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원도 평창군 백룡동굴에서 산출되는 종유관의 기재학적 연구 = The Petrographic Investigation of Soda Straws in Baeg-nyong Cave, Pyeongchang-gun, Gangwon-do,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62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have reported the petrographic properties on the soda straw primarily based on the field measurements and discussed the causes of their traits. 156 soda straws in district B of the Baeg-nyong Cave nominated with the natural monument No. 260 have be...

      We have reported the petrographic properties on the soda straw primarily based on the field measurements and discussed the causes of their traits. 156 soda straws in district B of the Baeg-nyong Cave nominated with the natural monument No. 260 have been investigated to estimate physical, sedimentolog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soda straws have an average length of 3.05 cm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1.7 cm and a mean diameter of 6.0 mm. This result shows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soda straws measured in this study is thicker than previous reports by 20%.
      Although the drip rates of cave water from 85.3% of all the soda straws are exceedingly lower than 1 drop per 10 minutes, almost all soda straws have a dripping water. We firstly report growth lamina in the Korean soda straw from 85.3% of all samples, and this textural dominance indicates that the growth lamina are one of the common features of the soda straws at least in the study area. Secondary precipitations inside the soda straw were identified from 68.6%. Notably, the strong inverse correlation between growth lamina and secondary precipitates was represented from 70.5% of all samples. This finding might be explained by the seasonality of cave drip water supplied into the soda straws or the increased opacity caused by secondary precipitates. Based on petrograhic characteristics, the soda straws in the study area can be classified into normal and erratic types. Hopefully our results on the soda straws in Baeg-nyong Cave would provide a basis for the descriptions of soda straws from other caves and paleoclimatic appl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국내 석회동굴 내부에서 형성되고 있는 종유관에 대한 기재학적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종유관의특징을 기술하고 그 원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백룡동굴의 주요 굴로부터 북동...

      이 연구에서는 국내 석회동굴 내부에서 형성되고 있는 종유관에 대한 기재학적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종유관의특징을 기술하고 그 원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백룡동굴의 주요 굴로부터 북동방향으로 분기하는 가지 굴인 B굴에서 성장하는 종유관 156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종유관의 평균 길이는 3.05 cm (표준편차 ±1.7 cm), 평균 직경이 약6.0 mm이다. 이러한 결과는 종유관의 직경이 기존 문헌에 기록된 것보다 약 20%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유관의 끝부분(tip)으로부터 떨어지는 동굴수의 낙수율(drip rate)은 85.3%의 종유관에서 낙수 1회 당 10분 이상으로 측정되어 매우 느린 동굴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종유관에서도 낙수가 발생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유관의 성장선은 조사된 종유관 중 85.3%에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해당 구역의 종유관의 경우, 성장선 형성이 매우 일반적인 종유관의 특징임을 보여준다. 또한, 각 종유관 별로 성장선 형성 부위 및 조직이 매우 다양하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종유관 내부에 형성되는 2차 침전물(secondary precipitation)의 경우 68.6%의 종유관에서 관찰되었다. 성장선과 2차 침전물의 형성 유무 사이에서는 강한 역의 상관관계(전체 종유관 중 70.5%)가 관찰되는데, 이는 동굴수 공급의 계절적 불연속성 또는 2차 침전물에 의한 불투명도 증가에 의한 결과로 해석된다. 각각의 특징을 바탕으로 개별 종유관은 일반적인 종유관 유형과 기형 종유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이번 백룡동굴 종유관에 대한 조사결과는 향후 다른 동굴의 종유관 기재를 위한 기초자료 및 종유관의고기후학적 활용을 위한 선행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경식, "제주도 용천동굴 석순에 기록된 산소동위원소를 이용한 지난 600년 동안의 고기후 연구" 대한지질학회 49 (49): 339-350, 2013

      2 지효선, "제주도 용천동굴 석순(YC-2)의 조직적 특징을 이용한 지난 약 300년 동안의 고기후 변화 연구" 대한지질학회 47 (47): 139-153, 2011

      3 최돈원, "강원도 환선굴에서 발견되는 한 종유석의 조직과 성장단계" 대한지질학회 44 (44): 141-148, 2008

      4 조경남, "강원도 평창군 섭동굴에서 최근 5년간 성장한 종유관의 지화학적 연구: 고기후 지시자로서의 의미와 유효성" 대한지질학회 42 (42): 607-624, 2006

      5 St Pierre, E., "U-series dating of soda straw stalactites from excavated deposits: metho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o Blanche Cave, Naracoorte, South Australia" 39 : 922-930, 2012

      6 Woo, K. S., "The origin of erratic calcite speleothems in the Dangcheomul Cave (lava tube cave), Jeju Island, Korea" 176 : 70-81, 2008

