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80-1990년대 동해에서 해구별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어획량과 해양환경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Squid (Todarodes pacificus) Catch by Sea Block and Marine Environment in the East Sea during 1980s and 199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34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년간(1980-1999) 동해의 해구(위경도 $30'{\times}30'$)별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총 어획량과 단위노력당 어획량(catch/gear/day, CPUE)을 분석하여, 특정 해역에서 오징어 어획량이 높은 원인을 물리(수...

      20년간(1980-1999) 동해의 해구(위경도 $30'{\times}30'$)별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총 어획량과 단위노력당 어획량(catch/gear/day, CPUE)을 분석하여, 특정 해역에서 오징어 어획량이 높은 원인을 물리(수온), 생물학적 환경 인자(동물플랑크톤 생체량)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구별 총 어획량과 CPUE는 1980년대보다 1990년대에 증가하였다. 20년간 평균어획량이 높았던 해구는 동해 남부 5개 해구(No. 87, 76, 82, 83, 88)이었고, CPUE가 높았던 해구는 울릉도와 울진 부근의 해구(No. 65, 71, 72, 78)로 나타났다. 동해 전체 해구에서 이들 특정 해구의 총 어획량과 CPUE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35.1%와 62.1%였다. 총 어획량과 CPUE가 높은 해역은 쓰시마 난류의 북방한계 지표수온인 $10^{\circ}C$의 등온선의 상부 수층에 위치하였으며, $10^{\circ}C$ 등온선의 분포 위치에 따라 해구별 총 어획량과 CPUE가 다르게 나타났다. 해구별 동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분포와 오징어 어획량 간에는 높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전체 해구의 동물플랑크톤의 연간 총 생체량과 오징어 총 어획량의 시계열 변화 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ta on squid catches by the Korean jig fishery in sea blocks ($30'{\times}30'$), water temperatures at depth(30m, 50m and 100m) and zooplankton biomass in the East Sea from 1980 to 1999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chanism of formation of the high ...

      Data on squid catches by the Korean jig fishery in sea blocks ($30'{\times}30'$), water temperatures at depth(30m, 50m and 100m) and zooplankton biomass in the East Sea from 1980 to 1999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chanism of formation of the high density stock area.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atch in the East Sea was low in 1980s, while the catch was high in 1990s. The five sea blocks (No. 76, 82, 83, 87, 88) of the southern part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showed high levels of percentage of total catch (35.1%), whereas the four sea blocks (No. 65, 71, 72, 78) of the coastal waters of Uleung Island showed high levels of percentage of CPUE (61.2%) for 20 years. Squid catches showed monthly fluctuations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optimum water temperature for fishing ($14^{\circ}C{\sim}19^{\circ}C$). High total catch and high CPUE area matched well with $10^{\circ}C$ isothermal lines at 100m depth indicating northern limiting of Tsushima Warm Current, and temporal and spatial change in $10^{\circ}C$ isothermal line caused the change in total catch and CPUE. Horizont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biomass by sea block was not matched well with those of total catch and CPUE, however pattern of time-series change in total zooplankton biomass was similar to that in total squid cat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광호, "황해에 분포하는 오징어의 어황특성" 6 (6): 21-31, 2003

      2 최광호, "한국해역에 분포하는 살오징어의 어황과 해황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5

      3 최광호, "한국 연근해 오징어의 어황 특성" 30 (30): 513-522, 1997

      4 이생동, "한국 동해산 오징어의 연직분포에 관한 연구" 36 : 23-28, 1985

      5 박종화, "여름철 동해안 연안 냉 수와 오징어 어황과의 관계" 34 (34): 150-161, 1998

      6 이충일, "동해의 쓰시마 난류 변동과 해류순환과 의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3

      7 강기홍, "동해에서의 오징어 어황과 해황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2002

      8 Kiyofuji, H., "Use of nighttime visible images to detect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fishing areas and potential migration routes in the Sea of Japan" 276 : 173-186, 2004

      9 Hong, C. H.,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its fluctuations" 28 (28): 1-9, 1983

      10 Isoda, Y., "SST structure of the polar front in the Japan Sea. In: Oceanography of Asian Marginal Seas" Elsevier 103-112, 1991

      1 최광호, "황해에 분포하는 오징어의 어황특성" 6 (6): 21-31, 2003

      2 최광호, "한국해역에 분포하는 살오징어의 어황과 해황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5

      3 최광호, "한국 연근해 오징어의 어황 특성" 30 (30): 513-522, 1997

      4 이생동, "한국 동해산 오징어의 연직분포에 관한 연구" 36 : 23-28, 1985

      5 박종화, "여름철 동해안 연안 냉 수와 오징어 어황과의 관계" 34 (34): 150-161, 1998

      6 이충일, "동해의 쓰시마 난류 변동과 해류순환과 의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3

      7 강기홍, "동해에서의 오징어 어황과 해황과의 관계" 부경대학교 2002

      8 Kiyofuji, H., "Use of nighttime visible images to detect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fishing areas and potential migration routes in the Sea of Japan" 276 : 173-186, 2004

      9 Hong, C. H.,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its fluctuations" 28 (28): 1-9, 1983

      10 Isoda, Y., "SST structure of the polar front in the Japan Sea. In: Oceanography of Asian Marginal Seas" Elsevier 103-112, 1991

      11 Kang, Y. S., "Long-term changes in zooplankton and its relationship with squid catch in Japan/East Sea" 11 : 337-346, 2002

      12 Hamabe, M., "Embryological studies on the common squid Ommastrephes sloani pacificus Steenstrup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the Sea of Japan" 10 : 1-45, 1962

      13 Choi, K. H.,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Japan) Sea" 91 : 281-290, 2008

      14 Kasahara, S., "Descriptions of offshore Squid Angling in the Sea of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and on the Techniques for Forecasting Fishing Conditions" 29 : 179-199, 1978

      15 김상우, "DMSP/OLS 영상에서 관측한 동해 야간조업어선의 분포특성" 한국수산과학회 38 (38): 323-330, 2005

      16 Sakurai, Y, "Change in inferre spawning areas of Todarodes pacificus(Cephalopoa : Ommastrephidae) due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57 : 24-30,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59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