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중동포 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설계: 한국 대학 진학 희망자를 중심으로 = Designing a Korean Writing Curriculum for Korean-Chinese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Prospective Students of Korean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36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재중동포 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적 논의를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랴오닝성 소재 조선족 고등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이들은 한국어 의사소통과 학습에서 일정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국어 기술 영역 중 쓰기 능력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재중동포 고등학생들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을 제안하여 쓰기 능력 향상과 교육적 효과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쓰기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 교육 시수 및 등급, 교육 내용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 외국인 학습자에 비해 듣기, 읽기 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재중동포 고등학생들을 위해 특화된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재중동포 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적 논의를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랴오닝성 소재 조선족 고등학교의 ...

      본 연구는 한국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재중동포 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적 논의를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랴오닝성 소재 조선족 고등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이들은 한국어 의사소통과 학습에서 일정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국어 기술 영역 중 쓰기 능력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재중동포 고등학생들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을 제안하여 쓰기 능력 향상과 교육적 효과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쓰기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 교육 시수 및 등급, 교육 내용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 외국인 학습자에 비해 듣기, 읽기 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재중동포 고등학생들을 위해 특화된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oundational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writing curriculum tailored to Korea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spiring to enter universities in Korea. To achieve this, a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at a Korean Chinese high school in Liaoning Province, China.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se students face certain difficulties in Korean communication and learning, with writing identified as the most challenging among the four language skill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Korean writing curriculum tailored to the needs of Korea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preparing for university admission in Korea. The curriculum focuses on improving writing skills and includes objectives, class hours, levels, and educational content.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pecialized Korean curricula for Korean Chinese students, who demonstrate strong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but require targeted support for their unique academic needs and goal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oundational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writing curriculum tailored to Korea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spiring to enter universities in Korea. To achieve this, a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stu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oundational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writing curriculum tailored to Korea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aspiring to enter universities in Korea. To achieve this, a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at a Korean Chinese high school in Liaoning Province, China.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se students face certain difficulties in Korean communication and learning, with writing identified as the most challenging among the four language skill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Korean writing curriculum tailored to the needs of Korea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preparing for university admission in Korea. The curriculum focuses on improving writing skills and includes objectives, class hours, levels, and educational content.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pecialized Korean curricula for Korean Chinese students, who demonstrate strong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but require targeted support for their unique academic needs and goa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