      7 Duck K. Choi, "The Cambrian-Ordovician stratigraphy of the Taebaeksan Basin, Korea: a review" 한국지질과학협의회 9 (9): 187-214, 2005

      8 Cheng, H., "The Asian monsoon over the past 640,000 years and ice age terminations" 534 : 640-646, 2016

      9 Tucker, M.E., "Techniques in sedimentology"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394-, 1988

      10 Fairchild, I.J., "Speleothems as indicators of wet and dry periods" 36 : 69-74, 2007

      1 우경식, "제주도 용천동굴 석순에 기록된 산소동위원소를 이용한 지난 600년 동안의 고기후 연구" 대한지질학회 49 (49): 339-350, 2013

      2 지효선, "제주도 용천동굴 석순(YC-2)의 조직적 특징을 이용한 지난 약 300년 동안의 고기후 변화 연구" 대한지질학회 47 (47): 139-153, 2011

      3 최돈원, "강원도 환선굴에서 발견되는 한 종유석의 조직과 성장단계" 대한지질학회 44 (44): 141-148, 2008

      4 조경남, "강원도 평창군 섭동굴에서 최근 5년간 성장한 종유관의 지화학적 연구: 고기후 지시자로서의 의미와 유효성" 대한지질학회 42 (42): 607-624, 2006

      5 St Pierre, E., "U-series dating of soda straw stalactites from excavated deposits: metho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o Blanche Cave, Naracoorte, South Australia" 39 : 922-930, 2012

      6 Woo, K. S., "The origin of erratic calcite speleothems in the Dangcheomul Cave (lava tube cave), Jeju Island, Korea" 176 : 70-81, 2008

      7 Duck K. Choi, "The Cambrian-Ordovician stratigraphy of the Taebaeksan Basin, Korea: a review" 한국지질과학협의회 9 (9): 187-214, 2005

      8 Cheng, H., "The Asian monsoon over the past 640,000 years and ice age terminations" 534 : 640-646, 2016

      9 Tucker, M.E., "Techniques in sedimentology"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394-, 1988

      10 Fairchild, I.J., "Speleothems as indicators of wet and dry periods" 36 : 69-74, 2007

      11 Lauritzen, S.E., "Speleothems and climate: a special issue of The Holocene" 9 : 643-647, 1999

      12 Moore, G. W., "Speleothem: A new cave term" 10 : 2-, 1952

      13 Perrette, Y., "Spatial distribution of soda straws growth rates of the Coufin Cave (Vercors, France)" 39 : 61-70, 2010

      14 Banner, J. L., "Seasonal variations in modern speleothem calcite growth in central Texas, USA" 77 : 615-622, 2007

      15 Ruan, J., "Seasonal variations and environmental controls on stalagmite calcite crystal growth in Heshang Cave, central China" 55 : 3929-3935, 2010

      16 Woo, K. S., "Scientific investigation of the Baegnyong Cave, Pyeongchanggun, Gangwondo" 222-, 2006

      17 Desmarchelier, J. M., "Rapid trace element analysis of speleothems by ELA-ICP-MS" 231 : 102-117, 2006

      18 Woo, K.S., "Original mineralogy and carbonate diagenesis of speleothems in Kwanum and Hwansun Cavern, Kangweondo, Korea: Preliminary results" 25 : 90-97, 1989

      19 Curl, R. L., "Minimum diameter stalactites" 34 : 129-136, 1972

      20 Duan, W., "Mineral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stalagmite laminae from Chulerasim cave, Indian Himalaya, and the significance for palaeoclimatic reconstruction" 298 : 93-97, 2013

      21 Gonzalez, L. A., "Inorganic calcite morphology: roles of fluid chemistry and fluid flow" 62 : 382-399, 1992

      22 Cutnell, J.D., "Essentials of physics" Wiley Publishing 2006

      23 Tan, M., "Climatic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Indian and East Asian Monsoon regions of China over the last millennium: a perspective based mainly on stalagmite records" 36 : 75-81, 2007

      24 Hill, C., "Cave minerals of the world" National speleological society 1997

      25 Tan, M., "Applications of stalagmite laminae to paleoclimate reconstructions: comparison with dendrochronology/climatology" 25 : 2103-2117, 2006

      26 Paul, B., "A model for the formation of layered soda-straw stalactites" 42 : 155-160, 2013

      27 Brook, G. A., "A high-resolution proxy record of rainfall and ENSO since AD 1550 from layering in stalagmites from Anjohibe Cave, Madagascar" 9 : 695-705, 1999

      28 Wang, Y. J., "A high-resolution absolute-dated late Pleistocene monsoon record from Hulu Cave, China" 294 : 2345-2348,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90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