      59 Bond F., "A survey of wordnets and their licenses" 64-71, 2012

      60 홍재성,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개발 연구보고서" 문화관광부, (국립국어원)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3 1.0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