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南京 出土 南朝 塑造像의 製作技法과 生産體系 =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System of Figurines Excavated from Nanjing of the Southern Dynas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872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reconstruct the production process of clay figurines excavated from Nanjing南京. Through that I attempt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systems of the production of clay figurines in the Southern Dynastie...

      In this paper I reconstruct the production process of clay figurines excavated from Nanjing南京. Through that I attempt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systems of the production of clay figurines in the Southern Dynasties. I confirm traces of the use of glaze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I intensively analyse the problem of the firing and use of the glaze. I find that the glaze on a excavated human head figure (T405:41) from the Shangdinglinsi temple site上定林寺址 is yellow and was painted on evenly. I confirm traces of yellow, brown, and green glazes on clay figurines from Jianyequ建鄴區. It is difficult to concretely estimate the ingredients of the glazes of such figurines, but by the colour and combination and hardness of the inclusions it seems to be low temperature instead of high temperature glaze and so I infer that it is a lead glaze. I look closely at examples of other objects of the Southern Dynasties that are painted with glaze other than the Buddhist statuary of Nanjing. It has been discovered that lead glazed objects of the Southern Dynasties used in everyday life include ink stone boxes, ink stones, bowls, and folding screens. Also, it has already been confirmed that yellow glazed roof tiles were used at the Nanyue南越國 palace building of the Western Han Dynasty. It also looks as if yellow-glazed materials were used in the buildings of the Southern Dynasties. With such findings, we have an opportunity to prepare to break away from the environment of the claims of established academic world of the existence of celadon as the only representative of the Southern Dynasties. I look closely at the official management tools through the character of archaeological sites at which Southern Dynasties clay figurines have been excavated and the production workshops of the figurines. The archaeological excavators of the Shangdinglinsi temple site上定林寺址 do not comment concretely on the character of the location from which the figurines were excavated. Based on the plan shape of the building, it appears as if there were many groups at what appears to have been a wooden pagoda. Based on the fact that figurines were excavated from the main hall in Baeje百濟, I carefully hypothesize that it is possible that this is Buddhist statuary enshrined in area laid out for worship. I suggest the two possibilities that character of the area from which figurines at Jianyequ建鄴區 were excavated was a rubbish site of the Yanxingsi延興寺 temple or the kiln of a production site. Following the necessity of a master artisan for the production of earthenware, it is suggested that all kinds of products were made this way. The production of all products made with earth official managed tools are called Zhenguanshu甄官署. Ceramics produced in the official kilns of the Southern Dynasties were supplied to the royal court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figurines enshrined in the temple of the imperial household were produced in and supplied from the Zhenguanshu甄官署 officials worksho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남경 출토 소조상의 제작 공정을 복원하고 그 성격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남조 소조상의 생산.관리체계가 어떠했는지를 검토하였다. 남경 출토 소조상의 제작 공정 중 施釉 흔적을 확인하고...

      남경 출토 소조상의 제작 공정을 복원하고 그 성격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남조 소조상의 생산.관리체계가 어떠했는지를 검토하였다. 남경 출토 소조상의 제작 공정 중 施釉 흔적을 확인하고 유약의 사용과 소성의 문제에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상정림사 출토 인물두상(T405:41)에서는 황색 유약이 균일하게 칠해진 것으로 파악되었고 건업구 출토 소조상들에서는 黃釉, 褐釉, 綠釉의 흔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소조상에 칠해진 유약의성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판단하기는 힘들었지만 유약의 색깔, 태토와 유약의 결합과 견고함 등으로 高溫釉 가 아닌 低溫釉, 즉 鉛釉로 추정하였다.
      남경 출토 소조상에서 확인된 시유 흔적을 불교조각상 이외에 유약이 칠해진 남조의 다른 기물들의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남조 연유기물은 현존 유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문헌기록도 함께 검토하였다. 그 결과, 남조대에는 벼루 상자, 벼루, 바루, 병풍 등 일상생활에서 연유기물을 애용하였던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서한대남월국 궁전 건물지에서 이미 녹유 기와가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남조대에도 건축 부재로 녹유제품이 사용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검토 결과는 기존 학계의 주장처럼 남조는 청자를 대표로 한도자기만이 존재하였다는 분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남조 소조상이 출토된 유적지의 성격과 소조상이 생산된 공방과 이를 관리감독한 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정림사지 소조상이 출토된 지점의 성격에 대해서는 발굴보고자는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필자는 건물지의 평면구조에 근거하여 목탑지로 추정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보았다. 백제 소조상이 금당지에서도 출토되는 사실에 근거하여, 불상을 안치한 예배공간의 건물에 봉안되었을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상정해 보았다. 建.區 소조상의 출토지 성격에 대해서는 발굴보고자의 견해와는 달리 연흥사 폐기구덩이일 가능성과 가마시설을 갖춘공방지일 가능성도 있는 등 두 가지 추정안을 제기하였다.
      陶製品을 생산한 工匠은 필요에 따라 여러 제품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모든 흙과 관련된 제품(陶器)의 생산을 관리.감독한 기구가 甄官署라는 사실에서 판단하였다. 남조시대 官窯에서 생산된 도자기가 궁중에 공급되었다는 점은 황실발원 사찰에 봉안되는 소조상 역시 견관서에서 관리한 관영공방에서 제작.공급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徐湖平, "六朝靑瓷" 上海古籍出版社 1999

      2 楊明生, "六朝都城建康冶煉鑄造遺址的分布及六朝鑄錢工藝解析" 2003

      3 羅宗眞, "六朝考古" 南京大學出版社 1996

      4 賀云翶, "六朝瓦當與六朝都城" 文物出版社 2005

      5 王志高, "六朝建康城遺址出土陶瓦的觀察與硏究" 한국기와학회 2011

      6 王志高, "六朝建康城遺址出土の墨書磁器の整理と分析-南京市顔料坊出土品を例とし建" 18 : 2012

      7 邱敏, "六朝官營手工業的管理和勞動者地位的變化" 4 : 1992

      8 任志錄, "琉璃瓦的發現及其硏究" 4 : 2000

      9 梁銀景, "遼寧省 朝陽 北塔 出土 塑造像 硏究" 256 : 2007

      10 項長興, "梁 中大通二年紀年摩崖的發現 -棲霞寺千佛巖61號佛龕南梁紀年題名石刻" 3 : 2006

      1 徐湖平, "六朝靑瓷" 上海古籍出版社 1999

      2 楊明生, "六朝都城建康冶煉鑄造遺址的分布及六朝鑄錢工藝解析" 2003

      3 羅宗眞, "六朝考古" 南京大學出版社 1996

      4 賀云翶, "六朝瓦當與六朝都城" 文物出版社 2005

      5 王志高, "六朝建康城遺址出土陶瓦的觀察與硏究" 한국기와학회 2011

      6 王志高, "六朝建康城遺址出土の墨書磁器の整理と分析-南京市顔料坊出土品を例とし建" 18 : 2012

      7 邱敏, "六朝官營手工業的管理和勞動者地位的變化" 4 : 1992

      8 任志錄, "琉璃瓦的發現及其硏究" 4 : 2000

      9 梁銀景, "遼寧省 朝陽 北塔 出土 塑造像 硏究" 256 : 2007

      10 項長興, "梁 中大通二年紀年摩崖的發現 -棲霞寺千佛巖61號佛龕南梁紀年題名石刻" 3 : 2006

      11 小林仁, "洛陽北魏陶俑の成立とその展開" 成城大學大學院文學硏究科 14 : 2002

      12 양은경, "남경지역 남조 금동불상에 대한 일고찰 - 남경박물관 소장 527년명 불상을 중심으로 -" 중국연구소 (11) : 67-98, 2011

      13 韓國磐, "魏晉南北朝史綱" 人民出版社 1983

      14 孫蓉蓉, "高僧傳中有關定林寺記載的考述" 冬 : 2008

      15 "高僧傳 卷3 譯經 下 曇摩密多傳」(大正新修大藏經 第50冊, No.2059)"

      16 慧皎, "高僧傳 卷十三 興福 晉京師安樂寺釋慧受" 中華書局 1996

      17 靑州市博物館, "靑州龍興寺佛敎造像的藝術特色, In 山東靑州龍興寺佛敎造像藝術" 山東美術出版社 2001

      18 岡村秀典, "雲岡石窟・遺物篇" 朋友書店 2006

      19 長廣敏雄, "雲岡發掘記(二), In 山西省考古學會論文集(二)" 山西人民出版社 1994

      20 水野淸一, "隋唐陶磁のながれ, In 世界陶磁全集 9" 河出書房 1956

      21 三上次南, "陶器講座 5・中國Ⅰ・古代" 雄山閣 1982

      22 關口宏次, "陶俑を燒成した窯, In 東洋の陶磁 第1卷 陶俑" 平凡社 1998

      23 霄鐵, "鍾山風景區也有磨崖石刻" 3 : 1995

      24 水野淸一, "鉛釉陶につい建, In 世界陶磁全集 8" 河出書房 1955

      25 曾昭燏, "試論湖熟文化" 4 : 1959

      26 이지희, "統一新羅時代 鉛釉陶器 硏究"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27 鄭學橔, "簡明中國經濟通史" 黑龍江人民出版社 1984

      28 王建保, "磁州窯窯址考察與初步硏究" 紫禁城出版社 16 : 2010

      29 李炳鎬, "百濟泗沘期塑像の展開過程" 3 : 2010

      30 山本孝文, "百濟 泗沘期의 陶硯-分類・編年과 歷史的 意義" 38 : 2003

      31 易立, "白釉綠彩器的生産, 發展與流向" 4 : 2010

      32 文東錫, "漢城百濟의 茶文化와 茶確" 56 : 2012

      33 任志錄, "漢唐之間的建築琉璃" 3 : 2001

      34 王熠, "漢代鉛釉陶發展綜述" 2 : 2010

      35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河北臨漳縣鄴城遺址東魏北齊佛寺塔基的發現與發掘" 10 : 2003

      36 陳岳, "河北臨漳曹村窯址靑釉器物工藝特徵硏究" 32 : 2013

      37 河北省文管處, "河北省景縣北魏高氏墓發掘報告" 3 : 1979

      38 河北省博物館等, "河北平山北齊崔昻墓調査報告" 11 : 1973

      39 南京市博物館, "江蘇南京北郊五號號墓淸理簡報" 7 : 1989

      40 弓場紀知, "東ア彌アの鉛釉陶器の意義と陶磁史上の位置づけ-西ア彌アの比較におい建" 94 : 2002

      41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朝陽北塔-考古發掘與維修工程報告" 文物出版社 2007

      42 李國霞, "新發現曹村窯三種釉陶瓷的初步分析" 紫禁城出版社 16 : 2010

      43 조윤재, "扶餘 定林寺 寺名의 유래와 의미에 대한 검토-남조시기 문헌 및 고고자료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45) : 7-45, 2011

      44 廣州市文化局, "廣州秦漢考古三大發現" 廣州出版社 1999

      45 廣州市文物考古硏究所, "廣州市南越國宮署遺址2003年發掘簡報" 3 : 2007

      46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廣州南越國宮署遺址2000年發掘簡報" 2 : 2002

      47 廣州市文物考古硏究所, "廣州南越國宮署遺址1995-1997年發掘簡報" 9 : 2000

      48 李梅田, "平城地區北魏墓葬硏究, In 徐苹芳先生紀念文集" 上海古籍出版社 2012

      49 張慶捷, "山西雲岡石窟窟頂北魏寺廟遺址, In 2010中國重要考古發現" 文物出版社 2011

      50 大同市考古硏究所, "山西大同迎賓大道北魏墓群" 10 : 2006

      51 山西省大同市博物館, "山西大同石家寨北魏司馬金龍墓" 3 : 1972

      52 山西省考古硏究所, "太原市北齊婁叡墓發掘簡報" 10 : 1983

      53 山西省考古硏究所, "大同操場城北魏建築遺址發掘報告" 4 : 2005

      54 山西大學歷史文化學院, "大同南郊北魏墓群" 上科學出版社 2006

      55 大同市博物館, "大同北魏方山寺院佛寺遺址發掘報告" 4 : 2007

      56 李林甫, "唐六典, In 卷23 將作都水監・甄官署" 中華書局 1992

      57 賀云翶, "南朝“貢瓷”考-兼論早期“官窯”問題" 1 : 2012

      58 森達也, "南北朝時代の華北における陶磁の革新, In 中國☆美の十字路展" 大廣 2005

      59 小林仁, "南北朝時代における南北境界地域の陶俑につい建-漢水流域樣式試論" 日本中國考古學會 6 : 2006

      60 南京市博物館, "南京雨花臺區長崗村李家洼六朝墓群, In 南京文物考古新發現" 江蘇人民出版社 2006

      61 賀云翶, "南京鍾山二號寺遺址出土瓦當初探" (創刊) : 2005

      62 賀云翶, "南京鍾山二號寺遺址出土南朝瓦當及與南朝定林寺關係硏究" 1 : 2007

      63 南京市博物館, "南京象山五號, 六號, 七號墓淸理簡報" 11 : 1972

      64 王志高, "南京紅土橋出土的南朝泥塑像及相關問題硏討" 3 : 2010

      65 馮慧, "南京新出土六朝錢文陶瓷器標本硏究" (창간) : 2005

      66 南京市博物館, "南京文物考古新發現" 江蘇人民出版社 2006

      67 南京市博物館, "南京北郊東晋溫嶠墓" 7 : 2002

      68 小林仁, "北齊鄴城地區的明器生産及其系譜-以陶俑和低溫鉛釉陶爲中心" 紫禁城出版社 16 : 2010

      69 鍾曉靑, "北魏洛陽永寧寺塔復原探討" 5 : 1998

      70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北魏洛陽永寧寺-1979∼1994年考古發掘報告"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6

      71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洛陽漢魏城隊, "北魏洛陽城內出土的瓷器與釉陶器" 12 : 1991

      72 向井佑介, "北魏平城時代の佛敎寺院と塑像" 316 : 2011

      73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洛陽漢魏城隊 洛陽古墓博物館, "北魏宣武帝景陵發掘報告" 9 : 1994

      74 內蒙固文物工作隊, "內蒙固白靈淖城圐圙北魏古城遺址調査" 2 : 1984

      75 謝明良, "中國早期鉛釉陶器, In 中國史新論-美術考古分冊" 聯經出版社 2010

      76 魏明孔, "中國手工業經濟通史" 福建人民出版社 2004

      77 張映瑩, "中國古代工官制度" 1 : 1997

      78 祝慈壽, "中國古代官府手工業的經營管理" 9 : 1989

      79 MIHO MUSEUM, "中國・山東省の佛像-飛鳥佛の面影"

      80 古順芳, "一組有濃厚生活氣息的庖廚模型" 5 : 2005

      81 北京大學考古系, "1992年春天馬-曲村遺址墓葬發掘報告" 3 :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84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